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동 중 구급차에서 1급 응급구조사의 기관내 삽관
Endotracheal Intubation of Paramedics in a Moving Ambula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11, 2012년, pp.5292 - 5298  

심규식 (충청남도 천안서북소방서)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동 중 구급차에서 응급구조사의 삽관자세 변화에 따른 시야의 높이 변화가 기관내 삽관의 신속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하고 환자의 삽관자세 변화가 기관내 삽관의 신속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심정지 및 외상성 응급 환자에게 효과적인 전문기도관리를 시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C도 13개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1급 응급구조사 60(대조군30명, 실험군30명)명을 편의추출하여 시행하였으며, 자료 분석SPSS WIN 14.0 Version을 사용하여 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기도관리의 신속성 향상을 위해서는 환자의 냄새맡기 자세와 주들것과 응급구조사 시트 사이 공간에서의 기관내 삽관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고 실험 후의 삽관 자신감이 유의하게 상승 하였으므로 전문기도관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구급차 내에서의 삽관자세와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the effectively advanced airway management in an emergency patient with cardiac arrest and trauma by comparing the appearance of influence in a change of visual-field height upon endotracheal intub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position with intubation of pa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 전 처치의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119 구급대의 기관내 삽관을 활성화 시키고, 심정지 및 외상성 응급환자의 소생률을 향상시키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 되었다.
  • 본 연구는 1급 응급구조사가 이동 중인 구급차에서 기관내 삽관을 실행할 경우 응급구조사의 삽관 자세 변화와 환자의 삽관자세 변화에 따른 신속성을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이동 중 구급차에서 응급구조사의 삽관자세 변화에 따른 시야의 높이 변화와 환자의 삽관자세 변화가 기관내 삽관의 신속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하여 심정지 환자 및 경추보호대를 적용한 외상성 응급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전문기도관리의 방법을 알아보고자 시행 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 13개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119구급대원 중 1급 응급구조사 60명을 편의추출방식으로 선발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software 14.
  • 본 연구는 이동 중 구급차에서 응급구조사의 삽관자세 변화에 따른 시야의 높이 변화와 환자의 삽관자세 변화가 기관내 삽관의 신속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하여 심정지 환자 및 경추보호대를 적용한 외상성 응급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전문기도관리의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또한 전산소화 (과환기)가 된 성인에서 산소포화도가 90%이상으로 약8분간 무호흡상태가 유지되며[15], 현재 2인 또는 3인 구급출동 시스템의 움직이는 구급차에서 흉부압박을 하는 동안의 기관내 삽관 또는 보조자 없이 응급 호흡유지를 위한 기관내 삽관을 시행할 경우 많은 변수가 작용하므로 실제 환자를 가정하여 최대 60초 초과 시 ‘실패’로 기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관내 삽관에 가장 적합한 자세는 무엇인가? 기관내 삽관은 Charles kite에 의하여 처음 소개된 이후 전문기도관리에서 가장 확실한 기도 유지 방법으로[1] 기도를 독립시키고 개방성을 유지하며, 이물질 흡인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기관에서의 흡인을 가능하게 하며 약물주입의 통로를 제공하고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일회호흡량을 전달할 수 있다[2]. 기관내 삽관에 가장 적합한 자세는 “냄새맡는 자세(sniffing position)”로 1913년 Jackson에 의해 처음 고안된 이후 기관내 삽관 시 기본적인 자세로 알려져 있으며[3], Bannister와 Macbeth[4]는 1944년 “냄새 맡는 자세”를 취하면 구강축, 인두축, 후두축이 거의 일직선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성문부가 잘 보이게 된다는 세 축 정렬 이론(three axis alignment theory)를 발표하였고 이는 오랫 동안 “냄새 맡는 자세”의 사용에 정당성을 부여해왔다[5,6].
심정지 환자 또는 호흡계 응급환자의 소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의 냄새맡기 자세와주들것과 응급구조사 시트 사이 공간에서의 기관내 삽관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삽관 경험에 대한 실험군(주들것과 응급구조사 시트 사이 공간에 앉은 자세)과 대조군(응급구조사 시트에 앉은 자세)의 기관내 삽관 신속성 차이분석결과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환자의 삽관자세에 따른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삽관 속도 차이는 냄새맡기 자세와 중립자세 모두에서 실험군의 평균 삽관 속도가 대조군 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전ㆍ후 대상자들의 기관내 삽관에 대한 자신감 변화는 삽관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에게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자신감이 상승했고 대상자의 삽관자세에 따른 자신감 변화에서는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자신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심정지 환자 또는 호흡계 응급환자의 소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의 냄새맡기 자세와주들것과 응급구조사 시트 사이 공간에서의 기관내 삽관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기관내 삽관이란 무엇인가? 기관내 삽관은 Charles kite에 의하여 처음 소개된 이후 전문기도관리에서 가장 확실한 기도 유지 방법으로[1] 기도를 독립시키고 개방성을 유지하며, 이물질 흡인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기관에서의 흡인을 가능하게 하며 약물주입의 통로를 제공하고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일회호흡량을 전달할 수 있다[2]. 기관내 삽관에 가장 적합한 자세는 “냄새맡는 자세(sniffing position)”로 1913년 Jackson에 의해 처음 고안된 이후 기관내 삽관 시 기본적인 자세로 알려져 있으며[3], Bannister와 Macbeth[4]는 1944년 “냄새 맡는 자세”를 취하면 구강축, 인두축, 후두축이 거의 일직선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성문부가 잘 보이게 된다는 세 축 정렬 이론(three axis alignment theory)를 발표하였고 이는 오랫 동안 “냄새 맡는 자세”의 사용에 정당성을 부여해왔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 Brandt. "The first reported oral intubation of human trachea" Anesth Analg, Vol. 66, No. 1, pp. 1197-1198, 1987. 

