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욕창예방을 위한 중재와 영향요인 : 체계적 문헌고찰
Pressure Ulcer preventive intervention and risk factors for pressure ulcer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323 - 331  

윤혜선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  박지연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욕창에 대한 예방적 중재방법과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기존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논문은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지침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문헌은 201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총 30의 논문이 선택되었으며 실험연구가 8편, 코호트 연구가 3편, 단면조사연구가 19편 이었다. 논문검색어는 국내논문의 경우 욕창, 압박욕창, 압박궤양, 예방, 중재의 단어를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분석결과 욕창의 예방적 중재와 예측요인을 통합적으로 제시하였으며 특히 체위변경과 압력 감소 장치 적용한 중재는 욕창 발생률을 감소시켰으며 욕창 발생 감소와 욕창예방에 중요한 중재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각 의료기관에 적합한 욕창의 예방적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perform a systematic review to examine pressure ulcer preventive intervention and risk factors. PRISMA flow diagram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process of this research was done. The literatures were retrieved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y from 2010 to June, 2019. A to...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욕창에 대한 예방적 중재방법들의 효과에 대해서는 각 연구마다 다르게 보고되고 있어 선행 연구결과를 비교 평가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의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욕창에 대한 예방적 중재 방법과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종합함으로써 각 의료기관에 적합한 욕창의 예방적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욕창의 예방적 중재를 적용한 논문의 특성을 서술하고 욕창의 예방적 중재 유형의 효과 및 욕창예방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각 의료기관에 적합한 욕창의 예방적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의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욕창에 대한 예방적 중재 방법과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종합함으로써 각 의료기관에 적합한 욕창의 예방적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욕창의 예방적 중재를 적용한 논문의 특성을 서술하고 욕창의 예방적 중재 유형의 효과 및 욕창예방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각 의료기관에 적합한 욕창의 예방적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욕창의 예방적 중재 유형과 욕창예방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체계적 고찰연구(systematic review)이다.
  • 본 연구는 욕창의 예방적 중재 유형과 욕창예방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논문을 문헌선정과정을 통해 실험연구 8편, 코호트 연구 3편, 단면조사 연구가 19편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욕창의 예방적 중재를 적용한 논문과 영향요인을 확인한 논문들의 분석을 통해 욕창 예방 중재와 욕창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 하고자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문헌고찰결과 총 30편의 문헌이 선정되었으며 실험연구가 8편, 코호트 연구가 3편, 단면조사연구가 19편 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욕창이란 무엇인가? 욕창은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국소조직의 염증과 손상의 결과를 의미하며 주로 뼈의 돌출부위의 피부나 그 하부조직이 압력 또는 전단력에 이해 국소적으로 손상되어 발생한다[1]. 특히 기동성이 떨어지거나 의식이 저하된 환자, 척추손상 환자와 같이 장시간 침상에 누워 있는 환자, 노인 등은 욕창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욕창발생의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특히 기동성이 떨어지거나 의식이 저하된 환자, 척추손상 환자와 같이 장시간 침상에 누워 있는 환자, 노인 등은 욕창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욕창발생의 위험요인은 대상자 측면의 대상자의 건강상태, 움직임 정도, 영양결핍 등과 물리적 측면의 압력, 습기, 마찰력, 전단력 등이 있으며, 조직 차원인 의료기관이나 시설의 욕창관리에 대한 프로토콜, 지침, 교육, 인력 등이 있다[2]. 욕창 발생은 질병의 주된 부담으로 작용하며, 통증 및 불편감, 정신적 스트레스와 우울, 감염의 위험, 합병증 및 사망률 증가와 관련된다[3].
코호트 연구에서 확인된 간호 제공자 측면에서의 욕창 악화 요인은 무엇인가? 코호트 연구에서 확인된 욕창 악화 요인을 분석해 보면, 대상자 측면에서는 고령의 나이, 영양상태, 비만, bedfast, activity 이었으며 환경적 측면은 습기, 마찰력과 전단력(friction and shear), 재원일수 이었다. 간호제공자 측 면은 욕창예방태도, 간호사 수, 욕창교육이수 여부, 욕창에 대한 지식과 관심이 악화요인 이었다. 임상혈액수치와 관련해서는 높은 혈중 젖산수치, 높은 크레아티닌 수치, 낮은 헤모글로빈 수치, 낮은 산소포화도 이었으며 욕창환자에게서 헤마토크릿, 알부민, 혈장단백도 유의하게 낮게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The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NPUAP) announces a change in terminology from pressure ulcer to pressure injury and updates the stages of pressure injury. (2016). 

