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의 HIV/AIDS 교육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 of HIV/AIDS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by Teaching-Learn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9, 2016년, pp.519 - 532  

서명희 (전북대학교병원 감염내과) ,  정석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의 HIV/AIDS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HIV/AIDS 교육 프로그램을 토의식 교수학습방법과 강의식 교수학습방법으로 각각 적용 한 후, HIV/AIDS 관련 지식과 태도 그리고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사전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 의학전문대학원 학생 총 116명으로, 각각 토의군 60명, 강의군 56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5년 8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2$-test, One-tailed independent t-test, One-tailed Mann-Whitney U-test, One-tailed Wilcoxon signed-rank test, One-tailed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HIV/AIDS 지식, 태도 그리고 교육 만족도에 대하여 강의군과 토의군 두 그룹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두 그룹 모두 교육 전 보다 교육 후에 HIV/AIDS 지식과 태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HIV/AIDS 지식과 태도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하여 교육 대상 및 목적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n HIV/AIDS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using a teaching-learning methods.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 A total of 116 professional gradu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학전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방법을 다르게 적용하여 그룹간 및 교육전후 HIV/AIDS관련 지식과 태도의 차이를 비교한 연구로서, 대상자에게 현실적이면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에게 HIV/AIDS에 관한 교수학습방법을 강의식 교수학습방법과 토의식 교수학습방법으로 적용하여 비교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더욱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HIV/AIDS에 관련한 태도 개선에 중점을 둔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한 후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을 일반적으로 실제 교육환경에서 용이하게 적용 가능한 두 가지 교육학습방법, 즉 강의식 교수학습방법과 토의식 교수학습방법으로 각각 교육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정착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가설1 : 토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은 강의식 교육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보다 HIV/AIDS 관련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2) 가설2 : 토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은 강의식 교육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에 비해 HIV/AIDS 관련 태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 4) 가설4 : 강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은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HIV/AIDS관련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5) 가설5 : 강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은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HIV/AIDS관련 태도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6) 가설6 : 토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은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HIV/AIDS관련 지식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7) 가설7 : 토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은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HIV/AIDS관련 태도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가설1: 토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은 강의식 교육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보다 HIV/AIDS 관련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가설2: 토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은 강의식 교육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보다 HIV/AIDS 관련 태도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가설3: 토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은 강의식 교육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보다 교육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
  • 가설4: 강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은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HIV/AIDS관련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가설5: 강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은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HIV/AIDS관련 태도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가설6: 토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은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HIV/AIDS관련 지식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가설7: 토의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받은 군은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HIV/AIDS관련 태도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IDS에 대한 3제 병합요법의 도입으로 변화된 점은? 질환이 출현하고 치료제가 개발되지 못했던 1990년대 후반까지는 질환에 대한 지식이 낮고, 공포의 질환, 혐오의 질환으로 인식되어 부정적인 인식이 만연하였다[1]. 그러나 1997년 이후 3제 병합요법이라는 치료법이 표준 치료법으로 시행됨으로써 약제를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만으로도 비감염인과의 생존율에 차이가 없을 정도로 치사율이 낮아졌고, 2000년대 초반부터 UNAIDS와 WHO에서는 HIV/AIDS를 만성질환으로 규정해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HIV/AIDS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과 편견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2,3]
전문가들이 주장하는 신규감염인의 증가와 일반인들이 가지는 감염인에 대한 차별의식의 연관성은?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에서 신규감염인의 증가의 원인 중 하나가 일반인들이 가지는 감염인에 대한 차별의식 때문이라고 하였다. 즉, 일반인들이 가지고 있는 HIV 감염인의 감염경로 및 성적인 선입견 등에 대한 차별의식이 크기 때문에 감염에 취약한 대상자들이 진단 검사를 받기 꺼리게 되고, 진단검사가 늦어짐에 따라서 질병의 발견과 치료가 지연되어 본인도 감염된 사실을 모른 체 다른 여러 사람에게 감염시키게 됨으로써 신규감염인이 늘어나게 된다는 것이다[5]. 우리나라에서 HIV/AIDS에 대한 대중적인 인식 및 태도는 부정적이며, 다른 나라와의 비교에서도 더욱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6].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에 AIDS 환자가 처음으로 보고된 년도는? 1981년 처음으로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로부터 AIDS 환자가 보고된 것을 시작으로 HIV/AIDS에 대한 역사는 35년 정도가 되었다. 질환이 출현하고 치료제가 개발되지 못했던 1990년대 후반까지는 질환에 대한 지식이 낮고, 공포의 질환, 혐오의 질환으로 인식되어 부정적인 인식이 만연하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Brusaferro, P. Martina, L. Puzzolante, V. Gasparini, "Epidemiological study on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ur of health care workers with respect to HIV infection", La Medicina del lavoro, 88(6), pp. 495-506, 1996. 

