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시소비성향집단별 패션관여가 자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shion Involvement on Self-Satisfaction by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Group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6 no.11, 2012년, pp.1162 - 1173  

박현주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  박숙현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lassifies conspicuous consumption groups and the difference of fashion involvement and selfsatisfaction by each group. It also examined the effect of fashion involvement on self-satisfaction by each group. A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for the study method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4. 과시소비성향집단에 따른 패션관여도가 자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그러나 과시소비성향을 특성별로 분류하여 구매행동을 살펴본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시소비성향을 가진 소비자 특성을 집단별로 분류하여 패션관여도와 자기만족도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첫째, 과시소비성향집단을 유형화하여 각 집단별 패션관여도와 자기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과시소비집단별로 패션관여도가 자기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브랜드 타깃 소비자의 특성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만족도의 의미를 개인생활에서 주관적으로 느끼는 충족감 또는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외모, 생활, 경제, 대인관계에 관련한 주관적이며 개인적인 만족감이라고 정의내리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시소비란 무엇인가? 과시소비란 제품이 나타내는 상징성을 통해 자신의 지위나 경제적 부를 표현하기 위하여 타인에게 과시할 수 있는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Park et al., 2002).
과시소비성향이 여성소비자들에게 잘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여성소비자들은 외모를 통해서 사회적 인정을 받으려는 경향이 남성보다는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패션상품구매 시 과시소비성향이 잘 나타난다. 그리고 이런 고가의패션상품을 수단으로 한 과시성향은 자기만족도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고가의 패션상품을 수단으로 한 과시성향이 자기만족도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이런 고가의패션상품을 수단으로 한 과시성향은 자기만족도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외모가 개인의 자아존중감, 인간관계 그리고 행동양식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Choi & Chang, 2010; Choi, 2010; Choi, 2003; J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a, K. H. (2004).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and leisure participation to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Leisure Studies, 2(2), 27-38. 

  2. Choi, J. W., & Chang, M. S. (2010). A study o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purchasing motives, selection criteria, satisfaction of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4), 628-641. 

  3. Choi, M. Y. (2010). A study on the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role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8), 15-28. 

  4. Choi, S. H. (2003).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product characteristics and conspicuous consumption on the fashion luxury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2), 209-218. 

  5. Chung, K. J. (2004). Effect of self-disclosur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body exposure in cloth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6. Chung, M. S. (2011). The effects of vanity and marital satisfaction on choth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3), 347-358. 

  7. Ha, J. K., & Kim, J. H. (2008). A study on the TV media star conformity and information source by the types of fashion involve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6), 1197-1204. 

  8. Jang, J. S. (2009). The effects of pilates participation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9. Jung, J. W., Joung, S. H., & Cha, K. W. (2003). Materialism,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reference for imported luxury brand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5), 181-192. 

  10. Kim, H. J. (2008). A study on the appearance involvement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 depending on narciss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Kim, J. G., Suh, M. A., Lee, Y K., & Lee, S. H. (1996). The life satisfaction, appearance satisfaction, clothing satisfaction, and clothing design perferance of women aged 55 years and older in Seoul.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4(1), 57-74. 

  12. Kim., K. K., Lee, K. S., & Chung, M. S. (2001).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on cloth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9), 95-102. 

  13. Kim, S. K. (1995).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clothing behavior-Age and sex in adult and elderly grou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6, 49-67. 

  14. Ku, Y. S., & Choo, T. G. (1996). A study on clothing buying behavior by clothing involvemen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4(2), 173-185. 

  15. Lee, J. (2008). Achievement of personal goals and life-satisfaction: The role of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6. Lee, M. A. (2010). Comparative study between married and unmarried women on consumption values and clothing benefits-Focusing on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5), 808-818. 

  17. Lee, M. H.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in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8), 97-109. 

  18. Lim, K. B. (2001). The influences of consumer's value systems on clothing involvements and shopping orien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7), 1321-1331. 

  19. Lim, K. B. (2005). A study on the women consumers'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involvement-Comparative analysis of large and small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68-78. 

  20. Lim, S. J., Sin, H. B., Kim, H. J., & Lee, H. M. (2001). 패션 마케팅과 소비자 행동 [Fashio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Seoul: Kyomunsa. 

  21.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2), 134-143. 

  22. Ok, K. E. (2000). A study on benefit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 of apparel purchase related to usage situation and consumer invol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3. Park, E. J., & Chung, M. S. (2012).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 and body image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5), 549-561. 

  24. Park, H. J., & Park, S. H. (2011). Fashion and beauty involvement according to a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 77-88. 

  25. Park, M. J., Lim, S. J., & Lee, S. H. (2002).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by conspicuous consumption and imported-brand pre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1), 3-14. 

  26. Rhee, Y. S. (2000). Clothing importance perception and clothing involvement: In relation to value, fashion opinion leadership and shopp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4), 549-559. 

  27. Self-Satisfaction. (2012). Naver Dictionary. Retrieved July 2, 2012, from http://dic.naver.com/search.nhn?dicQuery 

  28. Shin, Y. W. (2006). A study on influencing variables of ma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9. Son, Y. E. (2000).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housewives in relation to their job.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30. Suh, Y. H., Oh, H. S., & Jeon, M. J. (2011). A study on how chemyon influence consuming behaviors for the luxury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3(1), 25-31. 

  31. Veblen, T. (1899).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An economic study of institutions. N.Y.: Macmillan. 

  32. You, K. S. (1997). A study on clothing design style preference and clothing purchase motive associated with sex role identity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6), 15-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