  2. M. Baumgarten, D. J. Margolis, A. R. Localio, S. H. Kagan, R. A. Lowe & B. Kinosiam. (2008). Extrinsic risk factors for pressure ulcers early in the hospital stay: A nested care control study. Journal of Gerontology: Medical Sciences, 63(4), 408-413. 

  3. C. Gorecki, S. Closs, J. Nixon & M. Briggs. (2011). Patient-reported pressure ulcer pain: A mixed-methods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42(3), 443-445. 

  4. I. S. Jeong et al. (2014).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 management guideline by adaptation proces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 40-52. 

  5. D. H. Rintala, S. L. Friedman & S. A. Holmes. (2008). Preventing recurrent pressure ulcers in veterans with spinal cord injury: Impact of a structured education and follow up interven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9, 1429-1441. 

  6. C. W. Lee & Y. H. Yi. (2018). Effects of the trunk maintenance repositioning method on keeping a 30 $^{\circ}$ side-lying position, comfort, and skin condition.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1(1), 79-88. 

  7. N. E. Knibbe, Z. Elien, J. J. Hanneke & D. Beeckman. (2017). An automatic repositioning system to prevent pressure ulcers: a case series. British Journal of Nursing, 27(6), 16-22. 

  8. E. Jaul. (2010).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in the elderly: current strategies. Drugs Aging, 27(4), 311-325. DOI:10.2165/11318340. 

  9. S. Seyhan. (2018). Decubitus ulcer development: An Investigation on its effect and evidence in home care patients. Indian Journal of Palliative Care, 24(4), 5-11. 

  10. A. Pinar, E. Ayis & G. Karada. (2018). Efficacy and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evidence-based nursing interventions to maintain tissue integrity to prevent pressure ulcers and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World 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Vol. 15(1), 54-61. 

  11. A. R. Jadad, R. A. Moore, D. Carroll, C. Jenkinson, D. J. Reynolds, D. J. Gavaghan, & H. J. McQuay. (1996).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led Clinical Trials, 17(1), 1-12. 

  12. H. J. Kim & I. S. Jung. (2012). Optimal time interval for position change for ICU patients using foam mattress against pressure ulcer ris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5),730-737. http://dx.doi.org/10.4040/jkan.2012.42.5.730 

  13. K. R. Shin et al. (2012). Facility and nursing factors influence on pressure ulcer occurrence among patients at risk for pressure ulcer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14(1), 29-38. 

  14. E. O. Kwon, I. H. Eom, S. J. Chang, M. Y. Shim & S. H. Lee. (2012). Accuracy of nurses' assessments of pressure ulcers in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1), .29-38. https://doi.org/10.22650. 

  15. K. R. Shin, M. Y. Kim, Y. H. Kang & D. Y. Jung. (2012). Pressure ulcerin long term care hospitals in Korea: Prevalence and risk facto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Society, 32(1), 115-127. 

  16. M. J. Kang & M. S. Kim. (2018). Correlations among attitude toward pressure ulcer prevention, knowledge and non-compliance risk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practice and degree of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19(9), 408-419. 

  17. E. H. Jo, H. S. Kim & S. J. Lee. (2015). A study on the knowledge of nurses, performance and preventive practice of pressure ulcer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8), 356-365. doi.org/10.5392/JKCA.2015.15.08.356. 

  18. E. J. Lee & S. O. Yang. (2011). Clinical knowledge and actual performance of pressure ulcer care b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2), 251-261. 

  19. Y. Z. Ahmed, M. .T. Khaled, S. I. Mohamed & E. Sameh. (2018). Impact of a suggested nursing protocol on the occurrence of medical device-related pressure ulcers in critically ill patients. Central European Journal of Nursing Midwifery, 9(4), 924-931. DOI: 10.15452/CEJNM.2018.09.0025 

  20. A. Jenny, Z. Yunchuan, Y. Zhang, D. Thomas, R. Butcher, Y. Zhang & M. Rebecca. (2018). Outcomes associated with stage 1 pressure injurie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7(6), 471-476. 

