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성인 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으로서 패션 교육
Fashion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adult learner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0 no.6, 2012년, pp.838 - 853  

남지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양학과) ,  박혜정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dult learners' decision making variables, satisfaction, and evaluation toward fashion education as a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As decision making variables, this study included participation purpose, information source, and selection criteria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성인 학습자의 평생교육으로서의 패션교육의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를 밝히고자 한다.
  • 패션 교육은 다양한 공정을 거쳐서 생산되는 의류제품을 위한 다양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패션디자인, 패션 마케팅, 의복구성, 의류소재, 복식사 등 다양한 세부 분야들의 학문영역을 포괄하는 복합학문으로 발전해왔다(Hong & Lee, 2011). 따라서 본 과정도 이러한 복합학문으로서 패션교육을 인지하고 평생교육으로서의 패션교육을 통합적 교육 시스템으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Ju, Ryu, and Kim(2011)의 연구에 의하면 전국의 의류 및 의상 관련학과 58개를 대상으로 디자인 관련과목의 편성비율이 36.
  • 따라서 서울, 부산 외 지역에서 신뢰할 수 있는 교육기관에서의 패션 교육은 전무한 상태이므로, 대학교에 패션관련 학과가 없으면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부실한 커리큐럼으로 운영하는 곳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도시외 지역의 패션관련 학과가 없는 대학교가 지역의 성인 학습자의 수요를 인지하고, 평생교육으로의 패션교육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밝히고자 한다.
  • 즉, 표적집단의 자연스런 토의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미쳐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사실들을 발견하여 관심 대상이 되는 연구주제나 문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있으므로(Park, Kim, Rhee, & Lim, 2002), FGI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문지에서 파악하지 못한 성인 학습자의 평생교육으로서의 패션교육 과정에 대한 평가를 밝힐 수 있다고 본다.
  • 최근 대학생 수의 감소로 인해 패션교육 체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대도시외 지역에서의 성인 학습자의 패션교육에 대한 수요를 밝혀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평생교육기관에서의 패션교육의 선택에 대한 의사결정 변수와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여건/행정 서비스 만족도, 교육과정 평가를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패션교육을 성인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평생교육에 대한 성인 학습자의 수요를 인지하고, 이들의 욕구를 파악하여 평생교육 학습자 관점에서 패션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성인 학습자의 패션교육을 선택하는 의사결정 변수와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여건/행정서비스 만족도,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를 밝히고자 한다.
  • Park(2005)은 패션교육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교의 교육체제와 교수 및 패션 업체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패션 디자인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현황이나 교육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생교육원에서 패션교육 과정을 수료한 학생인 성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과정선택의 의사결정과정과 교육만족도 등을 파악함으로써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그러나 학생 수의 감소로 인해 대학교육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패션교육에 대한 새로운 수요를 인식하고, 평생학습자 관점에서의 패션교육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평생교육으로서의 패션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생교육원에서의 패션교육과정을 수강한 성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선택하는 의사결정 변수와 교육 만족도 등을 파악함으로써 활성화 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인간은 자신의 삶 동안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계속적으로 배우고 훈련을 받아야 하는데(Iqbal, 2009), Adamuti and Schuetze(2009)에 의하면 캐나다의 경우 25세 이하 68%와 25세 이상의 56%가 졸업 후 5년 이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평생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교도 성인 학습자의 평생교육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켜줄 다양한 교육과정을 기획하여야 하고, 본 연구는 그 중 하나로 패션교육 과정에 대한 가능성과 효과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의사결정 변수로는 참여목적, 정보원, 평생교육원과 교육과정의 선택기준을 포함하였다.