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적 근접성이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Geographic Proximity and Program Participation at a Loc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50 no.7, 2012년, pp.13 - 20  

진미정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유재언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association between geographic proximity and program participation at a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HFSC). Drawing demographic and ge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participant list at a local HFSC in Seoul for the period 2009 to 2011, this study calculated the geogra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시 ○○구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이용자의 기본 정보만을 가지고, 지리적 근접성이 센터 프로그램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리적 근접성은 주소지로부터 센터까지의 실제 거리를 계산하였다.
  • 본 연구는 지리적 근접성이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선행연구들은 지리적 근접성이 보건의료시설, 사회복지시설, 공원 등 다양한 공공시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해왔다.
  • 본 연구는 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여러 영향 요인 중 지리적 근접성과 센터 프로그램 참여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 서비스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합리적 선택 이론에 근거하여 지리적 근접성이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이용률의 중요한 영향 요인 중 하나라는 점을 밝히기도 했다[17].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구에 위치한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에 1회 이상 참가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거주지로부터 센터까지의 실제 거리를 계산하여 지리적 근접성을 측정하였으며, 이 변수를 활용하여 근접성이 프로그램 참여 회수, 참여 프로그램 영역, 대상 집단, 회기 수 등의 프로그램 특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지리적 근접성과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는 상황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탐색적 성격을 가진다는 점을 먼저 밝히며, 본 연구가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건강가정지원센터 참여자 정보에 대한 분석을 처음으로 시도하고 지리적 근접성이 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센터 참여자의 특성과 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서 프로그램 기획과 평가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결국 근접성이 떨어질수록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이용률이 낮아진다. 지리적 근접성이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이용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러한 연구 결과가 지역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에도 적용되는 지를 알아보고, 결과의 함의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자 수가 증가하게된 이유는? 2011년 건강가정지원센터 연간사업실적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설치된 지역 센터는 2005년 15개소, 2008년 82개소, 2011년 138개소이며, 프로그램 참여자 수는 2005년 105,055명, 2008년 486,167명, 2011년 1,290,645명이다[7]. 참여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이러한 증가는 설치된 센터 수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같은 보고서에 따르면, 센터 별 평균 연 참여 인원은 2005년 7,004명, 2008년 6,002명, 2009년 8,889명, 2010년 8,058명, 2011년 9,421명으로 매년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공공시설이나 서비스의 접근성이란? 공공시설이나 서비스의 접근성(access)은“어떤 시설이나 서비스체계에 들어와 이용하는 것”자체를 의미하기도 하고,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의미하기도 한다[13]. Penchansky 외는 접근성의 하위 차원으로 가용성 (availability), 근 접 성 (accessibility), 이용편의성 (accommodation), 가격적합성(affordability), 공급자-수급자 상호수용성(acceptability)을 언급하였다[13].
Penchansky 외가 정의한 공공시설이나 서비스에서 접근성의 하위 차원은? 공공시설이나 서비스의 접근성(access)은“어떤 시설이나 서비스체계에 들어와 이용하는 것”자체를 의미하기도 하고,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의미하기도 한다[13]. Penchansky 외는 접근성의 하위 차원으로 가용성 (availability), 근 접 성 (accessibility), 이용편의성 (accommodation), 가격적합성(affordability), 공급자-수급자 상호수용성(acceptability)을 언급하였다[13]. 공공시설이나 서비스가 활용되기 위해서는 먼저 그러한 서비스가 존재해야 하고, 지리적으로 이용 가능한 위치에 있어야 하며, 운영시간이나 이용절차 등이 용이해야 하고, 수급자가 지불할 수 있는 가격 범위에 있어야 하고, 공급자와 수급자 간에 상호 수용적인 태도를 가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lard, S. W., Tolman, R. M., & Rosen, D. (2003). Proximity to service providers and service utilization among welfare recipients: The interaction of place and race.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22(4), 599-613. 

  2. Cha, S. L. (2010). A case study on communal child care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6), 189- 201. 

  3. Chang, J. K., Oh, J. E., Han, E. J., Ryu, J. A., & Won, S. Y. (2006). A study on operational strategies and programs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6), 1-16. 

  4. Choi, Y. S., Cho, E. S., Nam, Y. J., Song, M. S., & Kwon, H. K. (2012). Family images and healthy famiy images perceived by Certified Healthy Family Specialist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6(4), 3-28. 

  5. Cordasco, K. M., Ponce, N. A., Gatchell, M. S., Traudt, B., & Escarce, J. J. (2011).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and geographical proximity to a Safety net Clinic as a predictor of health care access. Journal of Immigrant Minority Health, 13, 260-267. 

  6. Headquarters fo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2011). 2010 Annual report of HFSC. Seoul: Jungang Press. 

  7. Headquarters fo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2012). 2011 Annual report of HFSC. Seoul: Jungang Press. 

  8. Kissane, R. J. (2010). We call it the badlands: How social-spatial geographices influence social service use. Social Service Review, 84(1), 3-28. 

  9. LaVela, S. L., Smith, B., Weaver, F. M., & Miskevics, S. (2004). Geographical proximity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 veterans with SCI & D in the USA.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9, 2387-2399. 

  10. Lee, Y. J. (2009). An analysis of the job and competency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er as a middle manager o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8(4), 809-826. 

  11. Lim, C. H. (2007). Counseling services and work conditions perceived by counselors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5), 83-105. 

  12. Park, J. Y. (2008). The study of culture program evaluation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3), 25-36. 

  13. Penchansky, R., & Thomas, J. W. (1981). The concept of access: Definition and relationship to consumer satisfaction. Medical Care, 19(2), 127-140. 

  14. Salkerver, D. S. (1975). Economic class and differential access to care: Comparisons among health care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 5, 373-395. 

  15. Sohn, J. J., & Oh, S. K. (2007). Measuring accessibility of day care centers for the elderly in Seoul using GIS spatial analysis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y, 13(5), 576-594. 

  16. Song, H. R., & Chang, J. K. (2004).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Healthy Families Center.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5), 303-318. 

  17. Tsou, K. W., Hung, Y. T., & Chang, Y. L. (2005). An accessibility-based integrated measure of relative spatial equity in urban public facilities. Cities, 22(6), 424-4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