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반 초임보육교사의 전문성지원 교사교육프로그램이 전문성 및 자아존중감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ism Support for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Charge of Toddler Classes on Self-respect, Efficacy in Teaching and Professionalism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1, 2020년, pp.51 - 74  

강은영 (명지대학교대학원 아동학과) ,  김진욱 (명지대학교대학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i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supports professionalism for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ler classes is effective in professionalism, self-respect, and efficacy in teaching.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0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

주제어

표/그림 (1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의 발달 특성상 성인의 보호와 도움이 계속적으로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영아는 발달특성상 스스로 살아가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부분을 성인에게 의존하게 되며, 성인의 보호와 도움이 계속적으로 필요하다. 특히 맞벌이 가정의 증가와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보다 어린이집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영아들은 보육교사에게 매우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초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알아보기 위한 남연정(2018)이 개발한 측정도구의 문항의 구성은? 본 연구에서는 영아반 초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알아보기 위해 남연정(2018)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는 지식적 능력 21문항, 인성적 자질 20문항, 돌봄능력 15문항, 보육과정능력 7문항, 협력적 능력 7문항으로 총 70문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은 Likert식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부터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로 응답한다.
초임보육교사의 입문 시기가 교직 전체 기간으로 봤을 때 매우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영아와 마찬가지로 보육교사들도 교직에 입문하면서 끊임없는 성장과 발달을 하게 되는데 영아반 초임보육교사의 입문 시기는 교직 전체의 기간으로 보았을 때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왜냐하면 초임교사 시기는 앞으로 어떤 교사로 성장해 나갈 것인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교사가 평생 동안 사용하는 대부분의 기술들은 교직 입문 시기 동안 획득하게 되고, 이러한 입문기간은 교사의 전 생애 동안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오현미, 2009; 이지현, 2002). 대부분의 보육교사들은 대학 졸업과 동시에 교사로서의 직책을 수행하게 되며 학생에서 교사로 전환하는 힘겨운 과정은 ‘현실충격(Veenman, 1984)’이라고 표현하듯이 교육현장은 영아반 초임보육교사들에게 막중한 부담을 주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강은구 (2000). 현장적용사례 중심의 과학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조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화, 송승민 (2012). 영아반 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이 미치는 영향: 보육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3(3), 357-368. doi:10.7856/kjcls.2012.23.3.327 

  3. 김명순, 신윤승, 채은화 (2016).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효능감,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보육과정 수행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7(2), 43-56. doi:10.5723/kjcs.2016.37.2.43 

  4. 김순안 (2006).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옥주, 조혜진 (2012).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223-249. doi:10.24211/tjkte.2012.29.2.223 

  6. 김양은 (2018).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라 전문성 유지를 위한 보수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11, 1-26. 

  7. 김용숙, 전연주, 박지영 (2013).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수효능감 및 직무수행의 어려움 인식간의 관계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3), 1100-1108. doi:10.5762/KAIS.2013.14.3.1100 

  8. 김지현, 양옥승 (2004). 유아교육에서의 잠재적 교육과정 탐구. 사회과학연구 10, 184-201. 

  9. 김현정 (2007). 장애유아 통합교육 유아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현지 (2008). 영아-교사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향자, 김혜선, 양미현 (2007). 유치원 초임교사 입문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예비 연구. 영유아교육연구, 10, 103-127. 

  12. 김희수 (2016). 보육교사의 인간관계(원장.동료교사.학부모), 업무보상, 근무조건과 심리적 소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희태, 백영숙 (2009).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3), 51-67. 

  14. 권연희 (2013). 보육교사의 생활만족에 대한 조직풍토,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4, 131-151. 

  15. 남연정 (2018).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박지영 (2009). 가정보육시설 영아보육을 위한 표준보육과정 적용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변은경, 장경오 (2015).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6), 3982-3990. doi:10.5762/KAIS.2015.16.6.3982 

  18. 배진옥 (2007).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저널쓰기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동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서문희 (2013). 아이사랑플랜의 성과와 시사점. 육아정책포럼, 34, 6-13. 

