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국립공원 불국사 사찰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Bulguksa Buddhist Temple Forest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5, 2012년, pp.787 - 800  

강현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최송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이수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조현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지석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주국립공원 불국사 주변 사찰림을 중심으로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42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분석 중 TWINSPAN 기법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군락 I은 소나무-잣나무군락, 군락 II는 소나무군락, 군락 III은 소나무-단풍나무군락, 군락 IV는 단풍나무-소나무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경주국립공원 불국사 주변 사찰림은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군락 IV는 소나무 군락에 단풍나무가 유입되면서 단풍나무-소나무군락으로 군락이 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최근 자연발생적으로 아교목층과 관목층에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가 확산되고 있어 추후 소나무와의 경쟁이 예상된다. 본 조사지역의 산림식생의 임령은 소나무가 우점종인 산림은 30~100년 내외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단풍나무는 30~36년의 수령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Bulguksa around Buddhist Temple Forest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To do so, forty-two plots($100m^2$) were set up and surveyed. The surveyed plo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las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주국립공원 불국사 주변 사찰림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 그러나 최근 들어 불교계에서도 사찰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찰림에 대한 고민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어 앞으로 사찰림에 대한 중요성 및 관리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찰림의 중요성 및 관리 연구의 일환으로 경주국립공원의 대표적 사찰인 불국사 사찰림의 식생구조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사찰림의 관리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체 42개 조사구에 대해 군락별 유형 분류를 하기 위하여 무엇을 하였나? 전체 42개 조사구에 대해 군락별 유형 분류를 하기 위하여 classification 분석 중 TWINSPAN 기법을 적용하여 조사구별 종조성을 나타내고(Table 2)(Choi et al., 1998), 지표 종을 중심으로 군락구분을 실시하였다(Figure 2).
불국사에 가까운 사찰림은 주로 소나무군락으로 이루어져있는 이유는? 경주국립공원 불국사지역 사찰림을 중심으로 식생구조를 조사, 분석한 결과, 불국사에 가까운 사찰림은 주로 소나무군락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는 과거부터 꾸준한 관리에 의해 이루어진 방해극상의 형태로 추측된다. 그러나 현재 소나무의 아래에 단풍나무, 등나무, 일본전나무가 들어와 있어 소나무군락이 인위적으로 교란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경주국립공원은 어떤 공원인가?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유일한 사적형 국립공원인 경주국립공원은 1968년 12월 31일 토함산지구, 남산지구, 대본지구 총 3개의 지구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그 후 1971년 11월 서악지구, 화랑지구, 소금강지구, 단석산지구가 추가 지정되었으며, 1974년 12월 구미산지구가 추가 지정되어 현재 총 8개 지구가 국립공원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Gyeongju-si, 2005). 경주국립공원은 역사적 사찰들이모여 있는 곳으로, 경주의 대표적인 문화재라 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대표 사찰 중 하나인 불국사는 경주국립공원 8개 지구 가운데 가장 면적이 넓은 토함산지구에 위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ek, G.J. and G.T. Kim(1999) Studie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Seonghwoanglim(Natural Monument No. 93) in Wonju.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1): 66-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ek, J.B., S.H. Choi and J.W. Cho(2000) The Analysis of FOREST Structure for Vegetation Landscape Management in Seongnamsa Temple A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8(4): 68-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4. Cho, J.C.(1987) A Study on Pinus densiflora community on Conservation Measures in the Natural Park. Univ. of Seoul.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5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e, J.Y.(2002) A Study on the Preservation of a National Park Mt.Namsan's Plan in Kyongju. Construction and Environmental Research 1(4):157-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i, S.H. and H.M. Kang(2006) Vegetation Structure of the Kumsaenggol in the Wolchul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4): 464-4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S.H. and Y.K. Yi(2000) Vegetation Sturcture and Management Proposal of Hwangsong Park in Kyongju.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4(1): 46-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oi, S.H., K.J. Lee and J.Y. Kim(1998) Altitudinal Vegetation Structure of SunginBong in Ullungdo(Islan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2(3): 290-2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Choi, S.H., K.K. Oh and H.M. Kang(2005) Vegetation Structure of Cheonseongsan Area-In the Case of the Wonhyo Tunnel Reserved Section of the Gyeongbu Line for KTX.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4): 333-3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Choi, S.H., Y.K. Yi, P.I. Yi and S.H. Lee(2008) Ecological Value Assessment of Bulguk-Temple in Toham Mounta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8(1): 67-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12. Gwak, B.H. and Y.C. Sin(1980) Scenic landscapes, vegetation and trees about ramp inspections.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8(1): 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Gyeongju-si(2005) Gyeongju National Park Management Plan, 443pp. (in Korean) 

