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혼합제제 처리가 토양의 미생물상과 화학적 특성 및 시설 채소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organism Mixture Application on the Microflora and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the Growth of Vegetables in Greenhouse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1 no.4, 2012년, pp.368 - 374  

류일환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정수지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한성수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urgency of feeding the world's growing population while combating soil pollution, salinization and desertification requires suitable biotechnology not only to improve crop productivity but also to improve soil health through interactions of soil nutrient and soil microorganism. In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는 대표적 광합성 세균으로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양양분을 공급하는 특성을 갖고있다. 각각의 특성을 갖고있는 미생물혼합제제가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상의 변화와 시설채소의 생육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이를 토대로 미생물혼합제제의 친환경유기농자재로써의 사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날 농업은 화학비료와 농약의 과다사용으로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가? 오늘날 농업은 화학비료와 농약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토양의 산성화 및 염류집적 등으로 인한 작물의 생산 및 품질저하, 농가소득의 저하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친환경유기농업을 하여 부가가치도 높이고 이러한 현상을 개선할 목적으로 농가에서는 목초액, 식물 발효액 및 한방 영양제 등 다양한 친환경유기농자재들을 이용하고 있으나, 자재의 용도와 기준 또는 효능이 명확하지 않은 등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근권미생물 중 세균의 역할은 무엇인가? 토양 중에는 세균ㆍ방선균ㆍ사상균ㆍ조류ㆍ원생동물 등 표토 토양 1 g당 세균수가 수십억, 사상균의 균사의 길이가 수백 m, 미생물의 생체 무게가 토양 유기물 양의 수 %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세균은 유기영양세균 (종속영양세균)과 무기영양세균(독립영양세균)으로 구분되며 식물유체 등 유기물의 분해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질소고정 및 탈질작용 및 질산 생성작용, 황ㆍ철ㆍ망간 등 무기원소의 산화에 관여하는 토양의 물질순환의 중요한 담당자이다. 또한, 방선균은 다양한 유기물을 기질로 하여 자라며, 사상균은 세균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내산성이 강하여 특히 산성토양에서 유기물 분해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친환경유기농자재는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가? 오늘날 농업은 화학비료와 농약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토양의 산성화 및 염류집적 등으로 인한 작물의 생산 및 품질저하, 농가소득의 저하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친환경유기농업을 하여 부가가치도 높이고 이러한 현상을 개선할 목적으로 농가에서는 목초액, 식물 발효액 및 한방 영양제 등 다양한 친환경유기농자재들을 이용하고 있으나, 자재의 용도와 기준 또는 효능이 명확하지 않은 등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미생물에 의해 토양생태계의 변화를 가져와 농업 생산성을 지속시키고 환경보존형 친환경 유기농업의 실현을 위한 연구결과들을 보고하였다(H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T.S., Ka, J.O., Lee, G.H., Song, H.G., 2007. Revegetation of a lakeside barren area by the application of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J. Microbiol. 45, 171-174. 

  2. Aslantas, R., Ramazan, C. and Sahin, F., 2007. Effect of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on young apple tree growth and fruit yield under orchard condition, Sci. Horticamsterdam 111, 371-377. 

  3. Bray, R.H. and Kurtz, L.T., 1945. Determination of total, organic and available forms of phosphorus in soil, Soil Sci. 59, 39-45. 

  4. Cunningham, S.D. and Berti, W.R. 1993.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s with green plants: an overview, InVitro Cell Dev. Biol. 29, 207-220. 

  5. Estiken, A. Pirlak, L., Turan, M., Sahin, F., 2006. Effects of floral and foliar application of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PGPR) on yield, growth and nutrition of sweet cherry, Sci. Horticamsterdam 110, 324-327. 

  6. Federico, G.R., Maria, M.R., Marcela, F., Sofia, N.C., Adriana, M.T., 2007. Biological control by Trichoderma species of Fusarium solani causing peanut brown root rot under field conditions, Crop Protect, 26, 549-555. 

  7. Glick, B.R., Karaturovic, D.M., Newell, P.C., 1995. A novel procedure for rapid isolation of plant growth promoting Pseudomonas, Can. J. Microbiol. 41, 533-536. 

  8. Ha, H.S., Um, S.K., Kang, H., Park, J.C., 1979.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s under plastic film house in the southern forcing culture areas, Horticul Environ. Biotechnol. 20, 36-46. 

  9. Johnson, D.L., Anderson, D.R., McGrath, S. 2005. Soil microbial response during the phytoremediation of a PAH contaminated soil, Soil Biol. Biochem. 37, 1334-1336. 

  10. Kennedy, I.R., Pereg-Gerk, L.L., Wood, C., Deaker, R., Gilchrist, K., Katupitiya, S., 1997.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in non-leguminous field crop: facilitating the evolution of an effective association between Azospirillium and wheat, Plant Soil 194, 65-79. 

  11. Kim, J.Y., Cho, K.S., 2006. Bioremediation of oilcontaminated soil using rhizobacteria and plant,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185-195. 

  12. Kloepper, J.W., Gutierrwz-estrada, A., Melnroy, J.A., 2007. Photoperiod regulates elicitation of growth promotion but not induced resistance by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Can. J. Microbiol. 53, 159-167. 

  13. Kwon, J.S., Suh, J.S., Weon, H.Y., Shin, J.S., 1998. Evalution of soil microflora in salt accumulated soils of plastic film house, Korean J. Soil and Fertilizer, 31, 204-210. 

  14. Li, J., Kremer, R.J. 2006. Growth response of weed and crop seeding to deleterious rhizobacteria, Biol. Control, 39, 58-65. 

  15. Liste, H., Felgentreu, D., 2006. Crop growth, culturable bacteria, and degradation of petrol dehydrocarbons (PHCs) in a long-term contaminated field soil, Appl. Soil Ecol. 31, 43-52. 

  16. Macek, T.M. and Kas, J. 2000. Exploitation of plants for the removal of organics in environmental remediation, Biotechnol. Adv. 18, 23-34. 

  17. Meers, E., Vandecasteele, B., Ryttens, A., Vangronsveld, J., Track, F.M.G., 2007. Potential of five willow species(Salix spp.) for phytoextraction of heavy metal, Environ. Experim. Bota. 60, 57-68. 

  18. NIAST. 1988.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19. Nehl, D.B., Allen, S.J., Brown, J.F., 1996. Deleterious rhizosphere bacteria, an intergrating perspective, Appl. Soil Ecol. 5, 1-20. 

  20. Riddle, J., Ford, J., 1995. Organic Inspection Manual Independent Organic Inspectors Association, p. 121, Minnesota, USA. 

  21. Schnoor, J. L. 1997. Phytoremediation technology evaluation report, Ground-Water Remediation Technologies Analysis Center, pp.8-18, Iowa, U.S.A. 

  22. Shaharoona, B., Arshad, M., Khilid, A., 2007. Differential response of etiolated pea seedlings to inoculation with rhizobacteria capable of utilizing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or L-methionine, J. Microbiol. 45, 15-20. 

  23. Shimp, J.F., Tracy, J.C., Davis, L.C., Lee, E., Huang, W., Erickson, L.E., Schnoor, J.L. 1993. Beneficial effect of plants in the remediation of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organic meterials, Environ. Sci. Technol. 23, 41-77. 

  24. Thomas, F.C., Chin, A.W., Priester, W., Bij, A.J., Lugtenberg, J.J., 1997. Description of the colonization of a gnotobiotic tomato rhizosphere by Pseudomonas fluorescens biocontrol strain WCS365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ol. Plant Microbe. 10, 7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