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에 거주하는 미혼모에게 적용된 우울 및 불안 감소를 위한 중재의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n the Contents and Effectivenes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terventions applied to Unmarried Mother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6 no.1, 2019년, pp.45 - 54  

권태균 (경북보건대학교) ,  이금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강은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  문정이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  정주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intervention for treating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unmarried mothers living in facilities, and to understand core that c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Methods: Key words in English and Korean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UMLRF에게 적용된 우울, 불안 감소를 위한 중재는 이들이 경험하는 우울과 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고 중재를 통해 효과를 통한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고찰 대상 연구에서는 우울, 불안의 변화와 더불어 인지개선 영역에 해당하는 자아개념의 변화 및 모아 애착의 향상을 측정하고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 고찰을 통해 UMLRF의 우울과 불안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된 국내외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중재의 핵심 구성요소를 파악하여 UMLRF를 위한 중재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근거기반의 지식체를 마련하고자 한다.
  • 셋째, 정서조절은 감정의 정화를 위한 영역으로 작품 또는 환경을 통해 성취감, 감정 표출, 감정의 정화, 숲 체험과 같은 신체 움직임을 통해 정서 재현을 통한 감정의 정화에 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관계개선과 관련된 영역은 아기와의 관계에 대한 내용으로 미술을 통해 자신에 대한 미래 모습, 아기에게 주고 싶은 선물, 나와 아기의 표현, 아기에게 되고 싶은 엄마의 모습을 그려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모아 관계의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교육과 놀이를 통해 부모 역할과 아기와의 관계를 향상하고 있었다.
  • 본 연구는 UMLRF를 대상으로 적용된 우울 및 불안 중재 중재를 국내외 문헌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선정된 연구에서 적용한 예술치료, 무용-동작 치료, 숲 치료 등의 중재에서는 지식증진, 인지개선, 정서조절, 관계개선을 중재의 핵심적 구성요소로 사용하여 UMLRF의 우울 혹은/그리고 불안의 개선 및 아기와의 애착향상에 기여하고 있었다.
  • 본 연구는 UMLRF에게 적용한 우울 및 불안 감소를 위해 제공된 중재의 특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연구설계의 분류는 Study Design Algorithm for Medical literature of Intervention (DAMI)16) 문헌분류도구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 선정된 문헌들은 미혼모의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중재방법들을 제시하였다. 통합적으로 고찰 한 결과, 중재를 구성하는 핵심 내용은 ‘지식제공’, ‘인지개선’, ‘정서조절’, ‘관계개선’을 위한 4가지로 구분되었다.
  • 여기에서는 UMLRF에게 제공된 중재의 방향과 제한점, 변화를 유발한 중재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고 찰 결과 UMLRF의 우울, 불안 감소를 위한 중재는 2008년도부터 2012년도 사이는 7편에서 2013년부터 2018년 사이에는 3편으로 최근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혼모의 특징은? 임신과 출산은 생의 자연스러운 과정이나 생명을 잉태하고 출산하는 과정은 건강한 여성이라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필요로 하는 고된 과정이다. 더구나 미혼모는 임신과 양육에 대한 이해와 준비가 부족한 상태로 출산하여 양육과 돌봄의 주체가 되며, 신체 및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환경 속에서 자녀양육의 부담과 빈곤에 노출된다.4)
국내에서 다양한 중재를 통해 UMLRF를 도우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한계점이 있었던 이유는? 국내에서 UMLRF의 우울,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의 개선을 위해 미술치료, 음악치료, 숲 치료, 부모 역할 교육 등 다양한 중재를 통하여 UMLRF를 도우려는 시도가 있었다[9,10]. 13-15)하지만 이와 같은 선행연구는 각각의 특정한 중재가 우울, 불안의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개별적인 효과만을 보고하였기 때문에, UMLRF의 우울과 불안을 개선하고 변화를 유도한 핵심적인 중재의 구성요소와 중재의 결과로 나타난 변화는 무엇인지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미혼모(unmarried mother)란? 미혼모(unmarried mother)란 법적인 혼인관계를 맺지 않고 아기를 임신하거나 출산한 여성을 말한다.1) 미혼모들은 개인적으로 임신의 중단을 선택하기도 하며 그 특성상 외부에 쉽게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미혼모의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im HY, Lee HK. A study of adoption decision process of nonmarried mothers: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pproach. Korean J Soc Welf. 2013 Aug;65(3):53-78. https://doi.org/10.20970/kasw.2013.65.3.003 

  2. Kostat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1996- [cited 2018 Jun 5].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SI1601&conn_pathI2 

  3. Lee SY, Lim JY, Hong JP.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Postpartum Mental Health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Dec [cited 2018 Jun 5]. 177 p. Report No.: 2017-18. Available from: https://www.kihasa.re.kr/common/filedown.do?seq39807 

  4. Kwon JM. Experiences of young single mothers' lives through QIMS(Qualitative Interpretive Meta Synthesis). Korean J Qual Res Soc Welf. 2016 Oct;10(2):77-103. 

