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12주간의 복합운동이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체력 및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12-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Levels, and Metabolic Syndrome Profiles of Obese Women원문보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12-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levels, and metabolic syndrome profiles of obese women. Methods: Twelve obese women were assigned to the combined exercise training program group. T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12-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levels, and metabolic syndrome profiles of obese women. Methods: Twelve obese women were assigned to the combined exercise training program group. The women underwent training for 70-90 min/d, three times per week for a period of 12 weeks. Paired samples t-test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17.0 for analysis of the result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body-composition parameters such as weight, fat-free mass, body fat mass, body-mass index, body fat, waist-hip ratio, basal metabolic rate, and intra-abdominal fat, physical fitness parameters such a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ac endurance, and metabolic syndrome biomarkers such as triglyceride levels,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glucose level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waist circumference before participation the training program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ose after 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program (p0.05).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a 12-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program could be a good exercise program for improvement of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levels, and metabolic syndrome profiles of obese wome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12-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levels, and metabolic syndrome profiles of obese women. Methods: Twelve obese women were assigned to the combined exercise training program group. The women underwent training for 70-90 min/d, three times per week for a period of 12 weeks. Paired samples t-test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17.0 for analysis of the result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body-composition parameters such as weight, fat-free mass, body fat mass, body-mass index, body fat, waist-hip ratio, basal metabolic rate, and intra-abdominal fat, physical fitness parameters such a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ac endurance, and metabolic syndrome biomarkers such as triglyceride levels,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glucose level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waist circumference before participation the training program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ose after 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program (p0.05).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a 12-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program could be a good exercise program for improvement of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levels, and metabolic syndrome profiles of obese wome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렇듯 운동에 따른 비만 여성의 원인 규명과 생활습관의 개선 등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운동습관을 통하여 그 위험 요소를 미리 예측하여 예방 할 수 있기에(Dam, Li, Spiegelman, Franco, & Hu, 2008). 규칙적인 운동습관과 운동방법의 증요성을 더욱 강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소개되고 있는 운동 형태 중 하나인 유산소 운동과 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을 결합시킨 복합운동 프로그램 방법을 도입하고자 한다. 비만 개선의 운동방법을 자세히 제시하고 있는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0)의 일일 에너지 소비 권장량인 300~400㎉의 유산소 운동과 유산소성 파워와 스피드 운동을 포함한 저항성 운동인 Well-round(Takesima et al.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소개되고 있는 운동 형태 중 하나인 유산소 운동과 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을 결합시킨 복합운동 프로그램 방법을 도입하고자 한다. 비만 개선의 운동방법을 자세히 제시하고 있는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0)의 일일 에너지 소비 권장량인 300~400㎉의 유산소 운동과 유산소성 파워와 스피드 운동을 포함한 저항성 운동인 Well-round(Takesima et al., 2007)의 유압식 운동으로 이루어진 복합운동이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체력 및 대사증후군의 관련 변인들의 변화를 분석하여 비만여성의 대사성 질환예방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신체조성과 체력 그리고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복합운동프로그램 전ㆍ후 차이를 검증하여 운동의 필요성과 대사성 질환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 이루어지는 복합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던 연구이기 때문에 유용한 정보를 보건소에 제공하여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국내에 극히 일부 보고된 복합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음을 보고한다.
본 연구는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복합운동에 따른 신체조성과 체력 그리고 대사증후군의 변화를 밝힘으로써, 비만여성에게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대사성질환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제안 방법
대상자의 신체조성 중 신장은 마르틴식 인체측정기를 이용하여 ㎝단위로 직접 측정을 하였으며, 그 외 변인은 Inbody 720(BioSpace, Seoul, Korea)을 이용하여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기초대사량, 내장지방율을 측정하였으며, 대상자들이 착용하고 있는 금속류 및 액세서리 종류는 모두 제거하였다. 또한, 측정 전 12시간 동안은 운동을 금지하였으며, 측정 4시간 이전에 수분의 섭취를 금지시켰다.
체력의 측정은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을 측정하였다. 근력 측정은 악력으로 실시하였으며, 악력계(TKK 5401 GRIP-D, TAKEI Japen)를 사용하여 둘째손가락의 제2관절이 직각이 되도록 손잡이 폭을 조절하여 잡고 양발을 어깨 넓이로 넓힌 후 양팔을 내린 상태에서 상완과 몸통 간격을 약간 넓힌 자세에서 한 손으로 동력계를 잡고 최대한 힘껏 쥐도록 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0.
체력의 측정은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을 측정하였다. 근력 측정은 악력으로 실시하였으며, 악력계(TKK 5401 GRIP-D, TAKEI Japen)를 사용하여 둘째손가락의 제2관절이 직각이 되도록 손잡이 폭을 조절하여 잡고 양발을 어깨 넓이로 넓힌 후 양팔을 내린 상태에서 상완과 몸통 간격을 약간 넓힌 자세에서 한 손으로 동력계를 잡고 최대한 힘껏 쥐도록 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0.1㎏단위로 좌, 우 각각 실시하여 평균을 내었다.
