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시 일대 오름의 식물다양성과 보전방안
Plant Diversity and Conservation in Oruem of Jeju City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5, 2012년, pp.635 - 653  

임동옥 (호남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시 지역 18개 오름의 관속식물은 116과 301속 359종 3아종 78변종 및 14품종으로 총 45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오름은 해발 800m 이내로 상록수림은 분포하지 않고 곰솔림이나 삼나무와 편백 조림지가 많았다. 제주시지역 18개 오름의 고유종은 개족도리풀, 새끼노루귀, 벌깨냉이 등 14종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16분류군으로, V등급종은 목련, 한라돌쩌귀, 갯취 등 6종, IV등급종은 섬딸기, 버들쥐똥나무, 청피사초 등 16종, III등급종은 붓순나무, 등수국, 가시복분자딸기 등 37종, II등급종은 참개별꽃, 돌양지꽃, 회목나무 등 6종 그리고 I등급종은 바위고사리, 봉의꼬리, 후박나무 등 51종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희귀종은 개족도리풀, 한라돌쩌귀 및 목련 등 11종이었다. 귀화식물은 애기수영, 서양금혼초, 등심붓꽃 등 3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scular plants of Oruem in region of Jeju-City were investigated 454 taxa totally; 116 families, 301 genera, 359 species, 3 subspecies, 78 varieties and 14 forms. In the studied Oruems in region of Jeju-City within altitude 800m, evergreen tree forests does not range and a lot of Pines thunbergii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단지 제주 오름의 보전 및 관리방안 연구(Kim, 2000)나 오름 관리 기본계획(Kim, 2007)에서 몇몇 오름에 대한 개략적인 식생이나 몇 종이 나왔다는 기록만 존재할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 제주시 인근에 위치한 18개 오름에 대한 생물종다양성조사를 통한 생태계 보전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름의 어원은? 오름의 어원은 제주지역에서 사용하는 말로서 악(岳)이나 봉(峯)을 뜻한다(Oh, 1998). 오름 이름에 ‘메’나 ‘미(山)’ 로 끝나는 경우는 산을 뜻하는 고유어로 ‘뫼’의 흔적도 있다.
제주도 식물상에 대한 연구의 문제점은? (2006)은 1,990분류군으로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런 결과는 제주도 전역, 특히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데이터로 각각의 오름에 대한 식물상 조사 결과는 제시되지 않았다. 제주도 한라산(1,950m)은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하고 남한 제 1봉으로 난대, 온대 및 한대성 식물들이 분포한다.
제주시 지역 18개 오름에서 채집한 약 2,100여점의 증거 표본을 동정한 결과, 식물종의 다양성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제주시 지역 18개 오름에서 채집한 약 2,100여점의 증거 표본을 동정한 결과, 식물종 다양성은 116과 301속 359종 3아종 78변종 및 14품종으로 총 454 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Table 1; Appendix 1). 수산봉에서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16과 21속 18종, 5변종으로 총 23분류군, 원당봉은 22과, 33속, 30종, 6변종, 1품종, 총 37분류군, 사라봉은 52과, 93속, 84종, 16변종, 1품종, 총 101분류군, 남좃은오름은 47과, 72속, 67종, 12변종 총 79분류군, 민오름은 57과, 84속, 77종, 14변종, 총 91분류군, 칡오름은 43과, 70속, 66종, 11변종, 2품종, 총 7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u, J.H.(1964) The list of native plants in Jeju Province.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ists 5(2): 55-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a, J.W.(1969)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vegetation on Mt. Hanla. The Korean J. of Botany 12(4): 19-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Kim, C.S., Y.J. Kang, T.S. Moon and G.P. Song(2006) The List of Animals.Plants of Mt. Hanlla. Institute of ecology and culture in Mt. Hanlla, Jeju island, pp. 57-141. (in Korean) 

  4. Kim, C.H.(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 Selection of Plant Taxa -. Korean J. Environ. Biol. 18(1): 163-1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D.S., B.C. Kim and S.T. Song(2008) The flora of Gotjawal Terrain, Jeju-do. Kor. J. of Nature Conservation 2(2): 91-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M.H.(1993) Flora of Vascular Plants in Cheju-do. The report of Jejudo 1: 201-260. (in Korean) 

  7. Kim, T.Y.(2000) The Study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the Jeju Oreum. Jeju Province.Jeju Development Institute, 122pp. (in Korean) 

  8. Kim, T.Y.(2007) The basic plan of the Jeju Oreum.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410pp. (in Korean) 

  9.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Gyeonggi, 534pp.(in Korean) 

  10. Korean Fern Society(2005) Fern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399pp. (in Korean) 

  11.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D.B.(1957) Flora of Plants in Cheju-do. Korea University, Art & Science Thesis 2: 339-4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80pp. (in Korean) 

  14.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upper 914pp., Lower 910pp. (in Korean) 

  15. Lee, W.T. and Y.J. Yim(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 Jour. Pl. Tax. 8: 1-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W.T.(1996a) Lineamenta Florae Koreae I, II. Academy Books, 1,688pp. (in Korean) 

  17. Lee, W.T.(1996b)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Books, 624pp. (in Korean) 

  18. Lee, Y.N.(1996) Flora of Korea. Kto-hak Pub. Co., 1,247pp. (in Korean) 

  19. Lim, D.O.(2012a) Flora of Oreum in Kyuil region in Jeju Islands. Pro. Kor. Soc. Env. Eco. Con. 22(1): 27-29. (in Korean) 

  20. Lim, D.O.(2012b) Flora of Oreum in Ora-region in Jeju Islands. Pro. Kor. Soc. Env. Eco. Con. 22(1): 30-32. (in Korean) 

  21. Melchior, H.(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666pp. 

  22. Ministry of Environment(ME) Republic of Korea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2006)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pp. 114-155. (in Korean) 

  23. Nakai(1914) A report on the plant survey of Jeju island and Wando. Government General Chosen, 166pp. 

  2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1) Endemic Species of Korea. pp. 318-4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Oh, C.M.(1998) Oreum and village name of Jeju Islands. Publishing department of Jeju University, 608pp. (in Korean) 

  26. Oh, H.D. and M.H. Kim(1977) A Study on the Flora of Jeju Island (I) - Vertical distribution of trees and shrubs. Thesis Collection of Jeju University 9: 23-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Oh, S.H. and H.J. Kim(2008) The plant resources of the sand dune on southern coast and Jeju Island, Korea. Korean J. Plant Res. 21(5): 374-3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Park, M.K., Y.R. Lee, H.S. Ahn and I.S. Chung(1968) Mt. Hanlla and Hong-Do. Cultural Public Information Ministry, pp. 159-220. (in Korean) 

  29. 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559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