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문조사에서의 무응답 처리
Handling the nonresponse in sample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3 no.6, 2012년, pp.1183 - 1194  

이화정 (영남대학교 통계학과) ,  강석복 (영남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설문조사를 실시할 경우 무응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매우 드문일이며 무응답이 발생할 경우 무응답처리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응답의 두 가지 유형인 단위무응답과 항목무응답의 발생비율을 기존에 조사된 실제 사례를 이용하여 파악하였으며, 무응답률에 따른 분석결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면접조사를 통해 직접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무응답률과 무응답이 발생하는 이유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it comes to a survey, no answer would occur frequently. Therefore various methods for handling nonresponse have been applied to analyse the survey. In this paper, the ratio of occurrence of two type of nonresponse cases - unit nonresponse and item nonresponse - is presented using previous re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각 분석에서의 χ2 통계량과 유의 확률 (p-value)의 차이로 무응답률에 따른 분석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 무응답에 대한 처리 및 이해에 관해서 Ku는 선거여론조사에서 무응답을 해석하는데 있어 문제를 제기하였다. 지역 언론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언론인들은 무응답을 단순히 무관심으로 인해 답하지 않는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도 무응답의 발생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설문조사를 한 후 응답하지 않은 문항 수와 응답하지 않은 주된 이유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목적으로 인한 응답 거부나 사생활 침해와 같은 이유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용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의 음주실태, 여행, 미의 기준에 관련한 질문으로 충분이 응답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문항으로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3는 설문문항에서 항목 무응답이 발생한 비율을 요약한 것이다. 응답자를 대상으로 무응답을 분석한 것이 아니라 설문문항의 수나 질문유형에 따라 무응답의 발생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1차, 2차 조사에서는 24개 질문에서 항목 무응답이 발생하지 않은 비율은 모두 16.
  • 의뢰자가 무응답 처리에 대한 설명없이 모든 항목에서 무응답이 전혀 없는 결과를 이용한 기존 연구자들의 논문이나 보고서를 제시하며 무응답을 제거를 요구하거나 의뢰자의 설문 자료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무응답의 대체방법을 지정하여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무응답을 처리하는 방법 중 무응답 대체방법에 대해 무응답의 발생하는 상황이나 무응답 자료의 특성에 따라 살펴보고 실제 수집된 기존의 자료를 통해 설문조사에서 무응답률이 어느 정도인지에 조사하고자 한다.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무응답의 발생정도에 따라 분석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며 무응답의 처리에 있어 무응답의 원인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되므로 무응답이 발생되는 이유를 직접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는 무응답을 처리하는 방법 중 무응답 대체방법에 대해 무응답의 발생하는 상황이나 무응답 자료의 특성에 따라 살펴보고 실제 수집된 기존의 자료를 통해 설문조사에서 무응답률이 어느 정도인지에 조사하고자 한다.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무응답의 발생정도에 따라 분석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며 무응답의 처리에 있어 무응답의 원인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되므로 무응답이 발생되는 이유를 직접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단위 무응답의 처리 방법은 무엇이 있나? 일반적으로 단위 무응답의 처리 방법으로 가중값 조정 (weighting adjustment)과 무응답 자료를 분석에서 제외하는 방법이 있다. 가중값을 조정하는 방법에서 가중값은 전체 표본 집단을 여러 개의 무응답층으로 나눈 후 각 무응답층에서 응답률을 추정하여 그 역수를 무응답 조정 승수로 계산한 후 기본 가중값에 곱하여 최종 가중값를 산정한다.
무응답이란? 이처럼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할 경우 가장 먼저 직면하는 문제가 바로 결측값 또는 무응답의 처리이다. 계획된 실험에서 얻을 관측 값 중에서 어떤 사고로 관측되지 못한 측정값이 결측값 (missing value)이며 표본조사에서 표본으로 선택된 대상자들 중 일부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얻지못하는 경우를 무응답 (nonresponse)이라 한다. 실험에서 발생되는 결측값보다 설문조사에서의 무응답이 좀 더 많이 발생되며 특히 설문조사에서의 무응답은 제어하기가 어렵다.
설문조사에서의 무응답은 크게 어떻게 나뉘나? 설문조사에서의 무응답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조사 대상자로부터 전혀 정보를 얻지 못한 경우의 단위 무응답 (unit nonresponse)과 질문 문항 중 일부 문항에 대해서 응답하지 않은 항목 무응답 (item nonresponse)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bbie, E. (2007).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11th ed., Wadsworth, Belmont, CA. 

  2. Choi, P. G. (2011). The study of imputation method for item nonresponse in the economic census, Research report, the first half of 2011, Statistical Center, Statistical Research Institute, Daejeon. 

  3. Dufour, J., Gagnon, F., Morin, Y., Renaud, M. and Sarndal, C.-E. (2001). A better understanding of weight transformation through a measure of change. Survey Methodology, 27 97-108. 

  4. Hedderley, D. and Wakeling, I. (1995). A comparison of imputation techniques for internal prefeerence mapping,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Food Quality and Preference, 6, 281-297. 

  5. Kalton, G. (1983). Compensating for missing survey data, Survey Research Center,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 

  6. Kang, M. A. and Kim, K. A. (2006). Handling of missing data in public policy studi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0, 31-52. 

  7. Kim, J. K., Han, G. S. and Yoon, Y. (2004). Nonresponse weighting adjustment inn Korea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Official Statistics, 9, 79-102. 

  8. Kim, K. S. (2000). Imputation methods for nonresponse and their effect.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1, 1-12. 

  9. Kim, Y. W. and Cho, S. K. (1996). Imputation method of item nonresponse in sample survey.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3, 145-159. 

  10. King, G., Honaker, J., Joseh, A. and Scheve, K. (2001). Analyzing incomplete political science data: An alternative algorithm for multiple imputatio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5, 49-69 

  11. Ku, T. G. (2008). A study of Korean journalists' perception on poll reporting. Journal of Political Communication, 7, 47-82. 

  12. Kwon, H. N. (1997). The 15th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polls.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159-166. 

  13. Kwon, H. N. (2006). Theory and practice of media election, Comunicationbooks, Seoul. 

  14.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2012). Voter opinion survey for the 19th assembly elections,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Seoul. 

  15. Lee, S. W. and Kim, E. G. (1997). Statistical techniques for treatment of nonresponses in public health categorical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tatistics, 22, 114-132. 

  16. Groves, R. M. (2006). Nonresponse rates and nonresponse bias in household surveys. Public Opinion Quarterly, 70, 646-675. 

  17. Santos, R. L. (1981). Effects of imputation on complex statistics, income survey development program, survey development research center in nonresponse and imputation report on additional task 2, Survey Research Center,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 

  18. Shin, H. W. and Sohn, S. Y. (2002). Comparing accuracy of imputation methods for categorical incomplete data.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15, 33-43. 

  19. Singleton, R. and Bruce S. (2005). Approaches to social research, 4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 Yoon, Y. H. and Choi, B. (2012). Model selection method for categorical data with non-response. Journal of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627-6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