  5. Kim HJ, Kwon JH, Choi HS. A case study on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unmarried mother. Korean J Family Soc Work. 2012 Jun;36:121-55. https://doi.org/10.16975/kjfsw.2012..36.005 

  6. Choi SH. Effects of the intervention for birthmothers lost their children to lessen the grief and social Isolation. J Korean Soc Child Welf. 2003 Dec;16:251-80. 

  7. Sung JH, Kim JH, Shin OJ.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regnancy and childbirth crisis of the unmarried mother and the improvement of support system. J Korean Soc Welf Adm. 2015 May;17(2):277-309. 

  8. Hwang R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xiety and maternal fetal attachment of unmarried mothers in a welfare center.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5 Sep;11(3):218-24. 

  9. Kwon MK, Bang KS.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 Korean Acad Nurs. 2011 Apr;41(2):276-83. https://doi.org/10.4040/jkan.2011.41.2.276 

  10. Lee KS, Roh JS, Kim SJ. Analysis of mental health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of single mothers. Korean J Woman Psychol. 2017 Dec;22(4):467-89. 

  11. Lee YW. The paradigm shift of social policy for unwed mothers in Korea. Korea Soc Policy Rev. 2017 Mar;24(1):97-115. 

  12. Kim HY, Lee MJ, Lee TM, Kim EJ, Sun BY, Jang YJ, et al. The survey of unwed mom's child support and self-reliance [Internet].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0 Dec [cited 2018 Jun 5]. 286 p. Report No.:2010-56.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researchCommon/downloadResearchAttachFile.do;jsessionid2D8D529451DBF7B22495EFF0E0BD5A28.node02?work_key003&file_typeCPR&seq_no001&pdf_conv_ynY&research_id1382000-201100003 

  13. Kim MR. A study on the teenagers unwed mother social education present condition and community dance application. Art of all. 2010 Jun;3:257-81. 

  14. Kim BY, Lim HJ, Choi YH, Kim SH, Park BJ. The stress reduction effects of forest prenatal education on pregnant woman. 2012 Joint Conference of Forest Science; 2012 Feb 8-9; Jeju, South Korea. Seoul: Korean Forest Society; 2012. 

  15. Kim HS, Kim DY.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affects on single mother's self-esteem, depressions, and anxieties. Korean J Art Ther. 2005 Jan;12(4):821-44. 

  16. Seo HJ, Kim SY, Lee YJ, Jang BH, Park JE, Sheen SS, et al. A newly developed tool for classifying study designs in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and exposures showed substantial reliability and validity. J Clin Epidemiol. 2016 Feb;70:200-5. https://doi.org/10.1016/j.jclinepi.2015.09.013 

  17. Whitte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 Adv Nurs. 2005 Dec;52(5):546-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18. The Joanna Briggs Institute. The Joanna Briggs Institute critical appraisal tools for use in JBI systematic reviews checklist for quasi-experimental studies (non-randomized experimental studies [Internet]. South Australia (AU): The Joanna Briggs Institute; c2017 [cited 2018 Jun 5]. 7 p. Available from: http://joannabriggs.org/assets/docs/critical-appraisal-tools/JBI_Quasi-Experimental_Appraisal_Tool2017.pdf 

  19. The Joanna Briggs Institute. The Joanna Briggs Institute critical appraisal tools for use in JBI systematic reviews checklist for case reports [Internet]. South Australia(AU): The Joanna Briggs Institute; c2017 [citied 2018 Jun 5]. 5 p. Available from: http://joannabriggs.org/assets/docs/critical-appraisal-tools/JBI_Critical_Appraisal-Checklist_for_Case_Reports2017.pdf 

  20. Byun IJ.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which is focusing on tactile sense of unmarried mothers in facilities on decreasing their stress [master's thesis]. Iksan: Wonkwang University; 2012. 93 p. 

  21. Yu OI. A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for improvement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ity of the unmarried mother in facilities [master's thesis]. Iksan: Wonkwang University; 2012. 77 p. 

  22. Kim YH.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unmarried mother [master's thesis]. Gunpo: Hansae University; 2008. 70 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