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폼매트리스 사용 중환자의 욕창발생위험군별 적정 체위변경시간
Optimal Time Interval for Position Change for ICU Patients using Foam Mattress Against Pressure Ulcer Risk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5, 2012년, pp.730 - 737  

김현정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정인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time interval to pressure ulcer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time interval for position change depending on pressure ulcer risk in patients using foam mattress in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The Braden scale score, occurrence of pressure ulcers and p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Braden scale을 사용하여 폼매트리스를 사용하는 중환자의 욕창발생위험을 사정하고 욕창발생을 조사하여 욕창발생위험군별 적정 체위변경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전향적 조사연구이다.
  • 욕창 예방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2시간 간격의 체위변경이 권고되어 왔으나 최근 욕창 예방을 위한 폼매트리스와 같은 지지면의 사용은 체위변경시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폼매트리스를 사용하는 내과계 중환자에게 Braden scale로 측정한 점수로 욕창발생위험군을 구분하고, 각 군별 적정 체위변경시간을 알아내고자 시행된 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폼매트리스를 이용하는 경우 욕창발생 저·중위험군과 고·최고위험군 사이에는 체위변경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며, 적정 체위변경시간은 저·중위험도에서 3시간, 고·최고위험도에서 2시간으로 조사되 었다.
  • 본 연구는 폼매트리스를 사용하는 중환자실 환자들에게 욕창발생위험군에 따라 체위변경시간이 달라질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욕창발생위험군별 적정 체위변경시간을 알아보고자 수행된 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폼매트리스를 사용하는 중환자실에서 Braden Scale을 사용한 욕창위험도 중위험군 이하의 환자에게 체위변경시간을 연장하여 적용 할 수 있는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음을 감안하여 연구 결과를 해석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 ROC 곡선을 사용하여 적정 체위변경시간을 설정하고자 하였는데, 민감도를 90%이상 유지하도록 절단점을 정하고 적정시간을 산정하는 경우 욕창발생저위험군과 중위험군에서 3시간, 고위험군과 최고위험군에서 2시간이었다. 이 결과에 의하면 폼매트리스를 사용하는 중환자실의 환자 중 욕창발생고위험군과 최고위험군의 환자에게는 폼매트리스를 사용하더라도 전통적인 2시간 간격의 체위변경이 필요하며, 욕창발생저위험군과 중위험군의 환자에게는 체위변경시간을 1시간 정도 더 연장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앞으로 반복 연구를 통해 검증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의 도구는 욕창발생위험, 체위변경, 그리고 욕창발생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조사지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폼매트리스를 사용하는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욕창발생위험군에 따른 적정 체위변경시간을 찾아내고자 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욕창의 발생은 환자에게 어떤 불편을 주는가? 욕창은 압력이 지속되는 부위의 국소적인 허혈로 인하여 피부나 조직에 손상이 생기는 것으로 신체의 골격이 돌출된 부위에 흔히 발생한다. 욕창의 발생은 환자에게 상당한 고통과 불편을 주며 (Gorecki, Closs, Nixon, & Briggs, 2011), 환자의 입원 기간을 연장시킬뿐 아니라(Theisen, Drabik, & Stock, 2012) 입원 치료비용을 증가 (Bennet, Dealey, & Posnett, 2004)시키게 되므로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욕창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욕창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적극적인 중재 활동이 요구된다.
욕창이란 무엇인가? 욕창은 압력이 지속되는 부위의 국소적인 허혈로 인하여 피부나 조직에 손상이 생기는 것으로 신체의 골격이 돌출된 부위에 흔히 발생한다. 욕창의 발생은 환자에게 상당한 고통과 불편을 주며 (Gorecki, Closs, Nixon, & Briggs, 2011), 환자의 입원 기간을 연장시킬뿐 아니라(Theisen, Drabik, & Stock, 2012) 입원 치료비용을 증가 (Bennet, Dealey, & Posnett, 2004)시키게 되므로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욕창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욕창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적극적인 중재 활동이 요구된다.
욕창의 발생에 있어 주된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욕창의 주된 위험요인은 압력과 전단력으로서, 피부표면에 가해진 압력은 모세혈관의 순환장애를 유발하며 세포의 허혈과 조직괴사를 초래하여 피부나 조직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NPUAP], 2007). 따라서, 욕창예방 중재는 환자에게 부가되는 압력과 전단력을 최소로 하기 위한 체위변경이나 지지면(support surface)의 사용과 함께 최적의 영양상태, 습기 관리 등이 권장되고 있다(Reddy, Gill, & Rochon,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 Research. (1992). Clinical practice guideline. Retrieved November 17, 2011, from http://www.ncbi.nlm.nih.gov/books/NBK63910/#A4552 

  2. Ayello, E. A., & Braden, B. (2002). How and why to do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Advances in Skin & Wound Care, 15, 125-131. 

