$\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절염 환자의 통증 및 운동 장애성 지각과 관련 요인
Pain, perceived exercise barriers, and related factors in arthritis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10, 2012년, pp.4588 - 4597  

안은정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이태용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관절염 환자의 통증 및 운동 장애성 지각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C대학병원에 관절염으로 내원하는 환자 중 설문에 동의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군 89명과 골관절염 환자군 51명, 총 140명을 대상으로 2011년 2월부터 9월까지 자가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모든 환자군의 운동 장애성 지각 정도는 교육수준과 가구총소득(월)이 낮을수록 높았다. 류마티스 환자군의 통증 정도는 주관적 건강 상태가 나쁠수록, 운동 장애성 지각 정도는 관절염 외 다른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와 주관적 건강 상태가 나쁠수록 높았다. 골관절염 환자군의 통증 정도는 관절염 유병기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 상태가 나쁠수록 높았다. 모든 환자군의 운동 장애성 지각 정도는 운동단계가 계획 전 단계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환자군의 통증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는 주관적 건강 상태에서 '매우 나쁨'이었다.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운동 장애성 지각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류마티스 환자에서 운동단계, 교육수준이 있었고, 골관절염 환자는 운동단계, 가구총소득(월)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관절염 환자의 통증 및 운동 장애성 지각 정도는 교육수준, 가구총소득(월), 주관적 건강상태, 운동단계 등 여러 변수들과 관련성이 있었으며, 앞으로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이런 변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ain, perceived exercise barriers, and related factors in arthritis patient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40 arthritis patients (89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nd 51 osteoarthritis patients) who visited C University Hospital in Daejeon due to arthritis and agre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관절염 환자의 통증과 운동 장애성 지각을 파악하여 이들의 건강 증진을 위하여 운동 실천률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운동 단계에 따른 통증 정도와 운동 장애성 지각 정도를 파악하고, 조사대상자의 통증과 운동 장애성 지각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관절염 환자의 통증과 운동 장애성 지각을 파악하여 이들의 건강 증진을 위하여 운동 실천률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운동 단계에 따른 통증 정도와 운동 장애성 지각 정도를 파악하고, 조사대상자의 통증과 운동 장애성 지각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및 관리 목표는 무엇인가?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및 관리 목표는 질병의 완치라기보다는 통증의 완화와 관절파괴의 예방, 그리고 일상생활 안에서의 기능증진에 있다. 약물요법, 운동요법, 관절염 간호대상자 교육 프로그램, 온열 및 한냉치료 등은 치료 및 관리에 효과적이며, 특히 자신의 일상에서 능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건강행위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및 관리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2].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 운동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류마티스 관절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휴식과 운동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휴식은 감염과 염증을 감소시키는 좋은 방법이기는 하지만 지나치면 근육을 약화시키고 관절을 강직시켜 오히려 일상생활을 방해하므로 휴식과 운동의 균형이 가장 중요하다. 운동은 정상인의 건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3],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도 관절 질환을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신체적·심리적 기능 뿐 아니라 통증 및 증상 완화와 기능증진 효과가 있다[4].
골관절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부작용이 적고 증상완화에는 효과적인 운동이나 관절보호 등과 같은 비약물적인 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골관절염의 관리방법으로는 약물, 운동, 물리치료 및 수술 등이 있다[5, 6]. 이 중 약물요법은 통증완화에는 효과적이나 환자에게는 지속적인 약물 복용으로 약물의 상호작용과 부작용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골관절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부작용이 적고 증상완화에는 효과적인 운동이나 관절보호 등과 같은 비약물적인 중재가 필요하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 

  2. Ko YJ. The Relationships among Health Behavior and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College of Nursing Science, Vol 21, No 2, pp. 22-35, 2009. 

  3. Choe MA. Effect of 8 week aerobic danc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blood cholesterol in young women. Kanho Hakhoe Chi, Vol 18, No 2, pp. 105-117, 1988. 

  4. Machover S, Sapecky AJ. Effect of isometric exercise on the quadriceps muscle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rch Phys Med Rehabil, Vol 47, No 11, pp. 737-741, 1966. 

  5. Semble EL, Loeser RF, Wise CM. Therapeutic exercise for rheumatoid arthritis and osteoarthritis. Semin Arthritis Rheum, Vol 20, No 1, pp. 32-40, 1990. 

  6. Taal E, Rasker JJ, Wiegman O. Patient education and self-management in the rheumatic diseases: a self-efficacy approach. Arthritis Care Res, Vol 9, No 3, pp. 229-238, 1996. 

  7. Burks K. Osteoarthritis in older adults: current treatments. J Gerontol Nurs, Vol 31, No 5, pp. 11-19, 2005. 

  8. Campbell R, Evans M, Tucker M, Quilty B, Dieppe P, Donovan JL. Why don't patients do their exercises? Understanding non-compliance with physiotherapy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 55, No 2, pp. 132-138, 2001. 

  9. Rejeski WJ, Brawley LR, Ettinger W, Morgan T, Thompson C. Compliance to exercise therapy in older participants with knee osteoarthritis: implications for treating disability. Med Sci Sports Exerc, Vol 29, No 8, pp. 977-985, 1997. 

  10. Faucett JA. Depression in painful chronic disorders: the role of pain and conflict about pain. J Pain Symptom Manage, Vol 9, No 8, pp. 520-526, 1994. 

  11. Marcus BH, Simkin LR. The transtheoretical model: applications to exercise behavior. Med Sci Sports Exerc, Vol. 26, No. 11, pp. 1400-1404, 1994. 

  12. Sallis JF, Hovell MF, Hofstetter CR, Faucher P, Elder JP, Blanchard J, Caspersen CJ, Powell KE, Christenson GM. A multivariate study of determinants of vigorous exercise in a community sample. Prev Med, Vol 18, No 1, pp. 20-34, 1989. 

  13. Davidoff G, Morey K, Amann M, Stamps J. Pain measurement in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syndrome. Pain, Vol 32, No 1, pp. 27-34, 1988. 

  14. Kim JI, Kim IJ, Kang HS, Bae SC, Lee EO. Exercise Pattern and Influencing Factor of Exercise Barrier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J Rheumatol Health, Vol 9, No 2, pp. 135-143, 2002. 

  15. Kim IJ. Exercise stage and exercise-specific perceptions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J Rheumatol Health, Vol 8, No 2, pp. 336-345, 2001. 

  16. Kruger J, Brown DR, Galuska DA, Buchner D. Strength trainning among adults aged ${\geq}$ 65 years - United States, 2001. Morb Mortal Wkly Rep, Vol 53, No 2, pp. 25-28, 2004. 

  17. Roddy E, Zhang W, Doherth M, Arden NK, Barlow J, Birrell F, et al.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the hip or knee the MOVE consensus. Rheumatology, Vol 44, No 1, pp. 67-73, 2005. 

  18. Messing-Rapport BJ, Thacker HL. Prevention for the older woman Mobility: a practial guide to managing osteoarthritis and falls. Geriatrics, Vol 58, No 11, pp. 22-29, 2003. 

  19. Na YM. Effects of therapeutic exercise o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knee. J Korea Rehabil Med, Vol 24, No 5, pp. 966-971, 2000. 

  20. Hong SK. The effect on the pain, discomfort in daily living and life satisfaction of low-intensity exercise and local heat in rural elderly with osteoarthrit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99. 

  21. Lee MR. An effect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muscle strength, pain, depressop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