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패션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가 없으므로, 본 연구는 평생교육원에서 패션 교육 과정을 수료한 성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표적집단 면접법을 병행 실시한 탐색적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 평생교육으로서의 패션교육에 대한 평가를 밝히기 위한 표적집단 면접법의 구체적 질문 주제에 실기교육, 체험학습, 강사와 관련된 내용은 없었으나, 면접 결과, 피 면접자의 대부분이 이에 관련된 내용을 많이 언급하며 중요하게 서로 논의하였다. 이를 보고 연구자는 이러한 변수들을 평가의 중요 내용으로 인지하고 인정되어서 변수들에 대해 추가적으로 논의하도록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평생교육에 대한 성인 학습자의 수요를 인지하고, 이들의 욕구를 파악하여 평생교육 학습자 관점에서 패션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성인 학습자의 패션교육을 선택하는 의사결정 변수와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여건/행정서비스 만족도,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를 밝히고자 한다. 의사결정 변수로는 참여목적, 정보원, 평생교육원과 교육과정의 선택기준을 포함하였다.
  • 고등교육의 보편화와 대중화 추세는 평생교육의 성격과 내용을 대학 수준으로 상향 재편성하여야 하며, 사회적 요구로 인해 대학 내부에서 평생교육을 활성화 하려 하고 있다(Choi, 2004). 즉, 대학의 기존 자원을 갖고 전문교육기관보다 더 체계화된 지역사회의 욕구를 인식하고 이를 만족시키고자 한다. Lee, Choi, Kim, and Hong(2009)은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은 성인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대학의 교육적 기능을 사회에 환원한다는 공공성의 취지 하에 전국 각 대학에서 활성화되고 있다고 하였다.
  • 첫째, 성인 학습자의 평생교육으로서의 패션교육을 선택하는 의사결정 변수(참여목적, 정보원, 평생교육원과 교육과정의 선택기준),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여건/행정서비스 만족도를 밝히고자 한다.
  • 이상의 일반적인 패션교육에 대한 연구들과 달리 Son(2010)은 사이버 대학과 원격대학에서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패션정보 이론과 함께 최근의 웹 기반 교육환경에 맞게 실시간 패션 정보의 탐색과 활용을 병행하는 패션정보 분석 교과목 개설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 개발에 대한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의 패션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연구주제는? 지금까지의 패션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전반적인 과정에 대한 연구나 패션디자인, 의복구성학, 패션마케팅 등 특정 교과 과목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국내외 패션 관련 학과의 교과과정 분석과 비교 연구 등이 있다.
패션 전문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교육기관은? 우리나라의 패션산업은 저임금 노동력 중심의 대량생산체제를 기반으로 한 수출 중심에서 1980년대 후에는 선진국형 수출구조로 변화하면서 패션산업의 구조고도화가 이루어짐으로 인해 다양한 패션 전문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Yoo & Chunhg, 2010). 이러한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패션 전문직 양성에 대한 교육이 대학교와 패션전문 학원의 두 기관에서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는데(Lee & Han, 1999), Park(2005)에 의하면 대학과 학원의 교육과 정의 차이가 없어서 같은 분야의 전문가를 복제한 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고 하였다. 그런데 전국에 대학교는 많으나, 라사라, SD, FIK와 같은 다양한 패션 전문 학원은 모두 서울, 부산과 같은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패션산업 변화는? 우리나라의 패션산업은 저임금 노동력 중심의 대량생산체제를 기반으로 한 수출 중심에서 1980년대 후에는 선진국형 수출구조로 변화하면서 패션산업의 구조고도화가 이루어짐으로 인해 다양한 패션 전문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Yoo & Chunhg, 2010). 이러한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패션 전문직 양성에 대한 교육이 대학교와 패션전문 학원의 두 기관에서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는데(Lee & Han, 1999), Park(2005)에 의하면 대학과 학원의 교육과 정의 차이가 없어서 같은 분야의 전문가를 복제한 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damuti, T. M., & Schutze, H. G.(2009). Demand for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in Canada: Who participates and why? Canadian Journal of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35(Fall), 87-108. 