근지구력 측정은 윗몸일으키기를 실시하였으며, 오른손은 왼쪽어깨에, 왼손은 오른쪽 어깨에 닿게 팔을 X자로 팔짱을 낀 채 누운 자세에서 상체를 일으켜서양 팔꿈치가 양 무릎에 닿게 하였다. 손의 교차가 풀리거나 엉덩이 반동을 이용한 동작은 횟수에서 제외시켰으며 측정시간은 30초로 측정하였다.
근지구력 측정은 윗몸일으키기를 실시하였으며, 오른손은 왼쪽어깨에, 왼손은 오른쪽 어깨에 닿게 팔을 X자로 팔짱을 낀 채 누운 자세에서 상체를 일으켜서양 팔꿈치가 양 무릎에 닿게 하였다. 손의 교차가 풀리거나 엉덩이 반동을 이용한 동작은 횟수에서 제외시켰으며 측정시간은 30초로 측정하였다.
심폐지구력 측정은 20m 셔틀런으로 실시하였으며, 측정은 스타트에서부터 20m의 간격에 라인tape을 설치하여 셔틀런기계(KB-096, Japan)의 4박자 리듬에 맞추어 스타트에서 달려 20m지점에 도달을 1회로 하고, 재출발 하여 다음 4박자 리듬에 도착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개인의 최대 도달 횟수를 기록하였다.
유연성 측정은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를 실시하였으며, 머리 뒷부분, 양어깨, 엉덩이를 벽에 밀착시켜 앉은 후, 양 다리 무릎을 완전히 편 자세에서, 어깨가 벽에서 떨어지지 않은 상태로 양팔을 곧게 펴서 체전굴계(KJ092, Japan)에 올려놓은 후, 앞으로 천천히 숙이도록 하였으며, ㎝단위로 측정하였다.
대사증후군 변인인 허리둘레(Waist circumference)는 줄자를 이용하여 기립자세에서 늑골 최하단 부위와 장골(ilium)사이의 중간지점인 배꼽높이(Umbilicus level)에서 측정하였으며, 혈압(Blood pressure)은 30분간 누운 자세로 휴식을 취한 후 측정 전 앉은 상태로 5분간 다시 휴식 후 자동혈압계(Jawonmedical, Seoul, Korea)로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채혈은 대상자들로 하여금 1일전 오후 9시후부터 음식섭취를 금지하고 공복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채혈 당일 1시간 전 G시 보건소 도착하여 안정을 취하게 한 후 오전 9시 10분~40분 사이에 상완 주정맥(Anticubital Vein)에서 살균 처리된 1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5㎖를 채혈하였다. 채혈된 혈액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2500rpm의 속도로 10분간 분리하여 G시 보건소 임상병리과에서 중성지방(triglycerides), 고밀도지질단백질(HDL-C), 혈당(glucose)을 분석하였다.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12주간 주3일 격일제(월, 수, 금)로 실시하였다. 12주 전체운동은 총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1~2주차는 적응기, 3~10주차는 향상기, 11~12주차는 유지기로 구분하여 강도 조절하였다.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12주간 주3일 격일제(월, 수, 금)로 실시하였다. 12주 전체운동은 총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1~2주차는 적응기, 3~10주차는 향상기, 11~12주차는 유지기로 구분하여 강도 조절하였다. 1일 운동프로그램은 준비운동 10분, 주운동 50~70분, 정리운동은 10분으로 구성하였다.
12주 전체운동은 총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1~2주차는 적응기, 3~10주차는 향상기, 11~12주차는 유지기로 구분하여 강도 조절하였다. 1일 운동프로그램은 준비운동 10분, 주운동 50~70분, 정리운동은 10분으로 구성하였다. 주운동은 유산소 운동을 실시 후 저항성 운동을 실시하였다[Table 2].
유산소 운동의 운동량은 일일 300㎉~400㎉로 설정하였으며, 운동시간은 30~40분 전후로 계산하여 treadmill과 cycle ergometer를 이용하여 강도를 조작하였다(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0). 저항성 운동은 Well-Round (Takesima et al.
2010). 저항성 운동은 Well-Round (Takesima et al., 2007)의 유압식 저항 운동기구(Neocean, Korea) 12가지를 실시하였으며, 각 유압식 운동기구 사이에 덤벨 운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Polar Heart Rate Analyzer (Polar Electro OY, Filand)를 이용하여 운동 강도를 모니터링 하였고, 대상자의 변화하는 신체적 상황을 고려하기 위하여 운동자각도(RP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를 적용하여 강도를 조절하였다.
, 2007)의 유압식 저항 운동기구(Neocean, Korea) 12가지를 실시하였으며, 각 유압식 운동기구 사이에 덤벨 운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Polar Heart Rate Analyzer (Polar Electro OY, Filand)를 이용하여 운동 강도를 모니터링 하였고, 대상자의 변화하는 신체적 상황을 고려하기 위하여 운동자각도(RP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를 적용하여 강도를 조절하였다.
