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서해안 하의도 갯벌의 해조상
Algal Flora of Hauido Tidal Flats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0 no.3, 2012년, pp.193 - 199  

박찬선 (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  박경양 (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  황은경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바이오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erform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urveys on the distribution of seaweed species and dominant species with their standing crop and temporal variations in Hauido tidal fla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seaweeds in a coastal wetland ecological system that may be used for conservatio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의도 갯벌을 대상으로 해조류의 출현종, 우점종, 현존량 등을 4계절에 걸쳐 정성 및 정량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연안 습지 생태계 내에서 해조류의 분포 특성, 생물량의 변동, 시계열성 등을 파악하여 연안 습지 생태계의 보존 및 관리 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서∙남해안에, 갯벌이 잘 발달되어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 서∙남해안은 완만한 경사와 낮은 수심, 큰 조석간만의 차이로 인해 약 3,000 km2의 드넓은 갯벌이 잘 발달되어 있다. 갯벌은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로서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의 정화, 심미적 경관 제공, 홍수, 태풍, 해일 등의 완충지로서 그 가치가 재인식되고 있다.
갯벌에 서식하는 해조류는 무엇이 있는가? 그런데 갯벌의 환경은 일반 바다의 환경과는 달리 장시간의 노출에 의한 온도, 염분농도 및 건조압의 변화가 크고, 탁도가 높으며, 저질이 뻘 또는 모래로 구성되어 있어 바닥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해조류와 같은 생물이 생육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환경조건에 적응해 살아가는 해조류로는 파래류, 고리매류, 꼬시래기류와 같은 다수의 해조류가 있다.
해조류의 특징은? 해조류는 바다 식물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Dring 1982), 지구 전체의 광합성의 약 50%를 수행하고 있어, 생태계의 유기물 및 산소의 공급과 이산화탄소의 순환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Dring 1982). 즉, 해조류는 해양생태계에 있어서 생산자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연안에 서식하는 어패류의 산란, 서식 및 먹이 제공원으로써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식용, 공업용 원료, 사료, 비료, 의약품 원료, 바이오에너지원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Dawes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래선, 제종길, 손철현. 1993. 남해의 하계 해조군집. II. 조하대의 군집. 한국수산학회지. 26:182-197. 

  2. 고남표. 1990. 거문도의 해산식물자원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5:1-37. 

  3. 김영환, 유종수. 1992. 서해안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의 해조식생. 환경생물. 10:100-109. 

  4. 박찬선, 위미영, 황은경. 2007. 한국 남서해안 도초군도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 Algae 22:305-311. 

  5. 손철현. 1987. 한국 해조류의 식물지리학적 특성과 군집의 정량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전남대. 111pp. 

  6. 손철현, 이인규, 강제원. 1982. 남해안 돌산도의 해조 I. 부산수대연보. 14:37-50. 

  7. 손철현, 최창근, 김형근. 2007. 강릉연안의 해조군락과 유용해조자원 분포. Algae 22:45-52. 

  8. 오병건, 이재완, 이해복. 2005. 남서해안 신안군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식생. Algae 20:53-59. 

  9. 이용필, 강서영. 2002.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제주대학교 출판부. 662pp 

  10. 이인규, 강제원. 1986.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한국조류학회지. 1:311-325. 

  11. 최도성. 1990. 전라남도산 해조류의 목록. 연안생물연구. 7: 67-87. 

  12. 최도성. 1992. 한국 서남해안의 해조자원 실태에 관한 연구.연안생물연구. 9:81-103. 

  13. 최도성, 김광용, 이욱재, 김지희. 1994. 한국 서남해안 우이도의 해조상과 군집구조. 환경생물. 12:65-75. 

  14. 황은경, 박찬선, 손철현, 고남표. 1996. 영광 인근 해역 해조군집의 기능형군별 분석. 한국수산학회지. 29:97-106. 

  15. Abbott IA and WJ North. 1971. Temperature influence on floral composition in California coastal waters. pp.72-79. In Proc. Seventh Intl. Seaweed Symp., Sapporo. Univ. Tokyo Press. 

  16. Dawes CJ. 1998. Marine Botany. John Wiley & Sons, Inc. NY. 480pp. 

  17. Dawson EY. 1966. Marine Botany.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NY. 628pp. 

  18. Dring MJ. 1982. The Biology of Marine Plants. Edward Arnold. London. Great Britain. 199pp. 

  19. Ingram RL. 1971. Sieve analysis. pp.49-67.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Carver RE ed.). Wiley-Inter Science. New York. 

  20.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Pusan Fish. Coll. 7:1-136. 

  21. Lee IK and HB Lee. 1982. A study on the algal vegetation in Garolim bay, western coast of Korea. Bull. KACN. Ser. 4:325-337. 

  22. Lee JW, YH Kim and HB Lee. 2001. The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marine benthic algae in the east coast of Korea. II. Sokcho. Algae 16:113-118. 

  23. Litter MM and DS Littler. 1984. Relationships between macroalgal functional form groups and substrate stability in a subtropical rocky-intertidal system. J. Exp. Mar. Biol. Ecol. 74:13-34. 

  24.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Wiley, NY. 547pp. 

  25. Park CS and EK Hwang. 2011.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diment particles size and the development of green algal mats (Ulva prolifera) on the intertidal flats of Muan, Korea. J. Appl. Phycol. 23:515-522. 

  26. Saito Y and S Atobe. 1970. Phytosociological study of intertidal marine algae. 1. Usujiri Benten-Jima, Hokkaido. Bull. Fac. Fish. Hokkaido Univ. 21:37-69. 

  27. Wetzel RG and DF Westlake. 1974. Perphyton. 225pp. In A Manual on Methods for Measuring Primary Production in Aquatic Environments (Vollenweider RA ed.). 2nd ed. IBP Handbook. No.12. 

  28. Wright JH, JBF Champlin and OH Davis. 1971. The impact of environmental radiation and discharge heat from nuclear power plants. pp.549-559. In Environmental Aspects of Nuclear Power Station,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Vienna. 

  29. Yoshida T, K Yoshinaga and Y Nakajima. 2000. Check list of marine algae of Japan (revised in 2000). Jpn. J. Phycol. 48:113-1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