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hogayonggolmoryeo-tang on the anxiety of Hwa-byung. Methods : In this randomized, double blinded, placebo-controlled study, we planned to give Sihogayonggolmoryeo-tang or controlled medication for anxiety of Hwa-byung. Hamilt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병이란 무엇인가? 화병은 몸과 마음이 답답하고 몸에 열이 높은 병이라 정의되며 즉 마음에서 비롯되며, 분노 등의 감정과 연관이 되고, 이러한 감정을 풀지 못하는 시기를 거쳐 화의 양상으로 폭발하는 증상이 있는 병이다1). ‘화병’이라는 병명은 한국의 민간에서 사용해왔던 것으로 현재는 신경정신과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2), DSM-Ⅳ에서는 문화관련증후군의 하나로 언급하면서, 한국의 민속증후군으로 분노의 억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분노 증후군’으로 해석하고 있다3).
분노, 불안, 우울 같은 주요 정서적 증상 외에 화병의 증상은 무엇이 있는가? 그 증상으로는 불면(insomnia), 피로(fatigue), 공황(panic), 임박한 죽음에 대한 두려움(fear of impending death), 우울한 감정(dysphoric affect), 소화불량(indigestion), 식욕부진(anorexia), 호흡곤란 (dyspnea), 빈맥(palpitation), 전신의 통증(generalized aches and pains), 상복부위의 이물감(feeling of a mass in the epigastrium)등이 있다4). 분노, 불안, 우울은 화병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주요한 정서적 증상으로5), 초기에 분노와 불안, 후기에는 우울의 정서가 나타난다6).
시호가용골모려탕 과립제의 허가 효능은 무엇인가? 한편 시호가용골모려탕은 傷寒論에 처음 기재된처방으로 과립제의 허가 효능은 ‘정신이 불안하고 동계, 불면 등을 수반한 고혈압 수반증상(동계, 불안, 불면), 신경증, 갱년기 신경증, 소아야제증’이다. 시 호가용골모려탕 과립제의 임상경향을 분석한 김 등16)따르면 주소증으로 불면, 불안, 두통 및 현훈을 호소하는 경우에 많이 쓰였으며 이때 불안 증상의 호전도는 58%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Neuropsychiatry of oriental medical schools in nation. The Neuropsychiatry of Oriental medicine. Seoul. Jipmoon-Dang. 2007. 215, 220, 221-2, 224. 

  2. Kim JW, Hyun KC, Whang WW. A Study on the Origin of Hwabyung(Fire Syndrome).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9;10(1):205-15. 

  3. Rutz W.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Social Psychiatric Assocciation. 1994:864. 

  4. American Psychis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Seoul:hanamedical. 1995:1083,697-711. 

  5. Rho JY, Kim JW, Whang WW. A Study on the Clinical States in Hwabyung Patient used Anxiety, Depression & Anger Scale.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8;9(2)97,97-110. 

  6. Kim JW, Whang WW, Chon KK, Park HK. Emotional Stress and Hwabyung(An Anger Syndrom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97;2(1):170-87. 

  7. Min SK, Son EH, Byeon YU. The Concept of Hwabyung of Korean Psychiatrists and Herb Physician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89;28(1):146-54. 

  8. Lee HY, Kim JW, Park JH, Whang WW. A study for diagnosis and pattern identification of Hwa-Byung.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5;16(1):1-17. 

  9. Yim HJ, Kim SH, Lee SR, Jung IC.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Hwa-byung.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8;22(5):1071-77. 

  10. Kwon JH, Kim JW, Park DG, Lee MS, Min SG, Kwon H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wa-Byung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8;21(1):237-52. 

  11. Cheong MH, Lee SR, Kang WC, Jung IC.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Oriental Medical Evaluation for Hwa-Byung.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0;21(2):141-55. 

  12. Jung IC, Lee SR, Park YC, Hong KE, Koo YS, Jo JH, An JJ, Kang WC, Kim JW, Choi SM. The Effect of Sa-am Acupuncture Treatment for Major Symptom of Hwa-byung :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7;18(1):79-94. 

  13. Jung IC, Lee SR, Park YC, Hong KE, Lee YK, Kang WC, Choi SM, Kim JW, Choi QK, Oh DS, Park JE. The Effect of Sa-am Acupuncture Simjeongkyeok Treatment for Major Symptom of Hwa-byung.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8;19(1):1-18. 

  14. Choi WJ, Lee SG, Son IB, Sun SH. The effects of Sa-am Acupuncture Simpojeongkyeok Treatment on Hwa-byung : Randomized, patient- assessor blind, placebo-controlled acupuncture, pilot clinical trial.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1;22(2):1-13. 

  15. Kim SH, Park YC, Hong KE, Kang W, Ryong Lee S, Chul Jung I. The effect of Bunsimgi-eum on Hwa-byung: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J Ethnopharmacol. 2012;144(2):402-7. 

  16. Kim KS, Kim WC, Kim KO. A Study about trends of using Shihogayonggolmoryo-tang granule.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otion. 2012;20(1):159-66. 

  17. Min SK. A Study of the Concept of Hwabyung.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89;28(4):604-16. 

  18. Gu BS, Lee JS. A Literature Brief Report on Fire Diseases.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3; 4(1):1-18. 

  19. Son SJ. A study on the diagnosis of Hwabyung : Discrimination of distinctive symptoms for Hwabyung. Department of Medicin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7. 

  20. Kim SH. GuksiShanghanlun. Seoul:Jumin Publisher. 2006:133-6. 

  21. Min SK, Hong HJ. A study on prognosis of Hwa-byung. Behav Sci Med. 2006;5:9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