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령에 따른 과시소비성향이 패션관여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on Fashion Involvement by Age Groups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4 no.1, 2012년, pp.56 - 63  

박현주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  박숙현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by age on fashion involvemen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54 females in their 20s-50s.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4. 과시소비성향이 패션관여도에 연령별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 (2005), Moon and Choo(2008)의 의복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등이 있었으나 패션과 과시소비성향과의 연관성을 연령별로 분류하여 그 차이를 규명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표나 유행을 중시하는 여성들을 연령별로 분류하여 첫째, 과시소비성향, 패션소비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둘째, 과시소비성향이 패션소비행동에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시란 무엇인가? 과시란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기 위해 자신의 솜씨나 특징 등을 타인에게 자랑하여 보이는 것으로 과시소비는 자신을 과시할 수 있는 물품을 구입하고 사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Veblen(1912)은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에서 과시소비란 사용을 통하여 효용을 얻기 위한 목적보다는 금전력을 과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은 규모의 재화와 용역을 소비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패션관여도는 과정적 관점과 행동적 관점에서 무엇이라 정의 될 수 있는가? 패션관여도란 의복에 대한 개인의 가치와 욕구, 자아개념과 함께 감정적 애착을 반영한다. 과정적 관점에서는 특정한 상황의 자극에 의하여 야기되는 개인에게 지각된 의류제품에 대한 중요성이나 관심의 수준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행동적 관점에서는 의복과 관련된 행동을 수행하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의 정도로 정의될 수 있다(Rhee, 2000). Lee and Lee(1995)는 의복관여도가 다차원적인 것임을 밝혔는데 의복즐거움, 의복상징성, 의복위험지각, 의복관심의 4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상호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관여란 무엇인가? 관여란 특정상황에 있어 자극에 의해 유발되어 지각된 개인적인 중요성이나 관심의 정도, 또는 특정대상과 소비자 자신과의 관련성의 지각 정도를 의미한다(Lim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S. H., & Lee, K. H. (1997). Consumer shopping orientation toward foreign brands (I) -in the context of clothing involvement, ethnocentrism and country-of-origin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1(3), 559-570. 

  2. Cho, S. M., & Koh, A. R. (2001).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body images on clothing benefits soughtthe comparison of age difference in femal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7), 1227-1238. 

  3. Choi, S. Y. (2003).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product characteristics and conspicuous consumption on the fashion luxury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2), 209- 218. 

  4. Chol, M. Y. (2010). A study on the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role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8), 15-28. 

  5. Chung, K. J. (2004). Effect of self-disclosur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body exposure in cloth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6. Chung, M. S., & Kim, H. J. (2009). The effects of Social-face sensiftivity,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fashion luxury goods on purchasing behavior of fashion counterfei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2), 189-202. 

  7. Hong, K. H. (2010). The influence of middle aged women's TV media involvement on difference age, youth-pursuing clothing bchaviors and fashion leadershi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2(3), 310-317. 

  8. Jung, J. W. (2003). The effect of Materialism and conspicuous consumption on the imported-luzury brand preferences-focusing on korean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9. Kim, H. J. (2008). A Study on the Appearance Involvement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 Depending on Narcissism. Unpublished docto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0. Kim, M. J., & Rim, S. J. (1989). A study on brand image preference and fashion advertising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3(3), 197-206. 

  11. Kim, S. H., & Rhee, E. Y. (2004). Development of measurement scale fo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par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9/10), 1253-1264. 

  12. Labarbera, A. (1988). The nouveaux riches :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lssu of self-fulfillment,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 21(3), 179-210. 

  13. Lee, E. S., & Lee, M. H. (1995). A study on life style and clothing involvement of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5(8), 233-247. 

  14. Lee, M. A. (2010). Comparative study between married and unmarried women on consumption vlues and clothing benefits-focusing on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5), 808-818. 

  15. Lee, S. H. (2000). A characteristic of consumer groups classified y clothing shopping mot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8), 1242-1253. 

  16. Lim, S. J., Sin, H. B., & Kim, H. J., & Lee, H. M. (2007). Fashio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Seoul: Kyomunsa. 

  17. Mason, R. S. (1981). Conspicuous consumption: A study of exceptional consumer behavior. N. Y.: St. Martin's Press. 

  18. Moon, H. K., & Choo, H. J. (2008).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on Ambivalent Clothing consum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2), 1-14. 

  19. Moon, H. K., & Yoo, T. S. (2003). A study of th Self-Esteem, Degree of Appearance Concern, Clothing Attitude and Make-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4), 101-112. 

  20. Oh, J. H. (2005). University student's conspicuous consumption according to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1. Park, H. W., Kim, H., & Lim, S. J. (2005). A Study on Clothing Behavior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based on Valu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103-113. 

  22. Park, M. J. (2001). A study on purchasing behavior of clothing by conspicuous consumption and imported-brand preferencesfocusing on korean women in their 20s living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Rhee, Y. S. (2000). clothing importance perception and clothing involvement: in relation to value, fashion opinion leadership and shopp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4), 549-559. 

  24. Ryou, E. J., & Kim, S. K. (2000).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clothing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8(10), 477-485. 

  25. Shin, Y. S. (2011). Not Old Multiplayer. Fashionbiz, pp. 86-91. 

  26. Shin, Y. W. (2006). A Study on Influencing Variables of Ma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7. Son, Y. E. (2000).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housewives in relation to their job.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iu. 

  28. Veblen, T. (1912).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N.Y.: Macmill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