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의 보육시설 이용과 감염성 질환 실태 연구
A Nationwide Survey on the Child Day Care and Common Infectious Diseases 원문보기

소아감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v.19 no.1, 2012년, pp.19 - 27  

안종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최성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동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기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최근 부모들의 맞벌이, 조기 교육 등의 이유로 이른 나이부터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환경의 변화 속에 5세 이하 어린이들의 보육시설 이용 현황과 이와 관련된 감염성 질환 실태 및 예방접종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 법 : 2011년 6월 10일부터 6월 16일까지 전국의 5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pm}3.1%$이고, 표본추출은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율에 따라 무작위 할당표본 추출(quota sampling)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크게 인구통계학적 특성, 단체 보육시설 이용 현황, 소아의 감염성 질환 경험, 예방접종 유무 관련 4개 주제로 나누고 그 속에 세부 문항을 두어 총 16개의 문항을 구성하였고, 설문결과를 수집하여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5세이하의 영유아들의 보육시설 이용율은 78.5%였고 이 중 약 84%가 3세 이전부터 보육시설을 처음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58%)가 그렇지 않은 영유아(34%)보다 감염성 질환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았다(P<0.001). 감염성 질환 중에서 장염(47.1%), 중이염(41.8%), 폐렴(19.1%) 등의 순으로 경험 비율이 높았고, 각 질환의 재발 여부는 중이염이 28.1%로 가장 높고 뒤이어 장염 (22.4%), 폐렴 (11.9%)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각 질환을 앓은 영유아의 약 70% 정도가 생후 24개월 이전에 이들 질환을 처음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폐렴 75.2%, 장염 77.1%, 중이염 71%). 예방접종율은 국가필수예방접종이 90.4%인데 반하여 기타예방접종은 중복응답을 포함하여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76.6%), A형 간염(63.3%), 폐구균 백신(59.4%), 로타바이러스 백신(43.1%) 순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이번 연구에서 이른 나이부터 단체생활을 시작하는 영유아가 많았고, 이들의 감염성 질환 경험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감염성 질환 예방을 위해 손씻기 등의 개인위생에 보다 힘쓰고 시기에 맞게 백신접종을 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소아 감염 전문가들에 의한 보육시설에서의 표준화된 감염관리 지침 제정과 함께 보육현장에서의 교육을 통하여 보육시설에서의 감염 전파를 막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As the number of children who attend child care centers has increased, concerns has increased about the effect of child day care on childhood ill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in child care and common infectious diseases in children under 5 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 적: 최근 부모들의 맞벌이, 조기 교육 등의 이유로 이른 나이부터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환경의 변화 속에 5세 이하 어린이들의 보육시설 이용 현황과 이와 관련된 감염성 질환 실태 및 예방접종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국내에서는 2000년대 들어서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백신, 폐구균 단백결합 백신, 로타바이러스 백신 등의 새로운 예방 접종들이 도입되는 등 의료 환경의 변화와 함께 이른 나이부터 보육시설의 이용이 증가되는 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겪고 있음에도 이러한 변화와 연관된 국내 영유아에서 감염성 질환의 실태와 예방접종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저자들은 국내에서 5세 이하 어린이들의 보육시설 이용 현황과 이와 관련된 감염성 질환 및 예방접종 현황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수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을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보육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2010년 전체 보육시설은 35,550개소로 13,403개소였던 2002년에 비해 무려 60.5%나 증가된 수치를 보였고 보육시설 이용 영유아 수도 2010년에는 1,175,049명으로 2002년 800,991명에 비해 약 46.7 % 증가하였다1).
우리나라 보육시설 이용 영유아 수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보건복지부의 보육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2010년 전체 보육시설은 35,550개소로 13,403개소였던 2002년에 비해 무려 60.5%나 증가된 수치를 보였고 보육시설 이용 영유아 수도 2010년에는 1,175,049명으로 2002년 800,991명에 비해 약 46.7 % 증가하였다1).
5세 이하 어린이들의 보육시설 이용 현황과 이와 관련된 감염성 질환 실태 및 예방접종 현황에 대하여 조사한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설문조사는 크게 인구통계학적 특성, 단체 보육시설 이용 현황, 소아의 감염성 질환 경험, 예방접종 유무 관련 4개 주제로 나누고 그 속에 세부 문항을 두어 총 16개의 문항을 구성하였고, 설문결과를 수집하여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5세이하의 영유아들의 보육시설 이용율은 78.5%였고 이 중 약 84%가 3세 이전부터 보육시설을 처음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58%)가 그렇지 않은 영유아(34%)보다 감염성 질환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았다(P<0.001). 감염성 질환 중에서 장염(47.1%), 중이염(41.8%), 폐렴(19.1%) 등의 순으로 경험 비율이 높았고, 각 질환의 재발 여부는 중이염이 28.1%로 가장 높고 뒤이어 장염 (22.4%), 폐렴 (11.9%)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각 질환을 앓은 영유아의 약 70% 정도가 생후 24개월 이전에 이들 질환을 처음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폐렴 75.2%, 장염 77.1%, 중이염 71%). 예방접종율은 국가필수예방접종이 90.4%인데 반하여 기타예방접종은 중복응답을 포함하여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76.6%), A형 간염(63.3%), 폐구균 백신(59.4%), 로타바이러스 백신(43.1%) 순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이번 연구에서 이른 나이부터 단체생활을 시작하는 영유아가 많았고, 이들의 감염성 질환 경험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감염성 질환 예방을 위해 손씻기 등의 개인위생에 보다 힘쓰고 시기에 맞게 백신접종을 하도록 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main statistics on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Seoul. 2011. 