  3. Bennett, G., Dealey, C., & Posnett, J. (2004). The cost of pressure ulcers in the UK. Age & Ageing, 33, 230-235. http://dx.doi.org/10.1093/ageing/afh086 

  4. Bergstrom, N., & Braden, B. J. (2002). Predictive validity of the Braden scale among black and white subjects. Nursing Research, 51, 398-403. http://dx.doi.org/10.1097/00006199-200211000-00008 

  5. Bergstrom, N., Braden, B., Kemp, M., Champagne, M., & Ruby, E. (1998). Predicting pressure ulcer risk: A multisite study of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Braden scale. Nursing Research, 47, 261-269. 

  6. Bergstrom, N., Demuth, P. J., & Braden, B. J. (1987). A clinical trial of the Braden scale for predicting pressure sore risk. Th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2, 417-428. 

  7. Braden, B. J., & Maklebust, J. (2005). Preventing pressure ulcers with the Braden scale: An update on this easy-to-use tool that assesses a patient's risk.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5, 70-72. 

  8. Defloor, T. (2000). The effect of position and mattress on interface pressure. Applied Nursing Research, 13, 2-11. http://dx.doi.org/10.1016/S0897-1897(00)80013-0 

  9. Defloor, T., De Bacquer, D., & Grypdonck, M. H. (2005). The effect of various combinations of turning and pressure reducing devices on the incidence of pressure ulcer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2, 37-46.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4.05.013 

  10. 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2009). Pressure ulcer prevention: Quick reference guide. Retrieved April 7. 2011 from http://www.npuap.org/Final_Quick_Prevention_for_web_2010.pdf 

  11. Gorecki, C., Closs, S. J., Nixon, J., & Briggs, M. (2011). Patient-reported pressure ulcer pain: A mixed-methods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42, 443-459.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10.11.016 

  12. Hagisawa, S., & Ferguson-Pell, M. (2008). Evidence supporting the use of two-hourly turning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Journal of Tissue Viability, 17, 76-81. http://dx.doi.org/10.1016/j.jtv.2007.10.001 

  13. Halfens, R. J., van Achterberg, T., & Bal, R. M. (2000).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braden scale and the influence of other risk factors: A multi-centre prospec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7, 313-319. http://dx.doi.org/10.1016/S0020-7489(00)00010-9 

  14. Jun, S., Jeong, I., & Lee, Y. (2004). Validity of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scales: Cubbin and Jackson, Braden, and Douglas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1, 199-204. http://dx.doi.org/10.1016/S0020-7489(03)00135-4 

  15. Keller, P. B., Wille, J., van Ramshorst, B., & van der Werken, C. (2002). Pressure ulcers in intensive care patients: A review of risks and prevention. Intensive Care Medicine, 28, 1379-1388. http://dx.doi.org/10.1007/s00134-002-1487-z 

  16. Kottner, J., & Dassen, T. (2010).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in critical care: Interrater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ies of the Braden and Water-low scales and subjective ratings in two intensive care uni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 671-677.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9.11.005 

  17. McInnes, E., Jammali-Blasi, A., Bell-Syer, S. E. M., Dumville, J. C., & Cullum, N. (2011). Support surfaces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 13(4), CD001735.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1735.pub4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1). 2011 Healthcare accreditation survey guidebook (ver 1.2)-for large hospitals with 300 and over beds. Retrieved May 24, 2012 from http://www.koiha.or.kr/home/data/data/doView.act. 

  19.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2007). Pressure ulcer stage. Retrieved May 24, 2012 from http://www.npuap.org/pr2.htm 

  20.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NPUAP & EPUAP). (2009). Pressure ulcer treatment recommendations.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ressure ulcer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Retrieved May 24, 2012 from http://www.guideline.gov/content.aspx?id25139&searchpressure+ulcer 

  21. Pancorbo-Hidalgo, P. L., Garcia-Fernandez, F. P., Lopez-Medina, I. M., & Alvarez-Nieto, C. (2006). Risk assessment scales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4, 94-110.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3794.x 

  22. Ratliff, C. R. (2005). WOCN's evidence-based pressure ulcer guideline. Advances in Skin & Wound Care, 18, 204-208. 

  23. Reddy, M., Gill, S. S., & Rochon, P. A. (2006). Preventing pressure ulcers: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6, 974-984. http://dx.doi.org/10.1001/jama.296.8.974 

  24. Russell, L. J., Reynolds, T. M., Park, C., Rithalia, S., Gonsalkorale, M., Birch, J., et al. (2003). Randomized clinical trial comparing 2 support surfaces: Results of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study. Advances in Skin &Wound Care, 16, 317-327. 

  25. Theisen, S., Drabik, A., & Stock, S. (2012). Pressure ulcers in older hospitalised patients and its impact on length of stay: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3-4), 380-387.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1.03915.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