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리나라 5대 대설지역의 적설량 변화 분석
Spatio-temporal Analysis of Snowfall for 5 Heavy Snowfall Area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32 no.2B, 2012년, pp.103 - 111  

김샛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신형진 (K-water 연구원 수자원연구소 통합물관리연구팀) ,  하림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학과)

초록

본 연구는 5개의 대설지역을 울릉도(a), 영동북부(b), 서태백산맥(c), 소백산맥북서부(d), 남해안(e)으로 구분하여 30년(1980-2010)동안의 최심신적설자료를 이용하여 시공간적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30년 동안의 적설량과 빈도를 분석한 결과, c와 d의 일부지역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980년부터 2000년까지의 기간(A)과 1990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간(B)으로 구분하여 공간적 경향성을 비교한 결과, A에서 B기간까지 대설경보의 빈도수는 c와 d지역의 일부 지역에서 B기간 동안 감소한 경향을 명확하게 나타내었다. 연평균 적설량은 A기간부터 B기간까지 b지역이 증가하는 동안 d지역은 감소하여 지역간 큰 격차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trend of snowfall using 30 years (1980-2010) data for 5 selected heavy snowfall areas (Ulleungdo (a), Northeastern Region (b), Western Taebaek Range Inland Region (c), Northwestern Sobaek Range Inland Region (d) and Southern Coastal Region (e)). The snow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76개 기상관측소의 30년(1980-2010)간의 겨울철 (October-April) 강설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5개 대설지역을 재분류한 후, 1980년부터 2000년까지를 과거기간(A), 1990년부터 2010년까지를 최근기간(B) 그리고 1980년부터 2010년까지 전 기간(C)으로 구분하여 대설 빈도와 적설량 추세의 시계열 분석과 더불어 공간적 변화를 살펴보므로서, 2000년 들어 발생하고 있는 폭설의 시공간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강설량의 변동과 강설 특징에 대한 분석 중 2004년 3월 폭설을 기점으로 강원, 충북, 대전, 충남, 경북의 확률 강설량을 분석한 연구는 어떻게 분석되었는가? 이승호와 류상범(2003)은 서울, 강릉, 군산, 대구를 대상으로 30년(1970-2000)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1970년 이후 기온상승으로 신적설량과 강설일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며, 기온상승이 계속되어 북시베리아 고기압의 강도약화로 군산의 신적설량은 줄고 강릉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심기오(2005)는 2004년 3월 폭설을 대상으로 최심신적설을 이용하여 강원, 충북, 대전, 충남 그리고 경북의 확률강설량을 분석한 결과, 국지적으로 재현기간 200년 빈도를 넘어선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대설은 어떤 지역에서 자주 발생하는가? 대설은 육지와 바다의 온도차가 큰 지역, 산지가 높아 구름의 상승이 잘 되는 지역, 기단의 변질이 따뜻한 바다위에서 일어나는 지역 등에서 자주 발생한다(Kocin and Ucceliini, 1990). 우리나라의 대설지역은 지역별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 여름철 강수량은 겨울과 비교해 어떠한가? 한편 우리나라 여름철 강수량은 연평균 60%에 가깝지만 겨울철 강수량은 대부분 10% 수준으로 이에 대한 시공간적 특성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강설량의 변동과 강설 특징을 분석한 대표적인 연구를 살펴보면, Ye and Mather(1997)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강설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Fre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박근애(2008) 미래 기후변화가 농업수자원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 소방방재청(2001) 재해연보. 

  3. 소방방재청(2004) 재해연보. 

  4. 신형진, 박민지, 조형경, 박근애, 김성준(2010) LARS-WG 상세화 기법을 적용한 미래 기온 및 강수량 전망 및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한국농공학회, 제52권, 제4호, pp. 83-91. 

  5. 심기오(2005) 2004년 3월 폭설의 확률강설량 분석, 대한토목학회 2005년 정기학술대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6. 이경미, 이승호(2006) 호남 지방의 국지적 강설 분포와 그 차이 의 원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제41권, 제4호, pp. 457-469. 

  7. 이병설(1979) 남한의 강설분포에 관한 연구, 지리학과지리교육, 제9권, pp. 224-235. 

  8. 이승호, 천재호(2003) 시베리아 고기압 확장시 호남 지방의 강설 분포-노령 산맥 서사면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제38권, 제2호, pp. 173-183. 

  9. 이승호, 류상범(2003) 전구 기온 상승이 한국의 적설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제38권, 제4호, pp. 463-477. 

  10. 정관영, 정영선, 황병준(1999)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한반도 강설 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5권, 제3호, pp. 466-473. 

  11. 최광용, 김준수(2010) 우리나라 대설 시 지상 종관 기후 패턴,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제45권, 제3호, pp. 319-341. 

  12. 최진식(1990) 남한의 강설지역구분과 강설의 지역적 특성, 지리학, 대한지리학회, 제41권, 제1호, pp. 35-48. 

  13. Changnon, S.A. (1979) How a severe winter impacts on indivisuals, Bull, Amer, Meteor, No. 50, pp. 110-114. 

  14. Conover, W.J. (1971) Practical nonparametric statistics, 2nd edn.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99-105. 

  15. Frei, A., Robinson, D.A., and Hughes, M.G. (1999) Northern American snow extent: 1900-1994, Int. J. Climatol., No. 19, pp. 1517-1534. 

  16. Hirsch, R.M. and Slack, J.R. (1984), A nonparametric trend test for seasonal data with serial dependence, Water Resource Research, Vol. 20, pp. 727-732. 

  17. Mann H.B. (1945) Non-parametric tests against trend, Econometrica, Vol. 13, pp. 245-259. 

  18. Kendall M.G. (1975) Rank correlation methods, Charles Griffin, London. 

  19. Kocin, P.J. and Uccellini L.W. (1990) Snowstorms along the Northeastern Coast of the United States: 1955 to 1985, Meteor. Monogr, No. 44, Amer. Meteor. Soc., pp. 280. 

  20. Schmidlin, T.W. (1993) Impacts of servere winter weather during December 1989 in the Lake Eric snowbelt. J. Climate No. 6, pp. 759-767. 

  21. Ye, H., Cho, H.R., and Gustafson, P.E. (1998) The changes in Russian winter snow accumulation during 1936-83 and its spatial patterns, J. Climatol., No. 11, Vol. 5, pp. 856-863. 

  22. Ye, H. and Mather, J.R. (1997) Polar snow cover changes and global warming, Int J. Climatol., Vol. 17, pp. 155-1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