  2. UNAIDS and WHO, "UNAIDS 2003 Report. Geneva: UNAIDS", 2003. 

  3. R. Parker, P. Aggleton, "HIV and AIDS-related stigma and discrimination: a conceptual framework and implications for ac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57(1), pp.13-24,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277-9536(02)00304-0 

  4. UNAIDS, AIDS by the numbers 2015 [Internet]. Geneva: UNAIDS, Available From: http://www.unaids.org/sites/default/files/media_asset/AID S_by_the_numbers_2015_en.pdf(accessed Jan., 2, 2016) 

  5. Chosun ilbo. "Increasing AIDS cases due to prejudice in Korea" [Internet]. Seoul : Chosun.com [cited 2014 Oct 28], Available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0/28/2014102800210.html (accessed Dec., 10, 2015) 

  6.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survey on HIV/AIDS knowledge, attitudes, beliefs, and behaviors in the general population, 2013", Cheongju: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7. Y. H. Shin, & Y. H. Hong, "Colleg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AIDS in Pusan and Ulsan areas",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26(1), pp. 33-42, 1996. 

  8. S. H. Her, J. E. Kim, S. M. Kim, S. H. Kim, D. G. Kim, S. Y. Kim, M. H. Hong, Y. S. Choi, "Medical students' knowledge about AIDS/STDs: Comparing with non-medical student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0(2), pp. 85-90, 2007. 

  9. M. R. Lee, "A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AIDS in undergraduates for the health-related department and the health-unrelated depart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1(2), pp. 213-222, 2011. 

  10. Y. Kim, J. S. Han, & O. Lee,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HIV/AIDS in Comparison with Chronic Hepatitis B among Female Nursing and Non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2), pp. 31-40, 2014. 

  11. J. S Han, H. Cho, Y. Kim, & O. H. Kim,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nursing intention toward AIDS and chronic hepatitis B",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3), pp. 201-208, 2012.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3.201 

  12. J. S. Lee, H. J. Yoon, & H. S. Kim,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medical professionals about AID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15(1), pp. 57-77, 2005. DOI: http://dx.doi.org/10.4332/KJHPA.2005.15.1.057 

  13. Y. Yang, "Types of AIDS Knowledge and Attitudes in a Korean Population and Their Related Factor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1(4), pp. 51-62, 2015. 

  14.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Activating HIV testing in Based Hospital", Final Report. Incheon City.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006 March. Report No: None. 

  15. M. H. Seo, S. H. Jeong, J. H. Shin, & M In Le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HIV/AIDS among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1), pp. 255-265, 2015.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11.255 

  16.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valuation of 2012 Education Work for Health care provider. Final Report. Incheon City: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013 November. Report No: None. 

  17. J. H. Lee, "A study of change in AIDS perception of HIV counseling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15. 

  18. J. K. Lee, "Effects of AIDS education on knowledge, prejudice, susceptibility, severity and intention of safe sex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2), pp. 258-269, 2010. 

  19. Y. Han, "The effect of AIDS education o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3), pp. 467-476, 2001. DOI: http://dx.doi.org/10.3946/kjme.2011.23.1.27 

  20. Y. H. Kim, P. J. Kim, "Introduction to Lifelong education", Paju: Yangseowon. pp. 256-257, 2015. 

  21. K. W. Kwon, K. M. Lee, H. S. Kim, J. S. Kim, & K. K. Chung, "Measurement of effects of health educational methods on sex and AID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7(2), pp. 111-124, 2000. 

  22. J. K. Lee, "The Effect of an AIDS Education Program of Nuring Students on Knowledge, Attitudes, Fear of Contagion and Nursing Intention about AI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4(1), pp. 5-14, 2002. 

  23. J. T. Song, H. M. Kim, & E. J. Lee, "Effects of Discussion Centered AIDS AIDS Education on Knowledge, Prejudice, Social Interaction, and Intention for Preventio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4), pp. 515-523, 2007. 

  24. H-J. Lee, S-K. Hwang, "The Effect of Activity-oriented AIDS Prevention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Middle School Boy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4), pp. 17-27, 2010. 

  25. M-Y. Kang, "Comparison of the effect of AIDS education methods on AIDS-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Psychodrama, 9(1), pp. 21-34, 2006. 

  26. W. B. Park, E. Y. Jang, M. S. Seo, S. R. Phyo, S. H. Kang, S. J. Myung, N. J. Kim, M-D. Oh, H. Y. Shin, & J-S. Shin. "Experience of teaching a class with a film: cognitive changes with regard to HIV",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3(1), pp. 27-32, 2011. 

  27. S. H. Park, M. S. Yeom, "Teaching-learning and instructional technology(2nd ed)", Seoul: Hakjisa. pp. 189-200, 2011. 

  28. J. H. Ya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AIDS education program for health care work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9(1), pp. 121-131, 2007. 

  29. S. A. Kim, "Change of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AIDS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4(2), pp. 216-228, 2000. 

  30. T. V. McCann, R. J. Sharkey, "Educational Intervention with International Nurses and Changes in Knowledge, Attitudes and Willingness ot Provide Care to Patients with HIV/AID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2), pp.267-273, 1998. DOI: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8.00513.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