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공간 분석을 이용한 외래 의료이용의 지역적 차이 분석
Regional Disparity of Ambulatory Health Care Utilization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5 no.4, 2012년, pp.138 - 150  

신호성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인문사회치의학연구실) ,  이수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보장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공간분석을 이용하여 주요 만성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관절증과 총의료이용에 있어 지역별 외래의료이용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간하는 1996, 1999, 2002, 2005, 2008년 환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베이지안 계층적 시공간모형(bayesian hierarchial spatio-temporal model)을 이용하였다. 이때 지역의 공간적 상관성은 convolution CAR 모형을, 시간적 상관성은 Ornstein-Uhlenbeck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질환별로 의료이용에 있어 지역적 차이가 존재하였다. 총의료 이용의 경우 시 군지역보다 대도시인 구지역에서 높은 상대위험비를 보인반면, 만성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관절증은 총의료이용과는 달리 강원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제주도 등 농어촌 지역에서 전국평균보다 높은 의료이용(상대위험비)을 보였다. 특히 고혈압은 부산경남 해안가 지역과 강원, 경기, 경북, 충청남도, 전북 등에서 높은 의료이용을 보였고, 관절증은 경기, 강원 일부와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지역 등에서, 당뇨병은 경기, 서울, 부산, 전라남북, 충청일부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의료이용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공간적, 시간적 상관성을 고려함으로써 지역단위 분석시 공간적, 시간적 상관성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통계적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gional disparity of ambulatory health care utilization considering spatio-temporal variation in South Korea during 1996-2008(precisely, in 1996, 1999, 2002, 2005, and 2008) using bayesian hierarchial spatio-temporal model. The spatial pattern uses an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외래환자 중 다빈도 질환 만성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관절증 환자의 의료이용과 총 의료이용을 대상으로 지역적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때 의료이용은 외래 환자수를 의미한다.
  • 따라서 시공간적 분석에 특화된 모형 도출을 위해서 공간적 상관성(spatial variability), 시간적 상관성(temporal variability) 등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공간적 상관성과 시간적 상관성 모두를 고려하여 주요 만성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관절증의 의료이용의 지역적 차이를 살펴보았다. 따라서 공간적 상관성과 시간적 상관성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통계적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지역의 공간적, 시간적 상관성을 고려한 시공간분석(Spatio-temporal analysis)방법을 이용하여 지역의 물질결핍지수를 고려한 주요 만성질환의 지역별 의료이용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왜냐하면 의료이용자는 질병에 이환된 사람들에 의한 방문이며 본 분석에 사용된 환자조사 외래 방문자료의 경우 특정일 하루동안 의료기관을 방문한 사람들의 자료이기 때문이다. 질병발생은 일반적으로 Poisson 분포를 가정한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건강결정요인들은 무엇인가? WHO에 의하면 건강결정요인(determinants of health)은‘개인이나 인구집단의 건강상태를 결정하는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인들의 범위’이다(WHO, 1998). 기존의 건강결정요인들은 주로 개인적인 특성, 소득, 취업상태, 교육수준, 건강행태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인구집단은 단순한 개인들의 집합이 아니며, 질병의 원인들이 집락을 이루어 조직적으로, 그리고 개인적 영향에 부가하여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친다(Evans et al.
질병발생에 있어서 사회적 결정요인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연구로 무엇이 있는가? 실제 많은 연구들이 질병발생에 있어서 사회적 결정요인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지역의 맥락적 측면에서 만성질환과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과의 상관성을 살펴본 Hayward and Colman(2003) 연구는 지역의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이 질환발생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고 있으며, Raphael(2001) 연구는 낮은 소득수준과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가 왜 심장질환의 주요 발병원인인지를 상세히 규명하고 있다. Booth et al.(2007) 연구는 건강한 삶을 위한 지역의 환경적, 물질적 자원(지역적 특성)이 당뇨병 발병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Galabuzi and Labonte(2002)는 건강의 결정요인으로 사회적 포함(social inclusion)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이처럼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른 건강의 불형평성은 개인의 선택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주어진(Whitehead, 1992) 측면이 있듯이 질병발생에 있어서도 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인은 개인적 요인 못지않게 중요한 영향을 발휘한다.
건강결정요인이란? WHO에 의하면 건강결정요인(determinants of health)은‘개인이나 인구집단의 건강상태를 결정하는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인들의 범위’이다(WHO, 1998). 기존의 건강결정요인들은 주로 개인적인 특성, 소득, 취업상태, 교육수준, 건강행태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호제. 2007. 시공간분석기법: 시공간분석의 변화와 응용. 국토 309:104-111. 

  2. 김광구. 2003. 공간자기상관(spatial autocorrelation)의 탐색과 공간회귀분석 (spatial regression)의 활용.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3(1):273-306. 

  3. 김양균. 1995. 지역별 의료이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7쪽. 

  4. 남광우, 김정건. 2007. 부산시 응급의료서비스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113-123. 

  5. 박건희. 2009. 비의도적 손상 사망의 시공간적 분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09쪽. 

  6. 박은옥. 2008. 지역사회 보건사회지표를 이용한 지역사회 건강수준과 관련 요인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1):13-26. 

  7. 신의균. 2005. 지역간 의료이용수준의 차이와 요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93쪽. 

  8. 신호성, 이수형, 추장민. 2009. 표준화사망비와 지역결핍지수의 상관관계: 지역사회 통합결핍지수 개발. 예방의학회지 42(6):392-402. 

  9. 이용재. 2006. 지역간 건강보험이용의 형평성과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98쪽. 

  10. Besag, J. and J. Newell. 1991. The detection of clusters in rare disease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154(1):143-155. 

  11. Bivand, R.S., E.J. Pebesma and V. Gomez-Rubio. 2008. Applied Spatial Data Analysis with R. Springer. NY, USA, pp.237-272. 

  12. Booth, G.L, M.I. Greatore, P. Gozdyra, A.M. Tynan and R.H. Glazier. 2007. Neighbourhood Environments an Resources for Healthy Living: A Focus on Diabetes in Toronto. Institute for Clinical Evaluative Sciences. pp.299-307. 

  13. Branscum, A.J, A.M. Perez, W.O. Johnson and M.C. Thurmond. 2008. Bayesian spatiotemporal analysis of foot-andmouth disease data from the Republic of Turkey. Epidemiol Infect 136(6):833-842. 

  14. Doreian, P. 1980. Linear models with spatially distributed data: spatial disturbances or spatial effects?.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9(1):29-60. 

  15. Doreian, P. 1981. Estimating Linear models with spatially distributed data. in Samuel Leinhardt(2d.). Sociological methodology. San Francisco. CA: The Jossey-Bass Publishers. 

  16. Evans, T., M. Whitehead, F. Diderischsen, A. Bhuiya and M. Wirth. 2001. Challenging Inequalities in Health from Ethics to 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K. 

  17. Galauzi, G. and R. Labonte. 2002. Social inclusion as a determinant of health.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cross the Life-Span Conference. Toronto, November 2002. pp.1-6. 

  18. Hayward, K. and R. Colman. 2003. The tides of change addressing inequity and chronic disease in Atlantic Canada. A Discussion Paper. Population and Public Health Branch Atlantic Regional Office Health Canada, pp.51-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