  20. 서정은 (2015). 유아의 도전행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도전략과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영유아인권인식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송경아 (2008).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의사소통, 친구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송미경, 양난미, 이은경 (2016). 교사의 소명의식, 자아존중감, 직업적 정체감, 삶의 만족간의 관계. 교원교육, 32(4), 197-218. doi:10.14333/KJTE.2016.32.4.197 

  23.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신희이 (2011).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영아교사의 민감성, 교직헌신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안선희, 김지은 (2010). 영아 보육교사의 자질 및 역할과 전문성에 관한 심층사례 연구. 대한가정학회, 48(3), 87-97. doi: 10.6115/khea.2010.48.3.087 

  26. 양심영, 이옥임 (2011). 영아-교사 상호작용 증진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아교사의 인식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67, 43-66. 

  27. 양옥승 (2002). 유치원교사 양성체제와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 한국교원교육연구, 19(1), 25-44. 

  28. 염지숙 (2005). 유아교육현장에서 돌봄의 실천과 한계. 유아교육연구, 25(5), 147-171. 

  29. 오욱환 (2005). 교사전문성. 서울: 교육과학사. 

  30. 오채선 (2011). 유아교육.보육 정책 변화에 따른 유아교사 전문성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5), 249-277. 

  31. 오현미 (2009). 초임보육교사 지원에 대한 인식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유은영 (2013). 유아교사의 과학수업 적극성에 영향을 주는 내적 신념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모형 분석. 유아교육연구, 33(2), 5-26. doi:10.18023/kjece.2013.33.2.001 

  33. 육아정책연구소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11-1352000-000962-12). 서울: 보건복지부. http://www.kicce.re.kr에서 2019년 10월 22일 인출 

  34. 이근주 (2013). 영아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전문성증진을 위한 자율장학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이동자 (2009). 교류분석프로그램이 어린이집 교사와 유아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미화, 김경회, 김문정 (2010).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보수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177-205. 

  37. 이선미 (2012).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179-200. 

  38. 이영미 (2006). 멘토링을 통한 2세 영아교사의 보육프로그램 수행 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이완희 (2004). 영아반 초임교사의 정체성 형성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이지영 (2012).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지현 (2002).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과 지원체제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진희 (2011). 영아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임경옥 (2016). 예비보육교사들의 실습경험에 대한 이야기: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2). 750-761. doi:10.5392/JKCA.2016.16.02.750 

  44. 정은주 (2015). 영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조혜진 (2007). 영아반 초임교사들의 어려움과 적응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학논집, 11(2), 237-262. 

  46. 최석란 (2008).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교사교육. 사회과학논총, 15, 101-115. 

  47. 한진원 (2010). 자아존중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교육 요구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4(3), 101-128. 

  48. 황해익, 김병만, 김미진 (2011).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생태유아교육연구, 10(3), 71-94. 

  49. 홍계옥 (2012). 예비영유아교사가 될 경주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문성 인식의 관계연구. 경주연구, 21(1), 177-196. 

  50. Akande, A. (2009). Comparing social behaviour across culture and nations : The 'what' and 'why'ques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92(3), 591-608. doi:10.1007/s11205-008-9321-9 

  51.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doi:1177/002248718403500507 

  52. Branscomb, K. R., & Ethridge, E. A. (2010). Promoting professionalism in infant care: Lessons from a yearlong teacher preparation project.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31(3), 207-221. doi:10.1080/10901027.2010.500513 

  53. Enochs, L. G., & Riggs, I. M.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doi:10.1002/sce.3730740605 

  5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5. Peterson, T., Veisson, M., Hujala, E., Harkonen, U., Sandberg, A., Johansson, I., Bakosi, E. K. (2016). Professionalism of preschool teachers in Estonia, Finland, Sweden and Hungary.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24(1), 136-156. doi:10.1080/1350293X.2015.1120529 

  56. Norman-Murch, T. (2005). Keeping our balance on a slippery slope: Training and supporting infant/family specialists within an organizational context. Infant and Young Children, 18(4), 308-322. doi:10.1097/00001163-200510000-00007 

  57. Schuler, R. S. (1980). Defini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stress in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5(2), 184-215. doi:10.1016/0030-5073(80)90063-X 

  58. Woolfolk, A. E., & Hoy, W. K. (1993).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orgnizational health of school.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3(4), 355-372. doi:10.1086/461729 

  59. Veenman, S. (1984).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4(2), 143-178. doi:10.3102/0034654305400214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