  2. Alho O, Laaaaraa E, Oja H. Public health impact of various risk factors for acute otitis media in northern Finland. Am J Epidemiol 1996;143:1149-56. 

  3. Alexander C, Zinzeleta E, MacKenzie E, Vernon A, Markowitz R. Acute gastrointestinal illness and child care arrangements. Am J Epidemiol 1990;131:124-31. 

  4. Paradise J, Rockette H, Colborn K, Bernard BS, Smith CG, Kurs-Lasky M, et al. Otitis media in 2253 Pittsburgharea infants: prevalence and risk factors during the first two years of life. Pediatrics 1997;99:318-33. 

  5. Johansen A, Leibowitz A, Waite L. Child care and children's illness. Am J Public Health 1988;78:1175-7. 

  6. Hardy A, Fowler M. Child care arrangements and repeated ear infections in young children. Am J Public Health 1993;83:1321-5. 

  7. Hurwitz E, Gunn W, Pinsky P, Shonberger L. Risk of respiratory illness associated with day-care attendance: a nationwide study. Pediatrics 1991;87:62-9. 

  8. Louhiala P, Jaakkola N, Ruotsalainen R, Jaakkola J. Form of day care and respiratory infections among Finnish children dren. Am J Public Health 1995;85:1109-12. 

  9. Petersson C, Haekansson A. A retrospective study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among children in different forms of day care. Scand J Prim Health Care 1990;8:119-22. 

  10. Louhiala P, Jaakkola N, Ruotsalainen R, Jaakkola J. Daycare centers and diarrhea: a public health perspective. J Pediatr 1997;131:476-9. 

  11. Marx J, Osguthorpe JD, Parsons G. Day care and the incidence of otitis media in young children.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5;112:695-9. 

  12. Ponka A, Nurmi R, Salminen E, Nykyri E. Infections and other illnesses in daycare centers in Helsinki, I: incidences and effects of home and day-care center variables. Infection 1991;19:230-6. 

  13. Rasmussen F. Protracted secretory otitis media. the impact of familial factors and day-care center attendance.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1993;26:29-37. 

  14.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Child care and common communicable illnesses: result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Study of Early Child Care. Arch Pediatr Adolesc Med 2001;155:481-8. 

  15. Reves RR, Morrow AL, Bartlett AV 3rd, Caruso CJ, Plumb RL, Lu BT, et al. Child day care increases the risk of clinic visits for acute diarrhea and diarrhea due to rotavirus. Am J Epidemiol 1993;137:97-107. 

  16. Arnold C, Makintube S, Istre G. Day care attendance and other risk factors for invasive Haemophilus influenza type b disease. Am J Epidemiol 1993;138:333-40. 

  17. Dagan R, Sikuler-Cohen M, Zamir O, Janco J, Givon- Lavi N, Fraser D. Effect of a conjugate pneumococcal vaccine on the occurrence of respiratory infections and antibiotic use in day-care center attendees. Pediatr Infect Dis J 2001;20:951-8. 

  18. Kim EJ, Kwon YR, Song KH, Jang WN, Lee J, Chang JK, et al. A study on risk factors of recurrent otitis media. Korean J Pediatr Infec Dis 2010;17;91-100. 

  19. Linda A, Waggoner-Fountain. Child care and communicable diseases. In: Kliegman RM, Behrman RE, Jenson HB, Stanton BF.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8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7:1074-7. 

  20. Children in out-of-home child care. In: Pickering LK, Baker CJ, Kimberlin DW, et al, editors. Red book: 2009 Report of the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28th ed. Elk Grove Village, IL: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09:128-9. 

  21. Wald ER. Infections in day care environments. In: Feigin RD, Cherry JD, Demmler-Harrison GJ, Kaplan SL, editors. Textbook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6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9:3480-96. 

  22. Kim JS. Effects of a training program on infection prevention for staff of child daycare center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07;13:467-77 

  23. Park SN, Lee YR, Joung YJ, Kim KM. Knowledge and management of children with infectious diseases by daycare facility teachers. J Korean Acad Public Health Nurs 2010;24:115-25. 

  24. Hinman AR. Vaccine-preventable diseases and child day care. Rev Infect Dis 1986;8:573-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