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화 규모에 따른 미취학자녀 부모의 지역사회 가족친화성 인식 :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의 비교
Perception of Community Family-Friendliness among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n Urban and Rural Area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0 no.6 = no.120, 2012년, pp.39 - 51  

유재언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생활과학연구소) ,  진미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the association between community scales and perceived community family-friendliness among parents with young children. Communities were identified into three groups: metropolita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rural, according to the degree of urbanization. The data we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가족정책의 주요한 사업으로 다뤄지는 것은? 최근 ‘마을 만들기’나 ‘가족친화적 사회환경 만들기’가 가족정책의 주요한 사업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업들 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공동체성을 회복하여 돌봄의 사회적 으로 분담하거나 공유하는 것이다.
가족정책의 주요한 사업들을 시행하는 목적은? 최근 ‘마을 만들기’나 ‘가족친화적 사회환경 만들기’가 가족정책의 주요한 사업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업들 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공동체성을 회복하여 돌봄의 사회적 으로 분담하거나 공유하는 것이다. 2007년 제정된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도 지역사회의 공동체성을 회복하여 아동양육과 가족 돌봄을 분담하고자 하는 의도를 명시하고 있다(제2조).
마을 구성원들 간의 빈번한 상호작용의 효과는? 이러한 사업들은 전통적인 마을이나 지역사회가 공동체성과 유대를 통해 가족 돌봄을 분담하는 기능을 해왔다는 것을 전제한다. 마을 구성원들 간의 빈번한 상호작용은 서로에 대한 관심과 친밀성을 높여 아동이나 노인에 대한 공동의 돌봄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냈다고 본다. 도시화가 심화될수록 지역사회 내의 동질성이 약화되고 주민간의 상호작용과 유대가 낮아지면서 지역사회가 쇠퇴한다는 주장(Gerard, 2010; Wolff, 2010)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기정?박정윤?송원영?박경애?이은정(2010). 건강가정 지원센터 표준화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보고서.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2. 김선미?이기영?이승미?김은정?김소영?유재언(2010). 자녀양육 지원사업 개선방안 -아이돌보미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여성가족부. 

  3. 김선미?이승미?노영주?송혜림?조영희?김소영(2011). 지역 돌봄 기능 활성화 방안. 여성가족부. 

  4. 김혜영?홍승아?이택연?선보영?진미정?홍성만(2009).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5. 서문희?김은설?최진?안재진?최혜선?김유경?조애저 (2009).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육아정책개발센터. 

  6. 홍승아?김혜영?류연규(2007). 가족친화적 사회환경 구축 방안 연구-직장?지역사회의 모형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 홍승아?김혜영?류연규?相馬直直(상마직직)?조순주? 진미정(2007).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모형개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 Cha, S.(2010a). The role of institution for family-friendly community initiated by local people -The case study of livable community making project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4), 77-100. 

  9. Cha, S.(2010b). A discussion of the family-friendly village model and important facto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8(2), 63-76. 

  10. Cha, S.(2011). A study on the plan to reinforce the resident's capacity to build family-friendly community- focused on educational program of livable community building-.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5(3), 23-42. 

  11. Cha, S. & Lee, H.(2011). A study on preferences for apartment interiors, exteriors,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for a family 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Focused on apartment dwellers in Daejeon city-.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5(2), 45-62. 

  12. Claudia, J., Coulton, M., Zane, J. & Tsui C.(2012). How big is my neighborhood? Individual and contextual effects on perceptions of neighborhood scal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Published online 11 August, DOI 10.1007/s10464-012-9550-6 http://www.springerlink.com/content/40x94702q8057262/ 

  13. Gerard, D.(2010). Community(2nd Ed). London ; N.Y.: Routledge/Taylor & Francis Group. 

  14. Jung, M.(2011). The relations of community capacity and healthy behavior among Seoul residents: A multi-level study of contextual effects using community capacity indica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Jung, M. & Cho, B.(2007). The influence of community capacity in health status. 보건과 사회과학, 22, 153-182. 

  16. Jung, M. & Cho, B.(2011). A multi-level study of contextual effects of community capacity on health status among Seoul residents: focused on social qua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4), 1-14. 

  17. Jung, M. & Cho, B.(2012). The measurement of individual- level and community-level community capacity and their association with self-rated health status : A comparison of D-gu and Y-gu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1), 39-57. 

  18. Jung, M., Gil, J. & Cho, B.(2009). The measurement of community capacity using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network and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lan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3), 35-48. 

  19. Joo, J.(2012). A life course perspective on the elderly's lives in a renewed area : Exploring a changing community and its social capit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Kim, S.(2011). A study focused on rural resident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national pilot project to make a liable commun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Kim, S. & Kim, S.(2010). A study on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activity of the community library and the apartment house residents' representative committee.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1), 73-96. 

  22. Kim, S. & Lee, S.(2010). A qualitative case study focused on the national pilot project to make family-friendly communitie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4), 101-126. 

  23. Noh, S. & Chin, M.(2012). The influence of perceived family-friendliness of community on parenting efficacy and stress among parents with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3), 135-149. 

  24. Park, S.(2010).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life environment factors on the effect of multiple roles of married men/women with children : Focused on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family support facility satisfaction, family support program satisfaction, nurture and education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l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accessibilit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8(5), 53-66. 

  25. Park, S., Lee, W., Kim, H., & Ryu, J.(2009).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생활가로 연구. Family and Culture, 21(1), 151-174. 

  26. Sampson, R, J.(2012). Great American city. Chicago and the enduring neighborhood effect. Chicago ;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Sweet, S., Swisher, R. & Moen, P.(2005). Selecting and assessing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Adaptive strategies of middle-class, dual-earner couples. Family Relations, 54, 596-606. 

  28. Swisher, R., Sweet, S. & Moen, P.(2004).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and its life course fi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2), 281-292. 

  29. Wolff, T.(2010). The power of collaborative solutions : six principles and effective tools for building healthy communities. San Francisco, CA : Jossey-Bass. 

  30. Yoon, S.(2011). An ethnographic study of the meaning of life experiences of older people in rural commun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1. 국가통계포털. 인구총조사. 2010년. http://kosis.kr/index/index.jsp 

  32. 국가통계포털. 가계동향조사. 2012년 2분기. http://kosis.kr/index/index.jsp 

  33. 통계청. SGIS통계지리정보서비스. http://sgis.kostat.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