  14. Ha, J.H., G.P. Hong and N.C. Kim(1997) A Study on the Planting Status of Landscaping Plants of Sunam Temple. Landscape of Buddhist temples 5: 45-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Han, S.I.(1991) A Study on Reasonable Management Programs of Kyung-ju National Park.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Tourism Studies 1: 255-2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Harcombe, P.A. and P.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processes in southeast Texas forests. For sci. 24(2): 153-166. 

  17. Hill, M.O.(1979a)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520pp. 

  18. Hill, M.O.(1979b)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990pp. 

  19. Im, W.H.(2009)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s in Gyeongju National Park-1. Journal of ecocity 33(2): 17-35. (in Korean) 

  20. Jeong, G.H.(1997) A Thought to Landscape of Korean Buddhist Temples. Landscape of Buddhist temples 5: 35-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Kim, T.I.(2009) Gyeongju National Park Management Plan Based on Economic Valuat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3(1): 7-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Kim, W.(1994) Gyeongsangbuk-do, Gyeongsangnam-do not naturally green overhaul. Ministry of Environment, 366pp. (in Korean) 

  23. KNPS Gyeongju National Park(2010) Resource Monitoring in Gyeongju National Park: 2year. 293pp. (in Korean) 

  24. KNPS(2008) Gyeongju National Park Resource Investigation. 649pp. (in Korean) 

  25. Lee, J.M.(1991) A Study on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in Gyeongju National Park, Namsa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for the Master Degree, 2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Lee, K.J., S.H. Choi, H.S. Cho and Y.W. Lee(1994)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okyusan National Park: Case Study of Paekryunsa-Kumpotan.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7(2):135-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Lee, S.Y.(2008) A Study of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of Gyeongju National Park. Gyeongju Univ.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4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Lee, Y.K., B.I. Lee, S.H. Choi and S.Y. Han(2011) Korean Buddhist Temples: Buddhist Temples Valuation and Management of the Public Interest, 396pp. (in Korean) 

  29. Mungyeong-si(2010) Survey and annual business planning services in the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s, 347pp. (in Korean) 

  30. National Science Museum(1997) A Study on Ecosystems in Gyeongju National Park, 144pp. (in Korean) 

  31. Orloci, L.(1978) Multivariate Analysis in Vegetation research, 2nd ed. W. Junk, The Hague, 468pp. 

  32. Park, I.H.(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s in 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Seoul Natinal Univ.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4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Shin, Y.J.(2000) A Proposal for Improvement of the Cultyral National Park Plan -Focused on Kyungju National Park-. Kongju Natinal Univ.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4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ical Monographs 26: 1-80. 

  35. Yi, P.I. and Y.K. Yi(2002) Temple Environmental Studies. Silla Council, 316pp. (in Korean) 

  36. Yi, Y.K. and S.H. Choi(2000)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of Urban Forest -The Case of Namsan in Kyungju-.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80: 13-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You, J.H., S.J. Mun and W.S. Lee(2011)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of the Hwarang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Journal Korean of Restoration Technology 14(5): 17-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