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환자에서 화학요법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Chemotherapy related Cognitive Impairment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5, 2012년, pp.644 - 658  

박진희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배선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gnitive effects of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thods: Using several databases, prospective studies were collected up to August 2011. Of 2,106 publications identified, 12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8 studies were us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메타분석 연구들은 비교군과 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의 차이를 횡단적으로 파악한 조사연구를 포함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기 때문에 치료요법이 종료한 후 10년이 경과한 생존자들의 신경심리검사결과가 일부 포함되어 연령증가, 폐경에 따른 호르몬 변화와 같은 잠재적 혼동변수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화학요법 시행 전과 종료 후의 인지기능의 변화를 파악한 전향적 조사연구만을 선정하여 인지기능의 변화를 비교군의 변화와 비교분석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선행연구에 비해 화학요법이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중심으로 화학요법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선행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화학요법이 인지기능저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크기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환자는 신경심리검사로 측정한 주의집중력과 기억력,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측정한 주관적인 인지기능이 작은 효과크기이지만 유의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에 대한 화학요법의 영향을 분석한메타분석을이용한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화학요법이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환자와 비교군에서 치료요법 전후의 인지기능을 평가하여 전향적으로 조사한 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체계적 문헌고찰에 포함된 총 12편 모두 2005년 이후 논문으로 2009년도와 2010년도에 각각 5편과 3편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화학요법이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한 것으로,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의 변화를 화학요법을 받지 않는 유방암 환자 혹은 건강인과 종적으로 비교조사한 전향적 조사연구만을 선정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 주의집중력과 주관적인 인지기능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했지만 Nfs 값이 작기 때문에 추후 연구 결과에 의해 그 결과가 쉽게 번복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 결과 해석시 주의가 필요하다. 이상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최근 부각되는 화학요법의 인지기능에 따른 영향을 전향적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요법은 유방암 환자에게 어떠한 위험성이 있는가? 화학요법은 대부분 유방암 환자에게 적용되는 보조적 요법으로 유방암 환자의 재발률을 감소시키고 생존율을 증가시켜왔다. 그러나 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환자들은 갑작스러운 폐경이나, 성기능 저하, 인지장애, 골다공증과 같은 이차적인 건강문제에 노출된다(Knobf, 2011; Matsuda et al., 2005).
유방암 환자에서 화학요법관련 인지장애 발생률은? ). 유방암 환자에서 CRCI의 발생률은 17-75%으로 보고되고 있으며(Myers, 2009), 이 중 17-35% 정도는 장기간 지속되는 중증 이상의 CRCI를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Ahles&Saykin, 2002; Myers).
인지기능이란? 인지기능은 인간이 사고나 감지의 대상을 생각하고 느끼고 기억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대뇌 피질의 기능으로 정보를 선택, 습득, 분류, 통합하는 수용기능, 정보의 저장과 인출을 나타내는 기억과 학습,정보의정신적조직과재조직하는사고,정보를의사소통하거나 행위를 하는 표현기능을 의미한다(Lezak, Howieson, & Loring, 2004). 화학요법은 유방암 환자에게 주의집중력, 집행기능, 정보처리속도, 언어 및 시각기억력 및 정신운동 영역 등 전반적인 영역에서 인지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Falleti, Sanfilippo, Maruff, Weih, & Phillips, 2005; Stewart, Bielajew, Collins, Parkinson,&Tomiak, 2006), 화학요법 종료부터 주로 언어기억력, 시각기억력 및 정신운동처리속도가 저하되기 시작하며 일부에서는 인지기능의 저하와 장애가 10년 이상 지속되기도 한다(Ahles & Sayki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les, T. A., & Saykin, A. J. (2002). Breast cancer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dysfunction. Clinical Breast Cancer, 3(Suppl 3), S84-S90. http://dx.doi.org/10.3816/CBC.2002.s.018 

  2. Ahles, T. A., Saykin, A. J., McDonald, B. C., Li, Y., Furstenberg, C. T., Hanscom, B. S., et al. (2010). Longitudinal assessment of cognitive changes associated with adjuvant treatment for breast cancer: Impact of age and cognitive reserv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8, 4434-4440. http://dx.doi.org/10.1200/JCO.2009.27.0827 

  3. Bender, C. M., Sereika, S. M., Berga, S. L., Vogel, V. G., Brufsky, A. M., Paraska, K. K., et al. (2006). Cognitive impairment associated with adjuvant therapy in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15, 422-430. http://dx.doi.org/10.1002/pon.964 

  4. Braver, T. S., & Barch, D. M. (2002). A theory of cognitive control, aging cognition, and neuromodulation.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26, 809-817. http://dx.doi.org/10.1016/S0149-7634(02)00067-2 

  5. Collins, B., Mackenzie, J., Stewart, A., Bielajew, C., & Verma, S. (2009). Cognitive effects of chemotherapy in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patients 1 year after treatment. Psycho-Oncology, 18, 134-143. http://dx.doi.org/10.1002/pon.1379 

  6. Cusimano, A. (2001). Learning disabilities: There is a cure. Pennsylvania, PA: Achieve Publications. 

  7. Debess, J., Riis, J. O., Engebjerg, M. C., & Ewertz, M. (2010). Cognitive function after adjuvant treatment for early breast cancer: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121, 91-100. http://dx.doi.org/10.1007/s10549-010-0756-8 

