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병치료에 대한 침과 한약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he Effects of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Whabyung: A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7 no.4, 2017년, pp.267 - 275  

김예리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정선용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최은지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조은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nd Objective: Whabyung is a Korean cultural disorder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emotional stress and physical symptoms. Acupuncture, herbal medicines and other complementary medicinal treatments are used to treat the symptoms of whaby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거중심의학의 방법론을 이용한 체계적 검색과 선정된 문헌의 질 평가를 토대로 메타분석 할 연구를 선별하여 양적 합성 시 발생할 수 있는 결과의 비뚤림 위험성이 낮은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화병환자 대상 침 치료와 한약 치료가 분노, 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최근에 출판된 문헌들까지 포함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화병환자의 불안, 분노, 우울이 침 치료와 한약치료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 메타분석을 통해 중재효과 크기를 종합하여 분석하고, 연구의 한계점 분석을 통해 좀 더 효과적인 화병의 한의학적 치료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병의 특징은 무엇인가? 화병은 한국 인구의 4.2%에서 발견되며, 중년 여성과 사회 경제적 및 교육 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많이 나타나는 질병이다.1) 국제적 표준이 되는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4판(DMS-IV)에서는 화병을 한국 문화와 관련이 있는 분노 증후군으로, 분노의 억제로 인한 불면, 피로, 공황, 임박한 죽음에 대한 두려움, 우울한 감정, 소화불량, 식욕부진, 호흡곤란, 빈맥, 전신 동통 및 상복부의 이물감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으로 정의한다.
화병의 한의학적 치료의 예는 무엇인가? 3) 기존에 수행되고 있는 화병의 한의학적 치료는 정신 병리적 측면과 신체 병리적 측면으로 나눠지며, 다면적인 화병 치료 및 관리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4) 예를 들어, 약물, 침 등 한의학 요법을 통해서 특징적 증상을 치료하고, 상담과 명상, 기공 요법 등을 이용해 억울함과 분함의 정서적인 문제를 치료한다. 또한, 사고적 문제와 행동적인 문제는 인지적, 행동적인 접근법으로 치료한다.
화병의 증상은 어떠한가? 2%에서 발견되며, 중년 여성과 사회 경제적 및 교육 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많이 나타나는 질병이다.1) 국제적 표준이 되는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4판(DMS-IV)에서는 화병을 한국 문화와 관련이 있는 분노 증후군으로, 분노의 억제로 인한 불면, 피로, 공황, 임박한 죽음에 대한 두려움, 우울한 감정, 소화불량, 식욕부진, 호흡곤란, 빈맥, 전신 동통 및 상복부의 이물감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으로 정의한다.2) 화병은 정서적 스트레스와 신체 증상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한국 문화 특징적 질환이기에 다양한 한의학적 치료가 행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 SK, Kee NK, Lee HY. An epidemiological study of hwabyung.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4):867-74. 

  2. Amer Psychiatric.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 Edition, Fourth ed: Am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3. Chung SY, Song SY, Kim JW. Clinical guidelines for Hwabyung II.(Research on the Status of Hwabyung in Korea).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3;24(spc1):15-22. 

  4. Kim JW. Release from Wha-byung: womennews; 2007. 

  5. Lee KL. Meta-Analysis of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in Stuttering Treatment.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2014;19(3):381-90. 

  6. Schiavetti N, Metz DE, Orlikoff R F, Evaluating research in communicative disorder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Allyn & Bacon, 2011. 

  7. Shin WJ. An Introduction of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anyang Med Rev. 2015;35:9-17. 

  8. Kim YY, Hyun HS. A Quality Assessment of Systematic Review of Oriental Medicine in South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10):549-59. 

  9. Seung SH.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Studies for Hwa-byung in Korea Journal. D.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2016. 

  10. Choi EJ. A systematic review of diagonosis.assessment and treatment for Hwa-byung.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017. 

  11. Hong MK, Kim WJ, Lee WB, et al. Korean medicine for Hwa-byung: a systematic and meta-analysis. Orient Pharm Exp Med 2016;16(4):251-7. 

  12.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et al. PRISMA group.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Int J Surg 2010;8(5):336-41. 

  13. Kim JW, Whang WW. A clinical study on treatments of Hwabyung with oriental medicine.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1998;19. 

  14. Seo YH, Park SJ, Lee HK. The Study about Meridian Cardiac CMP Change after External Gigong Theraphy in Suchi-Chim to Hwabyung Patients. The Korean academy of medical gigong 2003;7(1):45-60. 

  15. Jung IC, Lee SR, Park YC, et al. The Effect of Sa-am Acupuncture Simjeongkyeok Treatment for Major Symptom of Hwa-byung.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8;19(1):1-18. 

  16. Jung DJ, Lee JH. The clinical trial for the significant effects of acupuncture on decreasing anxiety symptom of Hwa-Byung in a single institutesingle-arm with Hwa-Byung, open lable. J Orient Neuropsychiatry 2012;23(1):49-58. 

  17. Lee GE, Kim NK, Kim HY, et al. The Effects of Acupuncture Treatment on Hwa-byung patient's Insomnia: Patient-assessor 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J Orient Neuropsychiatry 2012;23(1):31-48. 

  18. Bae DB, Lyu SJ, Lee GE, et al. The Effects of Acupuncture Treatment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s of Hwa-byung Patients Insomnia. J Orient Neuropsychiatry 2014;25(3):235-42. 

  19. Bae EJ. The Clinical Study of Effectiveness of Yuldahansotang in Hwabyung Patient.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2006. 

  20. Kim SH, Park YC, Hong KE, et al. The effect of Bunsimgi-eum on Hwa-byung: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J Ethnopharmacol 2012;144(2):402-7. 

  21. Choi WC. The Effect of Sihogayonggolmoryeo-tang on Anxiety of Patients with Hwa-byung : Randomized,Double-blinded,Placebo-control Trial. D.S. Thesis. Daejeon University. 2014. 

  22. Lim JH, Kim JW.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s of the clinical appearances and stress perception of Hwabyung patients, according to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J Orient Neuropsychiatry 2000;11(1):47-57. 

  23. Song YR, Park KM, Yang SJ, et al. 5 Cases of Climacteric Syndrome Patients with Hwa-Byung. J Korean Obstet Gynecol 2016;29(4):80-90. 

  24. Lim SM, Shin ES, Lee SH, et al. Tools for assessing quality and risk of bias by levels of evidence. J Korean Med Assoc/Taehan Uisa Hyophoe Chi 2011;54(4). 

  25. Hong S, Keum K, Hwang W, et al. A study on present status of oriental medical informatics and development plan. J Korea Institute Oriental Med Inform 2004;10(2):114-88. 

  26. Cho Jh, Son CG, Lee YW, et al. Current status of studies on cancer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s. J Korean Orient Intern Med 2006;27. 

  27. Lee NH, Cho JH, Son CG, et al. Analysis of studies o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cancer types and symptoms. J Korean Orient Intern Med 2006;27. 

  28. Jeong TY, Cho JH, Son CG. An Overview of HRQO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 and Application in Oriental Medicine. Korean Orient Med Soc 2010;31(2):64-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