  21. A. Lahmann, A. Tannen & T. Dassen. (2011). Friction and shear highly associated with pressure ulcers of residents in long-term care-classification Tree Analysis (CHAID) of Braden items. Journal of evaluation clinical practicest, 17(1), 471-476. DOI: 10.1111/j.1365-2753.2010.01417.x. 

  22. M. Artico. et al. (2018). Prevalence, incid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pressure ulcers in home palliative care patient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 32(1), 299-307. DOI: 10.1177/0269216317737671. 

  23. K. N. Kim, K. J. Kang, H. S. Lee, Y. H. Shin, S. K. Kim, K. H. Park & HY. Kim. (2011). Survey on pressure ulcer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tage change in acute university hospital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3). 433-442. 

  24. H. N. Lee & J. S. Park. (2014). Nutrition-related factors predicted pressure ulcer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Fundamantal Nursing, 21( 4), 413-422. 

  25. J. S. Shine, S. J. Kim, J. H. Lee & M. Yu. (2017). Factors predicting the interface Pressure related to pressure injury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47(6), 794-805. https://doi.org/10.4040/jkan.2017.47.6.794. 

  26. W. Paul. et al. (2018).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pressure ulcers after defect reconstruction. Wound Healing Society, 26, 64-68. 

  27. E. Werku, F. H. Getahun & A. M. Diriba. (2019). Nurses' knowledge to pressure ulcer prevention in public hospitals in Wollega: BMC Nursing, 18(20), 2-12. https://doi.org/10.1186/s12912-019-0346-y. 

  28. D. Wilborn, R. Halfens, T. Dassen & A. Tannen. (2010). Pressure ulcer prevalence in German nursing homes and hospitals: what role does the National Nursing Expert Standard Prevention of Pressure Ulcer play?. Gesundheit swesen., 72(4), 240-245. DOI: 10.1055/s-0029-1220757. 

  29. T. L. Yap, S. M. Kennerly, S. D. Home, N. Berstrom, S. Datta & C. Colon. (2018).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rotocol focused on preventing pressure ulcers through repositioning frequency and precipitating factors. BMC Geriatric, 18(1), 54-64. DOI: 10.1186/s12877-018-0744-0. 

  30. R. O. Gillianen.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ssessment of early pressure ulcer damage and sub epidermal moisture measurement: A prospective explorative study. Royal College of Surgeons in Irelande-publications@RCSI. 

  31. Y. H. Kim, J. N. Jang, M. J. Song & Y. M. Lee. (2015). Effect of integrative pressure ulcers nurs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2), 1015-1029. 

  32. Y. H. Seo, K. H. Kim, S. O. Lim & H. J. Lee. (2017). The effects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using Care Sheet Pup: Focusing on ICU patient. Jour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 12(2), 375-386. DOI : 10.34163/jkits.2017.12.2.016. 

  33. H. J. Kim, S. M. Lee, H. Y. Choi, Y. K. Min & Y. J. Jung. (2016). Prophylactic effect of transparent film dressing on sacrum and coccyx in SICU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 256-263. 

  34. D. H. Kim, H. S. Kim & D. W. Lee. (2011). Evaluation of risk for pressure ulcers using the Braden Scale in elderly patients receiving long-term care. Jo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15(4), 191-199. doi.org/10.4235/jkgs.2011.15.4.191. 

  35. H. R. Kwak & J. Y. Kang. (2015). Pressure ulcer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t the time of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7(3), 347-357. 

  36. Z. Moore, S. Cowman & R. M. Conrory. (2011). A randomized control clinical trial of repositioning, using 30 degree tilt,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7), 2633-2644. 

  37. D. H. Kim, H. S. Kim & D. W. Lee. (2011). Evaluation of risk for pressure ulcers using the Braden Scale in elderly patients receiving long-term care. Jo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15(4), 191-199. doi.org/10.4235/jkgs.2011.15.4.1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