  2. C. A. Hagberg, "Benumof's airway management: principle and practice." 2nd ed, pp. 502-531, Philadelphia: Mosby-Elsevier, 2007. 

  3. C. Jackson, ″The technique of insertion of intratracheal insufflation tubes.″ Surg Gynecol Obstet, Vol. 6, No. 3, pp. 230, 1996. 

  4. F. B. Bannister, R. G. Macbeth, "Direct laryngoscopy and tracheal intubation." The Lancet, Vol. 244, No. 6325, pp. 651-654, 1944. 

  5. F. Adnet, SW. Borron, JL. Dumas, F. Lapostolle, M. Cupa, C. Lapandry, "Study of the ' sniffing positio n′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esthesiology, Vol. 94, No. 1, pp. 83-86, 2001. 

  6. F. Adnet, C. Baillard, SW. Borron, C. Denantes, L. Lefebvre, M. Galinski M, et al: "Randomized study comparing the ′sniffing position′ with simple head extension for laryngoscopic view in elective surgery patients.″ Anesthesiology, Vol. 95, No. 4, pp. 836-841, 2001. 

  7. G. Kovacs, JA. Law, C. Mc. Crossin, M. Vu,D. Leblanc, J. Gao, ″A comparison of a fiberoptic stylet and a bougie as adjuncts to direct laryngoscopy in a manikin-simulated difficult airway.″Ann Emerg Med, Vol. 50, No. 6, pp. 676-685, 2007. 

  8. A. de. Laveaga, M. C. Wadman, L. Wirth , M. S. Hallbeck, ″Ergonomics of novices and experts during simulated endotracheal intubation.″Work: A journal of Prevention, Assessment and Rehabilitaion, Vol. 41, No. 1, pp. 4692-4698, 2012. 

  9. H. W. Yun, E. Y. Yu, Y. H. Yun, ″Comparison of Educational Effects of Difficult Endotracheal Intubation in the 119 Rescue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1, pp. 254-265, 2011. 

  10. B. C. Kim, B. S. Kang, H. G. Song, J. H. Lee, K. J. Song, Y. K. Jeong, ″Endotracheal intub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of an tertiary care center.″ J Korean Soc Emerg Med, Vol. 10, No. 4, pp. 579-586, 1999. 

  11. Y. J. Tak, S. J. Kim, S. T. Kim, ″A Comparison-study of the Effects of Conventional and Video Laryngoscopic Intubation on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Korean J Anesthesiol, Vol. 54, No. 5, pp. 513-518, 2008. 

  12. I. S. Yu, H. Kim, Y. G. Min, J. Y. Baek, C. S. Bong, T. H. Eom, J. H. Jeong, ″Guideline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on.″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of National Medical Center, pp. 22-23. 2007. 

  13. K. J. Song, D. J. Oh, ″Current Status of CPR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73, No. 1, pp. 4-10, 2007. 

  14. Y. Kim, G. Y. Jeong, G. H. Cho, H. Kim ″ Establishment of basic plan for emergency medical care and the evalu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on emergency medical care.″ Korea Health Industy Development Institute, 2005. 

  15. R. M. Walls, "Manual of Emergency Airway Management", pp. 27-28,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 

  16. R. A. Berg, A. B. Sanders, K. B. Kern, R. W. Hilwig, J. W. Heidenreich, M. E. Porter, G. A. Ewy, ″Adverse Hemodynamic Effects of Interrupting Chest Compressions for Rescue Breathing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 Ventricular Fibrillation Cardiac Arrest″ Circulation, Vol. 104, pp. 2465-2470, 2001 

  17. Y. K. Jun, S. O. Jo, T. O. Jeong, Y. H. Jin, J. B. Lee, J. C. Yoon, J. H. Kim, H. G. Lee, ″Evaluation of Pre-hospital Care Provided by 119 Rescuers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 Transported to Tertiary Emergency Department Covering a Rural Area.″ J Korean Soc Emerg Med, Vol. 22, No. 5, pp. 391-399, 2011. 

  18. W. J. Choi, K. J. Cho, ″A Comparison of Endotracheal Intubation using the Macintosh Laryngoscope. the Gum Elastic Bougie and the Pentax AirWay Scope in Neck-Stabilized Manik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15, No. 3, pp. 71-80, 2011. 

  19. I. Takenaka, K. Aoyama, T. Iwagaki, H. Ishimura, T. Kadoya, ″The sniffing position provides greater occipito-atlanto-axial angulation than simple head extension: a radiological study.″ Can J Anaesth, Vol. 54, No. 2, pp. 129-33, 2007. 

  20. HJ. Schmitt, H. Mang: ″Head and neck elevation beyond the sniffing position improves laryngeal view in cases of difficult direct laryngoscopy.″ J Clin Anesth, Vol. 14, No. 5, pp. 335-338, 2002. 

  21. S. Isono, A. Tanaka, T. Ishikawa, Y. Tagaito, T. Nishino, ″Sniffing position improves pharyngeal airway patency in anesthetized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nesthesiology, Vol. 103, No. 3, pp. 489-494, 2005. 

  22. F. Thiboutot, P. C. Nicole, C. A. Tre'panier, A. F. Turgeon, M. R. Lessard, ″Effect of manual in-line stabilization of the cervical spine in adults on the rate of difficult orotracheal intubation by direct larygoscop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an J Anaesth, Vol. 56, No. 6, pp. 412-418, 20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