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대학생의 재난경험과 재난대비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Disaster Experience and Prepar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8 no.3, 2012년, pp.424 - 435  

강경희 (가천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엄동춘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남은숙 (강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aster experience (accidents, education etc) and the concern for disaster preparedness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 2011 to December 30, 2011 and analyze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지금부터라도 개인의 재난대비 능력을 향상시킬뿐 아니라 현실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들은 미래 잠재적인 재난현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간호학과와 응급구조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재난(사건, 교육)경험과 재난대비 정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재난교육과 훈련을 위한 교육과정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간호학과 응급구조학과)의 재난(사건, 교육)경험과 재난대비 관심 및 재난대비용 생존용품 등을 평가하기 위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재난(사건, 교육)경험과 재난대비 관심정도를 파악하기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재난대비 관심에서 학과(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재난관리는 어떤 단계로 구분되는가? 일반적으로 재난관리는 예방 및 완화단계, 준비계획 단계, 대응단계, 복구단계로 구분하며, 이중 의료진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단계는 준비계획 및 대응단계이다. 그러나 국내의 재난계획은 주로 정부기관 위주로 세워져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대한 재난관리 규정과 지침은 없는 상태(Wang.
재난을 발생 원인에 따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재난은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자연재난과 인위재난으로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업화를 이룬 1970년대 이전까지는 풍수해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재해만을 재해로 여겼으며, 각종 가술적인 사고는 산업재해로 다루어 오다가 건설 및 교통 부문에서 대형사고와 가스폭발, 환경오염 등과 같은 대도시형 재해를 경험하면서 재해를 재 정의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재난관리 실태에 대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관한 규정이 없다는 것을 자각하게 만든 사례는 무엇인가? Choi, & Arnold, 2003)이다. 이것은 1990년 9월 홍수로 아산 중앙병원이 침수되면서 전기와 상하수도 및 가스 등이 단절되어 중환자실 환자감시 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고 방사선 누출의 위험까지 대두(손창환, 윤재철, 오범진, 김원, 임경수, 2008)되었던 것으로도 알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으로 인해 현장에서 일하는 의료인은 병원에서의 재난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나 적극적으로 재난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는 이유는 자체예산부족과 정확한 지침이 없기 때문이며, 재난대비를 하여도 서류상으로만 재난대책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교육과 훈련이 주기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최대해, 2009)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경남, 권건주, 백민호 (2010). 주민참여를 통한 재난관리 민간역량 강화 방안. 국가위기관리학회지, 1, 366-379. 

  2. 김순심 (2009). 한국의 응급구조과 교육과정. 한국응급구조학회지, 13, 17-59. 

  3. 노지영 (2011). 재해간호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 및 핵심수행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4. 박선영 (2011). 자연재해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연구 :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5. 박연직 (2005). 재난지역 거주자의 주거안전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춘천. 

  6. 박은정 (2010). 대학의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운영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7. 박종만 (2011). 재난관리 대비단계에 필요한 한국형 Rescue Kit 디자인 제안 : 개인용 대비용품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8. 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1). 2011년도 의료기관인증 조사기준집 [ver.1.2] -대형병원용 : 300병상 이상의 병원 및 종합병원 대상-. 의료기관평가인증원. 

  9. 소방방재청 (2008). 2008 재난연감. 소방방재청. 

  10. 소방방재청 (2009). 2009 재난연감. 소방방재청 

  11. 손창환, 윤재철, 오범진, 김원, 임경수 (2008). 국내 응급의료 센터들의 기본재난물품 준비현황. 대한응급의학회지, 18(1), 22-30. 

  12. 이옥철, 왕순주(2008). 한국의 재해간호교육실태,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4(2), 95-104. 

  13. 정해모 (2011). 시민안전의식을 통한 소방안전교육모델의 개발방향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14. 조성애 (2008). 한국사회와 기독교의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연구: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5. 최남희 (2011). 재난, 위기, 재난간호. 2011 한국재난간호사회 학술대회발표, 서울. 

  16. 최대해 (2009). 재난에 대한 의료기관의 대응태세. 동국의학, 16, 1-12. 

  17. 한국재난간호사회 (2011). 재난간호와 공중보건 실무가이드. 서울: 대학서림. 

  18. Bartley, B. H., Stella, J. B., & Walsh, L. D. (2006). What a disaster?! Assessing utility of simulated disaster exercise and educational process for improving hospital preparedness. Prehospital and Disaster Medicine, 21(4), 249-255. 

  19. Chan, S. S. S., Chan, W. S., C., Fung, W. M. O., Lai, K. H. T., Leung, W. K. A., Leung, L. K. K., Li, S., Yip, L. K. A., & Pang, M. C. S.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undergraduate training course for developing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in China,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4), 405-413. 

  20. French, E. D., Sole, M. L., & Byer, J. F. (2002). Disaster training for emergency physicians in the United State: a systems approach. Annal of Emergency Medicine, 1491, 36-40. 

  21. Fung, W. M. O., Lai, K. Y. C., & Yuen, L. A. (2008). Nurses's perception of disaster: implication for disaster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 3165-3171. 

  22. Gebbie, K. M., & Qureshi, K. (2002). Emergency and disaster preparedness.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2(1), 46-51. 

  23. Good, L. (2007). Addressing hospital nurses fear of abandonment in bioterrorism emergency.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 Health Nurses Journal, 55(12), 493-498. 

  24. Kennedy, C. (2009), Why do people die in earthquakes? the costs, benefits and institutions of disaster risk redu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Series Number 4823. World Bank, Geneva. 

  25. Korean Red Cross, (2011). Retrieved May 10, 2011, from http://www.redcross.or.kr/redcross_krc/redcross_krc_main.do 

  26.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1). Retrieved May 10, 2011, from http://www.nema.go.kr/RSA/front/ Search.jsp 

  27. Powers, R. (2009). Evidence-based disaster planning.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5(3), 218-223. 

  28. Veenema, T. G. (2003). Disaster nursing and emergency preparedness for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terrorism and other hazard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9. Wang. S. J., Choi, J. T., & Arnold, J. (2003). Terrorism in South Korea. Prehospital and Disaster Medicine, 18, 140-147. 

  30. Weiner, E., Irwin, M., Trangenstein, P., & Gordon, J. (2005). Emergency Preparedness curriculum in nursing school in the United State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 26(6), 334-339. 

  31.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trieved May 1, 2012, from http://ko.wikipedia.org/wik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