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국립공원 서어나무군락 식생구조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6, 2012년, pp.934 - 940  

홍석환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조재우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김지석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이수동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최송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지구 무장사지계곡의 서어나무 출현지역을 대상으로 서어나무군락의 식생구조를 밝히고 천이 극상림으로서 군락의 유지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서어나무가 출현하는 지역에 한해서 서어나무의 우점도를 고려하여 $10m{\times}10m(100m^2)$ 조사구 16개소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5개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는데, 아우점종의 종구성에 다소 차이가 있는 서어나무군락이 3개 유형이었으며 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서어나무군락이 각각 1개 유형이었다. 서어나무군락은 호습성 낙엽활엽수가 함께 나타나는 군락과 졸참나무가 함께 나타나는 군락, 여타의 낙엽활엽수가 함께 나타나는 군락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종다양도지수는 0.4899~0.9490으로 나타났다. 군락별로 살펴보면 서어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은 서어나무군락으로의 지속이 예측되었으나, 서어나무와 졸참나무가 경쟁하고 있는 군락의 경우에는 서어나무의 세력이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축소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 우리나라 온대중부지방에서 서어나무림을 극상림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조사자료의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rve the structure of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in the Moojangsa valley, Tohama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We designated 16 quadrats ($10m{\times}10m(100m^2)$) for looking at the continuation of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as the climax for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지구 무장사지 계곡 일대 서어나무림이 우점하는 군락을 대상으로 서어나무림 식생구조특성을 분석하여 이 일대 서어나무림의 식생 구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주국립공원이 사적형 국립공원이라는 특성에 의해 나타난 특징은 무엇인가? 경주국립공원은 우리나라에서 지리산에 이어 두 번째로 1968년 12월 31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보전적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어 국립공원에 포함된 문화재뿐만 아니라 산림지역 또한 양호한 보전관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사적형 국립공원이라는 특성에 의해 자연자원에 대한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었으며, 국립공원 지정 이후 2008년까지 40여년 동안 경주시에서 관리해 온 관계로 국립공원관리공단에 의해 20여 년간 전문적으로 관리된 다른 국립공원과 비교하였을 때 산림지역의 조사결과는 매우 미미한 상태이다.
경기도 광릉의 죽엽산 일대에 우점하고 있는 수목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일제시대 산림자원의 무분별한 수탈과 한국 전쟁에 의한 훼손, 전쟁이후 오랜 시간동안 이어진 난방재 료로의 남획으로 인해 천이극상의 표본림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는데, 경기도 광릉의 죽엽산 일대는 조선시 대부터 200년 이상 보전된 수림대로 알려지고 있어 산림식 생 천이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된 지역이다. 이 지역의 경우 서어나무 대경목 우점지역이 넓게 분포하고 있어 이 지역을 대상지로 한 천이계열의 연구(Lee et al., 1992; Ryou et al.
경주국립공원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날짜는 언제인가? 경주국립공원은 우리나라에서 지리산에 이어 두 번째로 1968년 12월 31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보전적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어 국립공원에 포함된 문화재뿐만 아니라 산림지역 또한 양호한 보전관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사적형 국립공원이라는 특성에 의해 자연자원에 대한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었으며, 국립공원 지정 이후 2008년까지 40여년 동안 경주시에서 관리해 온 관계로 국립공원관리공단에 의해 20여 년간 전문적으로 관리된 다른 국립공원과 비교하였을 때 산림지역의 조사결과는 매우 미미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 Choi, S.H., K.J. Song and K.J. Lee(1997) The vegetation structure of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in Mt. Minjuji, Youngdong-gun, Chungcheongbuk-d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2): 166-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4. Hill, M.O.(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Y: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90pp. 

  5. Jang, Y.S. and Y.J. Yim(1985) Vegetation types and their structures of the Piagol, Mt. Chiri. Korean Journal of Plant Biology 28(2): 165-1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H.S., S.M. Lee and H.K. Song(2011) Actual vegetation distirbution status and ecological success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1): 37-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H.S., S.M. Lee, H.L. Chung and H.K. Song(2009)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 focused on the deciduous forest at Namdeogyu are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5): 471-4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J.W.(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D. Thesis, Wien University, 314pp. 

  9. Lee, K.J., S.H. Choi and J.C. Cho(1992) The plants community of Kwangnung forest(II) - Analysis of vegetation in Soribong area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1(3): 214-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K.J., W. Cho, and B.H. Han(1996) Restoration and status of urban ecosystem in Seoul -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forest are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0(1): 113-1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Maarel, E.(2004) Vegetation science. John Wiley & Sons, 408pp. 

  12. Park, B.C., C.H. Oh and C.W. Cho(2009)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of Carpinus laxiflora communities in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4): 333-3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Park, I.H.(1985) Forest Structure, biomass, and net production in a Natural forest ecosystem at Mt. Baekun a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4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Park, I.H., Y.C. Choi and W. Cho(1991) Forest structure of the Hwaomsa valley and the Piagol valley in the Chirisan National Park - Forest community analysis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5(1): 42-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avel, V.K., J.S. Song, Y. Nakamura and V.P. Verkholat(2006) A phytosociological survey of the deciduous temperate forests of mainland Northeast Asia. Phytocoenologia 36: 77-150. 

  16. Peet, R.K.(1992) Community structure and function. In: Glenn-Lewin, D.C., R.K. Peet, and T.T. Veblen(Eds.) Plant succession, theory and prediction. Chapman and Hall, pp. 103-151. 

  17. Pielou, E.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Y., 165pp. 

  18. Ryou, Y.H., S.T. Park, C.S. Lee and J.H. Kim(1996) The modeling of succession for Kwangnung forest by GAP model, Journal of Korean Ecology Society 19(6): 499-506. 

  19. Shannon, C.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17pp. 

  20. Sorensen T.A.(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olog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and its application to analyses of the vegetation on Danish commons. K dan Vidensk Selsk Biol Skr 5: 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