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산 원추리속(Hemerocallis)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2 no.4, 2012년, pp.294 - 306  

황용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김무열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한국산 원추리속(Hemerocallis) 9종 1품종에 대해 외부형태형질을 기초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새로운 종 검색표를 작성하고 종의 한계를 재검토하였다. 큰원추리는 녹색 혁질의 긴 포를 가지고 있어 연녹색 막질의 작은 포를 가진 각시원추리와 구별되었다. 태안원추리는 애기원추리와 유사하나 향기가 없고 화피통부와 잎의 길이가 길어 구별되었다. 노랑원추리는 골잎원추리와 유사하나 화피통부가 길어 뚜렷이 구별된다. 백운산원추리는 홍도원추리와 유사하나 화경이 깊게 분지하고 잎의 폭이 좁아 구별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애기원추리, 각시원추리, 골잎원추리는 한국 북부지방에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was conducted based on morphological data. H. middendorffii was distinguished from its related taxon H. dumortieri by the trait of coriaceous long bract with green color. H. taeanensis was distinguished from its related taxon H. minor b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추리속은 어느 과에 속하는가? 원추리속(Hemerocallis L.)은 APG II 분류 체계에서 비짜루목(Asparagales)의 원추리과(Hemerocallidaceae)에 속하며 이 과에서 가장 큰 속은 디아넬라속(Dianella), 원추리속(Hemerocallis), 카에시아속(Caesia) 등이다(APG, 1998; APG , 2003; APG , 2009). 그 중 원추리속은 세계적으로 약 20-30종이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Noguchi, 1986; Chung and Kang, 1994a).
원추리속은 세계적으로 몇 종이 분포하고 있는가? )은 APG II 분류 체계에서 비짜루목(Asparagales)의 원추리과(Hemerocallidaceae)에 속하며 이 과에서 가장 큰 속은 디아넬라속(Dianella), 원추리속(Hemerocallis), 카에시아속(Caesia) 등이다(APG, 1998; APG , 2003; APG , 2009). 그 중 원추리속은 세계적으로 약 20-30종이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Noguchi, 1986; Chung and Kang, 1994a). 한국에는 특산종인 백운산원추리(H.
한국에 분포하는 원추리속은 무엇이 있는가? 그 중 원추리속은 세계적으로 약 20-30종이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Noguchi, 1986; Chung and Kang, 1994a). 한국에는 특산종인 백운산원추리(H. hakuunensis), 태안원추리(H. taeanensis)를 포함하여 약 10분류군이 분포한다(Lee, 1980; Jang,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Y. H., S. H. Kim, C. Lee, and S. Lee. 1999. Palynotaxonomic study of the genus Hemerocallis L. in Korea.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40(4): 505- 510. (in Korean) 

  2. Angiosperm Phylogeny Group (APG II). 2003.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41(4): 399-436. 

  3. Angiosperm Phylogeny Group (APG III). 2009.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61(2): 105-121. 

  4. Angiosperm Phylogeny Group (APG). 1998.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flowering plants.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85: 531-553. 

  5. Chen, X. and J. Noguchi. 2000. Hemerocallis L. In Flora of China. Wu, Z.-Y. and P. H. Raven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USA. 24: 161- 165. 

  6. Chung, M. G. 2007. Hemerocallis L.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306-1308. 

  7. Chung, M. G. and Kang S. S. 1994a. Morphometric analysis of the genus Hemerocallis L (Liliaceae) in Korea. Journal of Plant Research 107: 165-175. 

  8. Chung, M. G. and Kang S. S. 1994b. Hemerocallis hongdoensis (Lili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Novon 4: 94-97. 

  9. Chung, M. G., H. G. Chung, and S. S. Kang. 1994. Distribution and morphometric analysis of Hemerocallis hakuunensis and Hemerocallis thunbergii.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4 : 17-32. 

  10. Chung, T. H. 1957. Koran Flora, Part 2, Herbaceous Plants. Shinjisa. Seoul. Pp. 962-964. (in Korean) 

  11. Hara, H. 1941. Observations and plant Asia orientalis (). Journal of Japanese Botany 17: 127. 

  12. Hu, S. Y. 1986. The species of the daylily. American Horticulture Magazine 47: 86-113. 

  13. Jang, U. S. 2010. A taxonomy of the genus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Pp. 1-52. (in Korean) 

  14. Kang, S. S. and M. G. Chung. 1997a. Hemerocallis taeanensis (Lili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Systematic Botany 22: 427-431. 

  15. Kang, S. S. and M. G. Chung. 1997b.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n endemic species: . Hemerocallis hakuunensis (Liliaceae). Journal of Plant Research 110: 209- 217. 

  16. Kim, M. H. 1985. Flora of Cheju Islands. Cheju Provincial Office. Pp. 50-55. (in Korean) 

  17. Kitamura, S., G. Murata, and T. Koyama. 1986. Colored Illustrations of Herbaceous Plants of Japan (Monocotyledoneae). Hoikusha Publ. Co., Ltd., Osaka. Pp. 210-220. 

  18.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201-202. (in Korean) 

  19. Lee, W. T. 1996. Lin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Seoul, Korea. Pp. 1253-1256. (in Korean) 

  20.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Pp. 418-421. (in Korean) 

  21. Matsuoka, M. & M. Hotta. 1966. Classification of Hemerocallis in Japan and its vicinity. Acta Phytotaxonomica et Geobotanica 22: 25-43. (in Japanese) 

  22. Nakai, T. 1911. Flora Koreana (2). J Coll. Sci. Imp. Univ. Tokyo. 31: 251-253. 

  23. Nakai, T. 1932. Hemerocallis japonica. Botanical Magazine Tokyo 46: 111-123. 

  24. Noguchi, J. 1986. Geogrphical and ecological differentiation in the Hemerocallis dumortieri complex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karyology. Journal of Science of the Hiroshima University Ser. B. Div. 2 (Botany) 20: 29-193. 

  25. Ohwi J. 1984.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 C. Pp. 291-293. 

  26. Palibin, J. 1901. Conspectus Florae Koreae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19: 112. 

  27. Park, M. K. 1949. An Enumeration of Koran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Pp. 32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