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상태불안 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ate Anxiety in Community-dwelling Unmarried Mother raising a Child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11, 2012년, pp.225 - 235  

김혜순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이명희 (신성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양육미혼모 65명을 대상으로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상태불안 정도와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재가 양육미혼모의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존중감 3.52점, 사회적지지 3.49점, 상태불안 2.47점으로 중간수준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자아존중감은 연령, 아버지의 교육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회적지지는 연령, 평소피로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태불안은 연령, 평소 피로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r=.286, p=.021)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자아존중감과 상태불안(r=-.780, p=<.001) 그리고 사회적지지와 상태불안(r=-.425, p=<.001)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아존중감에 대한 영향 변수로서 상태불안과 사회적지지와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재가 양육미혼모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를 향상시키고 상태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s of and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ate anxiety in community-dwelling unmarried mother raising a child.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65 participants with self-report qu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재가 양육미혼모 65명을 대상으로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상태불안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미혼모지원센터와 충청남도 미혼모지원센터에 등록한 재가양육미혼모를 임의표집하였고 SPSS/PC+ Win 15.
  • 본 연구는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하는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상태불안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양육미혼모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상태불안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서 재가 양육미혼모의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상태불안 세 변수의 관계를 동시에 검증한 연구는 드물며, 미혼모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미혼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집에서 자녀를 돌보고 있는 양육미혼모의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19]. 이에 본 연구는 재가 양육미혼모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 상태불안 간의 관계를 탐색할 필요가 있고, 자아존중감 향상과 상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를 계획함에 있어 재가 양육미혼모의 사회적지지와의 관련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존중감이란 무엇인가요?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을 존중하고 바람직하게 여기며, 가치 있는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21]. 본 연구에서는 Rosenberg[22]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SES)를 문태정[23]이 수정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미혼모란 무엇인가요? 미혼모는 법적으로 결혼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신했거나 분만한 여자를 말하며 그중에는 이미 결혼한 기혼자가 사별, 이혼, 별거상태에서 법적 관계가 아닌 남자와의 관계에서 임신했을 경우도 있고 또 처녀가 혼전 임신을 한 경우를 말한다[20]. 본 연구에서 재가 양육미혼모는 집에서 1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는 미혼모를 의미한다.
법적으로 결혼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신했거나 분만한 여자를 말하는 미혼모 중 자녀 양육을 결정한 미혼모들은 어떠한 편견과 문제에 맞닥뜨리게되나요? 미혼모는 법적으로 결혼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신했거나 분만한 여자를 말하며 그중에는 이미 결혼한 기혼자가 사별, 이혼, 별거상태에서 법적 관계가 아닌 남자와의 관계에서 임신했을 경우도 있고 또 처녀가 혼전 임신을 한 경우를 말한다[2]. 이중 자녀양육을 결정한 대부분의 미혼모들은 임신 확인 이후 낙태와 출산, 입양과 양육 갈등 그리고 사회적 낙인과 생계부양자로서의 경제적인 부담을 안고 편견을 넘어서 아기엄마로 홀로서기의 길을 선택하고 있다[3-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여성가족부, 미혼모의 양육 및 자립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가족지원과, 2000. 

  2. NASW,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9th. NASW Press, 1995. 

  3. 이명희, 자녀양육을 결정한 미혼모의 경험,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07. 

  4. 김혜선, 김은하, "미혼 양육모의 양육결정 체험: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1호, pp.373-393, 2006. 

  5. 최양자, "미혼모 경험",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0권, 제4호, pp.331-341, 2004. 

  6. 노승미, 미혼모가 된 과정과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2002. 

  7. 여성가족부, 미혼모 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2005. 

  8. 서울시 늘푸른여성지원센터, 늘푸른 포럼: 청소년 양육미혼모의 삶과 미래-청소년 양육미혼모 실태조사 보고, 서울시 늘푸른여성지원센터, 2008. 

  9. 이재정, 양육미혼모의 욕구에 대한 질적분석과 사회복지실천방안,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2003. 

  10. 한국여성개발원, 미혼모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984. 

  11. C. Morgan, G. N. Chapar, and M. Fisher, "Psychosocial Variables Associated with Teenage Pregnancy," Adolescence, Vol.30, No.2, p.277, 1995. 

  12. 임선희, 시설 입소 미혼양육모의 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 사회적지지 실태,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2007. 

  13. 안재진, 김지혜, "미혼모의 사회적 관계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3호, pp.61-87, 2004. 

  14. 문태정, 미혼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천안, 2004. 

  15. 이지연, 시설 미혼모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1. 

  16. 배미영, 미혼모 발생요인 분석. 미혼모집단과 비교집단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2000. 

  17. R. J. Turner, D. A. Lloyd, and P. Roszell, "Personal Resources and the Social Distribution of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27, No.5, pp.643-672, 1999. 

  18. B. L. Moran and D. L. DuBois, "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to Problem Behavior: Investigation of Differing Models,"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22, No.4, pp.407-435, 2002. 

  19. 이명희, "미혼모에 관한 국내 논문 분석", 부모.자녀 건강학회지, 제7권, 제1호, pp.73-88, 2004. 

  20. NASW,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9th, Washington DC: NASW Press, 1995. 

  21. M. Rosenberg,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 1979. 

  22.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3. 문태정, 미혼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서울, 2003. 

  24.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pp.300-314, 1976. 

  25.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1985. 

  26. C. D. Spielberger, "Anxiety on emotional state," Current trend in theory and research, Vol.1, pp.488-493, NY: Academic Press, 1972. 

  27. 김정택, 신동균, "STAI의 한국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제21권, 제11호, pp.69-75, 1978. 

  28. F. Faul, E. Erdfeder, A. Buchner, and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ast$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1, pp.1149-1160, 2009. 

  29. 김연희, 음악치료가 미혼모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0. 최유리, 음악활동이 미혼모의 불안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1. 김상옥,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2. 김진영,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3. 고은주,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4. 한영주, 10대와 20대 미혼모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35. 최연경, 사회적지지가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6. 김명숙, 사회적지지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7. C. Schaefer, J. C. Coyne, and R. S. Lazarus, "The health-related function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4, No.4, pp.381-406, 1981. 

  38. 이창숙, 통합감각프로그램이 혈액투석 환자의 상태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9. 양미선, 웃음요법이 척추수술 환자의 통증과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0. 구승신, 정옥희, 장성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9호, pp.225-23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