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허리 척추수술환자의 수술 후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Post-operative Uncertainty of the Patients Undergone Lumbar Spinal Surgery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19 no.3, 2012년, pp.294 - 307  

전명희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위스콘신-밀워키 주립대학교) ,  정지영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민숙 (전북과학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ain factors affecting patients' uncertainty following lumbar spinal surger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f a sample 155 post -operative patients in April to June 2010. Uncertainty and knowledge about self-care after spinal surgery and the back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술 후 퇴원을 앞 둔 허리 척추수술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수술 후 자가 간호에 대한 지식도, 불확실성 정도 및 허리 건강(허리통증, 허리 기능, 보행 능력, 사회생활 기능, 정신건강)을 파악하고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허리 척추수술을 받고 퇴원을 하루 앞둔 대상자의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Figure 1).
  • 따라서, 허리 척추수술 후 대상자의 불확실성이 예측되나 아직은 관련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허리 척추수술 후에 퇴원을 앞둔 환자의 불확실성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 불확실성, 자가 간호에 대한 지식도, 허리건강(허리통증, 허리 기능, 보행 능력, 사회생활 기능과 정신건강) 간의 상관관계와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진단명, 수술명과 보조기의 종류는 대상자의 진료기록을 보고 기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허리 척추 질환이 나타나는 연령대는? 허리 척추 질환의 증상은 나이 어린 학생부터 60대 이후의 노인에 이르기까지 연령대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Cho, Choi, & Lee, 2007). 노인 환자들은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노화의 자연스런 현상으로 여기며 참고 견디다가 심각한 증상이 나타난 후에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고(Kim, 2007), 다양한 척추수술과 진단영상 기술이 발전하면서 과거에 비해 척추질환 진단이나 수술건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허리 척추 질환을 가지는 노인의 특징은? 허리 척추 질환의 증상은 나이 어린 학생부터 60대 이후의 노인에 이르기까지 연령대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Cho, Choi, & Lee, 2007). 노인 환자들은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노화의 자연스런 현상으로 여기며 참고 견디다가 심각한 증상이 나타난 후에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고(Kim, 2007), 다양한 척추수술과 진단영상 기술이 발전하면서 과거에 비해 척추질환 진단이나 수술건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허리 척추질환이란? 허리 척추질환은 척추골 혹은 신경 및 조직들의 이상이나 손상으로서 요통, 하지 방사통 혹은 신경성 파행을 동반하며 특히 수술은 신경 압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부 척추구조의 변형이 불가피한 경우도 많아(Cho et al., 2007) 이후 일상생활 중 허리 기능 수행 장애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환자의 허리건강(허리통증, 허리 기능, 보행 능력, 사회생활 기능과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Fuku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H. J., Tae, Y. S., & Han, Y. I.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health and uncertainty in cancer patients hav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7(2), 107-118. 

  2. Cha, K. S., & Kim, K. H. (2012). Impact of uncertainty on resilience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12(2), 139-146. http://dx.doi.org/10.5388/aon.2012.12.2.139 

  3. Cho, J. H., Choi, S. U., & Lee, S. C. (2007). The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inflammation variables and gait ability with $360^{\circ}$ spinal fusion surgery. Health & Sports Medicin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ertified Exercise Professionals, 9(1), 85-92. 

  4.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5. Fukui, M., Chiba, K., Kawakami, M., KiKuchi, S., Konno, S., Miyamoto, M., et al. (2009). JOA back pain evaluation questionnaire(JOABPEQ)/ JOA cervical myelopathy evaluation questionnaire (JOACMEQ) the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revised versions April 16, 2007. Journal of Orthopedic Science, 14(3), 348-365. http://dx.doi.org/10.1007/s00776-009-1337-8 

  6. Jo, K. H., & Son, B. Y. (2004). The relationship of uncertainty, hop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7), 1184-1193. 

  7. Jun, M. H., Choi, C. R., & Lim, E. J. (2010, June). Experience of Korean elderly patients under going lumbar spinal surgery: Inventive adaptation to post-surgical live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Canadian association of neuroscience nurses 41st annual meeting and scientific sessions, Quebec. 

  8. Jun, M. H., & Jung, J. Y. (2010). A follow up study for elderly's disabilities in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fe after lumbar spinal surger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140-149. 

  9. Jun, M. H., & Jung, J. Y. (2012). Effectiveness of home health care service for elders after spinal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7), 1009-1018. http://dx.doi.org/10.4040/jkan.2012.42.7.1009 

  10. Kim, E. K, Eom, M. R., & Jung, J. Y. (2008). Comparison of the perceived nursing needs between spinal surgery patients and nurses caring for th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1), 89-97. 

  11. Kim, D. G. (2007). Practical points in neurosurgery. Seoul: Ilchokak. 

  12. Kim, D. H., & Kim, S. S. (2009). The short term effect of early 3-dimensional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fter lumbar microdiscectomy.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7(1), 47-52. 

  13. Kim, S. E. (2006). The influence of preoperative uncertainty upon anxiety -on orthopedic surgical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4. Kim, Y. J., & Choi, H. J. (2012). The influe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support on general well-being among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5(1), 20-29. http://dx.doi.org/ 10.7587/kjrehn.2012.20 

  15. Lee, C. H. (2010). Patient's perception on bracing after spinal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16. Lee, J. E., Kim, S. S., Kim, S. N., Han, K. H., Kim, S. H., Ji, E. J., et al. (2011).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1), 20-30. 

  17. Lee, J. Y., & Choi, S. (2007). Quality of life in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during chemotherap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4), 290-298. 

  18. Lee, M. J. (2009). 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recovering clients discharged from hospital after CABG. Nursing Science, 21(1), 49-63. 

  19. Lim, S. Y. (2002). A study on spine surgery patients' nursing needs and experien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 Mishel, M. H. (1988). Uncertainty in illnes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4), 225-232. 

  21.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2, October 19). Major operation statistics 2010. Retrieved October 2, 2012, from http://www.nhic.or.kr/portal/site/main/menuitem.b3d33d790bae4b404bf15151062310a0 

  22. Oh, I. O., Oh, E. G., & Kim, S. A. (2012). Level and correlation factors of uncertainty in members of families of a patient with mental illness. Korean Academy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1(2), 158-166. 

  23. Saban, K. L., & Penckofer, S. M. (2007). Patient expectations of quality of life following lumbar spinal surgery. The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39(3), 180-189. 

  24. Seong, E. H., & Hong, M. S. (1995). The effect of preparatory information on uncertainty, anxiety and depression of post operative patient with gastric cance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7(2), 245-258. 

  25. Stewart, J. L., Mishel, M. H., Lynn, M. R., & Terhorst, L. (2010). Test of a conceptual model of uncertain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3(3), 179-191. http://dx.doi.org/10.1002/nur.20374 

  26. Yang, N. Y., & Kim, M. J. (2002). Concept analysis of uncertainty related to illnes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4(2), 187-194. 

  27. Yu, P. S., & Ko, S. H. (2006). A study on the relation among uncertainty in illness, hope and spiritual well-being of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8(3), 479-4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