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송약수를 이용한 면 제조 및 조리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Noodle Making and Cooking with Cheong-song Mineral Wat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4, 2012년, pp.820 - 826  

이성호 (계명문화대학 식품영양조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송약수가 가진 Ca, Mg 등의 풍부한 미네랄 성분을 면 제조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하였다. 실험결과를 증류수와 수돗물을 이용한 면과 비교하였다. 약수로 제조한 면을 증류수로 조리한 실험 결과, 중량, 부피, 수분흡수율, 탁도, 명도(L)에서 가장 큰 값을 보였으며, 적색도(a)는 가장 큰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약수를 이용할 때에 증류수나 수돗물보다 더 큰 중량, 부피, 수분흡수율, 탁도, 명도를 가진 초록색을 띤 조리된 면을 만들 수 있었다. 분산분석 결과, 중량과 부피에서 증류수로 제조된 면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분흡수율, 탁도,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에서 증류수, 수돗물로 제조된 면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시판 칼국수의 조리에 약수를 이용한 결과, 중량과 적색도(a)에서 증류수, 수돗물로 조리된 면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무게, 부피, 명도(L)에서 증류수로 조리된 면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basic study of Cheong-song mineral water, which has high contents of Ca and Mg for making noodles as well as for general cooking. The test results of the noodles manufactured and cooked with mineral water were compared to those manufactured and cooked with distilled water and tap water. 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명약수 중에서 몇 곳을 예로 들면, 오색약수(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달기약수(경북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와 신촌약수(경북 청송군 진보면 신촌리)는 탄산가스와 칼슘, 마그네슘, 철분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약수로서, 위장병, 소화불량, 갱년기장애, 빈혈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청송약수에 대한 연구결과(Lee SH 2000)에서 보듯이 우리나라 사람의 식생활에서 부족되기 쉬운 미네랄 중의 하나인 Ca을 다량 포함한 약수를 면 음식 개발에 활용하기 위함에 있다. 우선 면의 제조에서의 약수의 영향 그리고 시판되는 칼국수의 조리에서의 약수의 영향에 대하여 증류수와 수돗물과 비교한 기초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청송약수에 대한 연구결과(Lee SH 2000)에서 보듯이 우리나라 사람의 식생활에서 부족되기 쉬운 미네랄 중의 하나인 Ca을 다량 포함한 약수를 면 음식 개발에 활용하기 위함에 있다. 우선 면의 제조에서의 약수의 영향 그리고 시판되는 칼국수의 조리에서의 약수의 영향에 대하여 증류수와 수돗물과 비교한 기초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 청송약수가 가진 Ca, Mg 등의 풍부한 미네랄 성분을 면 제조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하였다. 실험결과를 증류수와 수돗물을 이용한 면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밀가루의 영양성분의 중요한 특징은 어떠한가? 면 제조의 식재료인 밀가루의 영양성분의 중요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쌀과 같이 열량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단백질은 8∼12% 정도로 쌀보다 많다. 주된 단백질인 글루텐(gluten)은 점성을 지닌 글라아딘(gliadin)과 탄력성을 지닌 글루텔린(glutelin)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미 노산 조성으로는 라이신(lysine)과 메티오닌(methionine), 트레오닌(threonine) 같은 필수 아미노산이 부족하여 영양적으로는 불완전하다. 지방은 겨와 배아에 주로 함유되어 있으며, 배아의 지방 성분에는 항산화력이 있는 비타민 E와 레시틴(lecithin)이 함유되어 있다. Vit. 중 B 복합체, D가 부족하며, B1의 경우는 알칼리계 팽창제를 사용하여 빵을 구울 때 거의 손실된다. 무기질의 경우는 Ca과 Fe이 상당 부분 부족하므로 강화할 필요가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Kang 등 2002).
국내에서 소비되는 밀가루는 어떤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소비 비율은? 우리나라 식생활의 주식 소비 패턴에서 쌀의 소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밀가루로 만들어진 면류와 빵 등의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 소비되는 밀가루의 용도로는 제면용으로 45%, 제과제빵용으로 26%, 가정용 소비를 포함한 기타 식품용으로 25%가 이용되고 있다(Kang 등 2008).
한국의 약수의 대부분은 어느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가? 다음은 면 제조를 위한 약수를 살펴본다. 전국에는 많은 약수가 있으며, 대부분은 태백산맥에 인접한 강원도,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에 분포되어 있다. 유명약수 중에서 몇 곳을 예로 들면, 오색약수(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달기약수(경북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와 신촌약수(경북 청송군 진보면 신촌리)는 탄산가스와 칼슘, 마그네슘, 철분 등이 많이 함유 되어 있는 약수로서, 위장병, 소화불량, 갱년기장애, 빈혈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chapter 11, pp. 1-32.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Choi HS. 2011. Effect of adding amaranth powder on noodle quality. Korean J of Food and Nutrition 24:664-669 

  3. Hwang IG, Kim HY, Hwang Y, Jeong HS, Yoo M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combined with Cheongyang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860-866 

  4. Jung BM.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wet noodle with added Cheonnyuncho frui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821-830 

  5. Kang CS, Park KS, Park JC, Kim HS, Cheong YK, Kim JG, Park CS. 2008. Flour and end-use quality of "Charmdlerak" wheat, a Korean wheat. Korean J Food Preserv 15:219-224 

  6. Kang IS, Kim JS, Sung TS, Cho MD, Cho HH. 1999. Food Chemistry. pp. 183-184. Ji-Gu Publishing Press 

  7. KFDA. 2005. Korean Food Standards Codex pp. 853-854.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8. Kim CY, Choi SH, Kim J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noodles with perilla leave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8:182-196 

  9. Kim HG. 1981. 椒井里鑛泉水에 대한 고찰. 食品科學 14: 44-47 

  10. Kim YJ, Ju JC, Kim RY, Kim WT, Park JH, Chun SS. 2011. Cooking properties of fresh pasta using Korean wheat and Durum rimachin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474- 1481 

  11. Koh BK. 2000. Change of noodle quality with addition of taurine. Sci Nonjip 27:183-190 

  12. Lee SH. 2000.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algi mineral water in Cheongsong. J Korean Chem Soci 44:220-228 

  13. Lee SH. 2000.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incheon mineral water in Cheongsong. J Korean Chem Soci 44:380-386 

  14. Lee SH. 2004, Characteristics of the rice and the cooked rice treated with Cheong-Song mineral water. Keimyung Research Nonchong 22:477-492 

  15. Lee YS. 1999. Food Nutrition. pp. 223-225. Kangmoongak Press 

  16. Nam YH, Hong JH, Youn KS, No HK, Lee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 life of noodles prepared with Heracleum moellendorffii (Hogweed)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7:602-607 

  17. Park BH, Jeon ER, Kim SD, Cho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5:225-231 

  18. Park ID, Cho H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with added loquat leaf powder. Korean Soci of Food Culture 26:709-716 

  19. Park SI, Cho EJ. 2004. Quality chare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Korean J Food & Nutr 17:120-127 

  20. Shin WS, Shin ES, Lyu ES. 2009. Optimization of wet noodle with onion juice using response surface 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17:120-127 

  21. Ziba HY. 1995. 微量元素の攝取と健康, 化學と生物 33:370-3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