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기반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Web-Based Ventilator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11, 2012년, pp.5284 - 5291  

최영순 (강릉아산병원 간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이 연구는 간호현장의 간호요구를 반영한 웹기반의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업무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교육프로그램은 ISD 모델 구축과정인 분석, 설계, 개발, 운영, 평가의 방법으로 개발되었다.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2011년 4월부터 7월까지이며, 자료분석SPSS 18.0을 이용하였다. 분석단계에서 문헌고찰과 요구도분석, 내용분석, 학습자분석, 기술 및 환경분석 등이 실시되었다. 이 과정에서 인공호흡실무에 대한 교육요구가 높았고 대상자의 다수는 30세 이하로 3년 미만의 중환자실 경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설계단계에서는 내용전문가 집단이 제공한 콘텐츠 교육내용을 프로그램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정보설계, 상호작용설계, 동기설계가 시행되었다. 또한,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학습단원의 정보를 구분하여 구성하고, 각 주제 단원마다 그래픽, 음성, 동영상을 삽입하여 교육의 효과를 증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돕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포함하여 설계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이야기 전개도를 작성하고 관련문헌과 자료 검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통합 제작하였다. 운영 및 평가단계에서는 개발된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전문가와 대상자로부터 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한 후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웹기반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구축단계에서 간호실무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되어 간호업무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Web-Based Ventilator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the needs of nursing site nursing which is intended to help nursing duties. ISD model-building process has been developed for th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operation, and evaluation of methods. Th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현장의 간호요구를 반영한 웹기반의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사의 간호 업무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현장의 간호요구를 반영한 웹기반의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사의 간호업무에 도움을 주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 전문가와 대상자로부터 개발된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후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전반적인 이용에 관한 상황을 평가하는 것이다.
  • 프로그램 구성내용은 간호사가 인공호흡관리를 시행할 때 필요한 교육요구를 파악하여, 요구가 높았던 인공호흡기 모드(mode)의 적응증과 작동, 이탈(weaning)에 관한 내용, 인공호흡기 작동 시 감시해야 할 지표 등에 중점을 두고 컨텐츠를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한편 인공호흡 관련 국내 웹사이트나 교육 프로그램이 거의 부재한 상황이어서 기존의 문헌고찰, 관련 학회에서 시행되는 인공호흡관리 교육자료, 의료기관의 간호사 교육자료를 참조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8, 15], 정보의 출처를 명시하여 이용자가 신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교육내용에 대한 부족을 경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자료 수집과 내용전문가의 협조를 통하여 교육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웹을 이용한 교육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인터넷이 정보제공의 주요수단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보건의료정보 제공에서도 인터넷이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통로로 활용되고 있다[1]. 특히 웹을 이용한 교육은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해 학습기회를 갖지 못했던 사람들에게 학습의 가능성을 열어주며, 활발한 상호작용과 상호교류를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생성하고 확장한다[2].
웹기반 교육의 장점은 무엇인가? 웹기반 교육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만 갖추어진다면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하다. 이것은 기존의 면대면 교육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모이게 하는데 비해 교육 자체를 학습자들이 있는 곳으로 가져다주는 교육시스템이라는 점[2]에서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는 매우 큰 장점을 지닌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부터 웹기반 간호사 교육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었으며[3], 웹기반을 통한 간호교육은 전통적인 학습방법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었던 학습성과는 물론 학습자에게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학습기회를 부여 하여[4], 3교대 근무로 정기적인 시간에 교육을 받지 못하는 간호사들에게 시간적ㆍ공간적 접근성을 높여주며 자기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계속적인 교육이 가능 하여 직무향상을 위한 유익한 교육방법이 될 수 있다[5].
실제로 간호사들에게 실시되는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인공호흡기는 중환자실에서 생명연장과 치료의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6, 7], 의료장비의 다양화로 인공호흡기 또한 새로운 기능을 보여주는 다양한 기종의 인공호흡기가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간호사들에게 실시되는 교육프로그램은 간호실무나 개인차가 고려되지 않는 지면이나 강의에 의한 집단 대상의 획일화된 교육이 대부분이다[8]. 이에 간호실무를 고려하고 웹기반 교육의 장점을 최대한 살린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간호사의 자기학습과 계속교육 요구에 부응하고, 시간적ㆍ공간적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능동적ㆍ자율적 학습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 J. Kwon, "Practical Study of Web-based Education Sites Analysis and Effective Appli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3. 

  2. S. K. Lee, "Nursing education theory present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2008. 

  3. I. S. Jeon, "Nursing Hemodialysis patients" the development of web-based education program", Ewha Woman's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0. 

  4. E. S. Jeong, et al.,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 on Safety for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3), pp. 485-494, 2004. 

  5. H. J. Jeong, "Hemodialysis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Web-based Learning System", Journal of nursing query. 9(1), pp. 146-166, 2000. 

  6. S. C. Bourke, "Noninvasive ventilation in ALS; indication and effect on Quality of life", Neurology, 122: 61(2), 171-177, 2003. 

  7. J. Timothy, Do. Barreiri, & J. David, (2007). "Noninvasive ventilation. Critical care clinics", 201-222. 

  8. J. S. Choi,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eb-based, blood-borne infection control program",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07. 

  9. S. W. Kang, "Development of a health information Web site evaluation tool for diabetes mellitus",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4. 

  10. W. J. Doll, & G. Torkzadeh., "The Measurement of End-User Computing Satisfaction", MIS Quarterly, 12(2), 1988. 

  11. S. S. Kim, et al., "A Study on the User's Satisfaction of Agriculture Information System", Agro Informatics Journal, 1(1), pp 1-11, 1999. 

  12. H. J. Bak, "Development of Educational Video Program on Women's Urinary Incontinence :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Ewha Woman's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01. 

  13. J. L. Ha, "Implementation of the ISD Model for a Figure Stud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 

  14. J. A. Kim,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Web-based continuing Nurse Education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7(2), pp 361-375, 2001. 

  15. Y. B. Kim, "Study of the medical personnel on the Status of Needle Stick Injur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3), pp. 605-622, 199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