  2. Chang, G.(2004).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consumers' recognition for education service qua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3/4), 483-490. 

  3. Cho, J.(2010). Development of contents in fundamental design education for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265-1276. 

  4. Choi, K.(2011). A comparative study on fashion design education in Europe and Korea: Focus on the educational cases in the UK, France, Italy an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0), 1199-1214. 

  5. Choi, K.(2012). A study to suggest Korean fashion design education model for a creative fashion design: Focus on comparative case studies in the USA, Europe, an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1), 68-83. 

  6. Choi, U.(2004).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al model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0(4), 47-86. 

  7. Chung, M.(2001). The effects of creative problemsolving instruction model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lothing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9), 1563-1570. 

  8. Dave, R. H.(1977). Lifelong education and school curriculum UIE monograph 1. Hamburg: UNESCO Institute of Education. 

  9. Graffin, C.(1998). Public rhetoric and public policy: Analyzing the difference for lifelong learning. In Holfold, J., Jarvis, P. and Giffin, C. (Eds).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lifelong education. London: Kogan Page Limited. 

  10. Hong, S., & Lee, J.(2011).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university's curriculum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for activating fashion busi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1), 1399-1408. 

  11. Iqbal, M. J.(2009). Lifelong education: A conceptual debat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a, Technology and Lifelong Learning, 5(1), 1-8. 

  12. Ju, J., Ryu, H., & Kim, H.(201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o industrial 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and Textiles, 35(3) 325-335. 

  13. Kozlowski, S., & Farr, J. L.(1998). An integrative model of updating and performance. Human Performance, 1(1), 5-29. 

  14. Lee, E.(2003). A study on the regional textile education system for promoting regional specialization of textile industry: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Italian textile industri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1(5), 619-646. 

  15. Lee, H., Choi, K., Kim, S., & Hong, Y.(2009). A quality system of the extension program in a university.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5(4), 1-33. 

  16. Lee, J.(2011, September. 19.) Developed countries have long pursued lifelong education: It's time Korean universities do the same. Hankook Ilbo, pp.10. 

  17. Lee, J., & Han, G.(1999). A study to improve the rinkage between apparel industry and a university education on clothing construction: Focus on process of pattern mak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7(6), 116-128. 

  18. Lee, J., & Han, G.(2002). A study on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apparel CAD of clothing related departmen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0(5), 542-554. 

  19. Lee, M., Lee, Y., Lee, Y., & Moon, H.(2011). Creativity enhancement programs in world fashion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7), 748-760. 

  20. Lee, Y.(2002). A comparative analysis of fashion marketing education between Korea and USA (Part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5), 727-736. 

  21. Lee, Y.(2003). A comparative analysis of fashion marketing education between Korea and USA (Part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2), 169-176. 

  22. Lee, Y.(2003). A comparative analysis of fashion marketing edu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6), 725-734. 

  23. Lee, B.(2006). A study on fashion design pedagogy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With emphasis on intu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3), 487-496. 

  24. Lee, M., & Sohn, H.(2011). A study on the cases of the application of 3D apparel CAD system to the domestic and overseas fashio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9), 1112-1124. 

  25. Park, T.(2005). A study on the situations of fashion design education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5), 585-594. 

  26. Park, H., Kim, H., Rhee, Y., & Lim, S.(2002). A case study of fashion marketing research using multiple method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0(6), 601-616. 

  27. Patton, M. Q.(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 Newbery Park, CA: Sage Publications Inc. 

  28. Professional continuing education as a means of regulating professional practice(2006). ASHE Higher Education Report, 32(2), 28. 

  29. Rashid, M.(1993). Study guide advanced course on non-formal education(734). Islamabad: Allama Iqbal Open University. 

  30. Seals, C. L., Clanton, K., Agarwal, R., Doswell, F., & Thomas, C. M.(2008). Lifelong learning: Becoming computer savvy at a later age. Educational Gerontology, 34, 1055-1069. 

  31. Shin, E., & Lee, Y.(2002). A study on proliferating fashion design and life long education. Biseul Nonjip, 11(6), 661-671. 

  32. Son, M.(2010). The development of the multimedia contents for the fashion information analysi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1), 161-176. 

  33. Turusheba, L.(2009). Students' information competence and its importance for life-long education. Problem of Education In the 21th Century, 12, 126-132. 

  34. Yoo, H., & Chunhg, M.(2010). The changes and present status of education in clothing departm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2), 371-384. 

  35. Yoon, K., & Park, H.(2006). The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wome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n local government.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2(4), 47-71. 

  36. Zinkmund, W. G.(1999). Essentials of marketing research. FL: The Dryden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