  8. DerSimonian, R., & Laird, N. (1986). Meta-analysis in clinical trials. Controlled Clinical Trials, 7, 177-188. http://dx.doi.org/10.1016/0197-2456(86)90046-2 

  9. Egger, M., Davey Smith, G. D., Schneider, M., & Minder, C. (1997).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British Medical Journal, 315, 629-634. http://dx.doi.org/10.1136/bmj.315.7109.629 

  10. Falleti, M. G., Sanfilippo, A., Maruff, P., Weih, L., & Phillips, K. A. (2005). The nature and severity of cognitive impairment associated with adjuvant chemotherapy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 meta-analysis of the current literature. Brain and Cognition, 59, 60-70. http://dx.doi.org/10.1016/j.bandc.2005.05.001 

  11. Fan, H. G., Houede-Tchen, N., Yi, Q. L., Chemerynsky, I., Downie, F. P., Sabate, K., et al. (2005). Fatigue, menopausal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 in women after adjuvant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1-and 2-year follow-up of a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3, 8025-8032. http://dx.doi.org/10.1200/JCO.2005.01.6550 

  12. Gazzaniga, M. S., Ivry, R. B., & Mangun, G. R. (2002). Cognitive neuroscience: The biology of the mind (2nd ed.). New York, NY: W.W. Norton & Company. 

  13. Glogoski, C., Milligan, N. V., & Wheatley, C. J. (2006). Evaluation and treatment of cognitive dysfunction. In H. M. Pendleton & W. Schultz-Krohn (Eds.),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6th ed.)(pp. 589-608). St. Louis, MO: Mosby Elsevier. 

  14. Isaki, E., Spaulding, T. J., & Plante, E. (2008). Contributions of language and memory demands to verbal memory performance in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41, 512-530. http://dx.doi.org/10.1016/j.jcomdis.2008.03.006 

  15. Jansen, C. E., Miaskowski, C. A., Dodd, M. J., & Dowling, G. A. (2007). A meta-analysis of the sensitivity of various neuropsychological tests used to detect chemotherapy-induced cognitive impairment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34, 997-1005. http://dx.doi.org/10.1188/07.ONF.997-1005 

  16. Kim, G. D., Chung, B. Y., Kim, K. H., Byun, H. S., & Choi, E. H. (2011). Analysis of a trend of instrument usage to assess cognitive funct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1, 179-185. http://dx.doi.org/10.5388/jkon.2011.11.3.179 

  17. Knobf, M. T. (2011). Clinical update: Psychosocial responses in breast cancer survivors.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7, e1-e14. http://dx.doi.org/10.1016/j.soncn.2011.05.001 

  18.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Annual report on cause of death statistics. Seoul: Author. 

  19. Lezak, M. D., Howieson, D. B., & Loring, D. W. (2004).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4th e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 Matsuda, T., Takayama, T., Tashiro, M., Nakamura, Y., Ohashi, Y., & Shimozuma, K. (2005). Mild cognitive impairment after adjuvant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patients-evaluation of appropriate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to measure symptoms. Breast Cancer, 12, 279-287. http://dx.doi.org/10.2325/jbcs.12.279 

  21. Myers, J. S. (2009).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impairment.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3, 413-421. http://dx.doi.org/10.1188/09.CJON.413-421 

  22.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NECA's guidance for systematic review for n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eoul: Author. 

  23. Nelson, C. J., Nandy, N., & Roth, A. J. (2007). Chemotherapy and cognitive deficits: Mechanisms, findings, and potential interventions. Palliative and Supportive Care, 5, 273-280. http://dx.doi.org/10.1017/S1478951507000442 

  24. Noal, S., Levy, C., Hardouin, A., Rieux, C., Heutte, N., Segura, C., et al. (2011). One-year longitudinal study of fatigue, cognitive functions, and quality of life after adjuvant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81, 795-803. http://dx.doi.org/10.1016/j.ijrobp.2010.06.037 

  25. Ouimet, L. A., Stewart, A., Collins, B., Schindler, D., & Bielajew, C. (2009). Measuring neuropsychological change following breast cancer treatment: An analysis of statistical models.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31, 73-89. http://dx.doi.org/10.1080/13803390801992725 

  26. Quesnel, C., Savard, J., & Ivers, H. (2009). Cognitive impairments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treatments: Results from a longitudinal study.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116, 113-123. http://dx.doi.org/10.1007/s10549-008-0114-2 

  27. Rosenthal, R. (1991). Meta-analytic procedures for social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28.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2011). SIGN 50: A guideline developer's handbook. Retrieved January, 11, 2012, from http://www.sign.ac.uk/pdf/sign50.pdf 

  29. Stewart, A., Bielajew, C., Collins, B., Parkinson, M., & Tomiak, E. (2006). A meta-analysis of the neuropsychological effects of adjuvant chemotherapy treatment in women treated for breast cancer.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20, 76-89. http://dx.doi.org/10.1080/138540491005875 

  30. Tager, F. A., McKinley, P. S., Schnabel, F. R., El-Tamer, M., Cheung, Y. K., Fang, Y., et al. (2010). The cognitive effects of chemotherapy in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patients: A controlled longitudinal study.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123, 25-34. http://dx.doi.org/10.1007/s10549-009-060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