복합운동 전ㆍ후 비만여성의 신체조성은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기초대사량, 내장지방을 측정하였으며, 세부적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복합운동 전ㆍ후 비만여성의 체력측정은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을 측정하였으며 세부적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복합운동 전ㆍ후 비만여성의 대사증후군 측정은 중성지방, 고밀도지질단백질, 혈당,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허리둘레를 측정하였으며 세부적인 결과는 다음 [Table 5]와 같다.
채혈은 대상자들로 하여금 1일전 오후 9시후부터 음식섭취를 금지하고 공복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채혈 당일 1시간 전 G시 보건소 도착하여 안정을 취하게 한 후 오전 9시 10분~40분 사이에 상완 주정맥(Anticubital Vein)에서 살균 처리된 1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5㎖를 채혈하였다. 채혈된 혈액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2500rpm의 속도로 10분간 분리하여 G시 보건소 임상병리과에서 중성지방(triglycerides), 고밀도지질단백질(HDL-C), 혈당(glucose)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북도 G시에 거주하는 시민으로써 G시 소재 보건소와 D대학교에서 주체하는 비만관리교실의 운동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한 비만여성으로 일상생활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지 않으며, 특히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2010)의 Risk Factor에 문제가 없으며,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아시아-태평양 비만기준인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가 25㎏/m2 이상인자로 모집하였다.
05로 하여 12명 이상의 연구 대상자가 필요 표본수로 조사되었다. 이를 근거로, 기초 체력검사와 혈액검사 및 운동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참가의사를 밝히고 이에 동의한 16명을 실험대상으로 하였으나, 중도 포기자 4명이 제외되어 총 12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윤리적인 부분은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사회체육연구소 (Dongguk University Society of Sports Research Institute)심의를 거쳐 연구승인을 받은 후 진행되었으며, 참가자 신청 및 운동 실시여부는 경주시 보건소에서 선별하였으며, 기초체력 검사 및 운동실시는 동국대학교 체육관에 별도로 구성된 유압 운동실에서 실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기초 체력검사와 혈액검사 및 운동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참가의사를 밝히고 이에 동의한 16명을 실험대상으로 하였으나, 중도 포기자 4명이 제외되어 총 12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윤리적인 부분은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사회체육연구소 (Dongguk University Society of Sports Research Institute)심의를 거쳐 연구승인을 받은 후 진행되었으며, 참가자 신청 및 운동 실시여부는 경주시 보건소에서 선별하였으며, 기초체력 검사 및 운동실시는 동국대학교 체육관에 별도로 구성된 유압 운동실에서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데이터처리
본 연구의 자료는 SPSS/WIN Ver. 17.0을 이용하여 모든 변인의 평균 ±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0을 이용하여 모든 변인의 평균 ±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또한 각 측정 변인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복합 운동 전후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Paired samples t-test를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α=.
이론/모형
대사증후군 변인은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 Adult Treatment Panel Ⅲ 진단기준을 적용하였으며(NCEP ATP-Ⅲ, 2001), 그 기준치와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성능/효과
기초대사량은 운동 전 1315.17±121.38㎉에서 운동 후 1301.08± 118.96㎉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으며, 그리고 내장지방은 운동 전 97.56±16.68㎝2에서 운동 후 92.39±20.23㎝2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체지방률은 운동 전 36.97±1.98%에서 운동 후 35.01±3.55%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으며, Waist Hip Ratio (WHR)은 운동 전 0.91±0.03%에서 운동 후 0.89±0.03%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p<.01)가 나타났다.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항목 중 체중은 운동 전 69.43±8.36㎏에서 운동 후 66.13±7.96㎏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으며, 근육량은 운동전 41.24±5.30㎏에서 운동 후 40.63±5.21㎏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혈당은 운동 전 113.50±9.75㎎·㎗-1에서 운동 후 102.50±4.96㎎·㎗-1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p<.01)가 나타났으며, 수축기혈압은 운동 전 118.17±9.84mmHg에서 운동 후 111.33±7.09mmHg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p<.05)가, 이완기혈압은 운동 전 70.75±8.67mmHg에서 운동 후 67.17±7.93mmHg로 감소하였지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 여성들을 대상으로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신체조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기초대사량, 내장지방이 감소하였다. 이는 12주 걷기 운동이 비만 여대생의 체지방량, 체지방률 즉, 체중감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Choi & Lee, 2008)와 유산소적 운동 형태가 체중감량에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Son et al.
그리고 본 연구에서 체력요인을 살펴보면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그리고 심폐지구력이 증가함으로써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저항성 운동이 활동체력 및 신체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Jang & Hur, 2007)와 태권도 복합운동이 비만여성의 신체 구성 및 체력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Kim & Khil, 2010)가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함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주시라는 제한된 지역으로 인하여 복합운동의 효과를 한국 전체 비만여성 집단으로 일반화 할 수 없다. 둘째, 12명의 제한된 피검자 수와 통제군의 결여는 본 연구결과에 대한 치명적인 약점으로 다가 올 수 있다.
둘째, 12명의 제한된 피검자 수와 통제군의 결여는 본 연구결과에 대한 치명적인 약점으로 다가 올 수 있다. 셋째, 비만 위험 요인인 식이습관은 본 연구에서 중요한 혼란변수 임에도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 이루어지는 복합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던 연구이기 때문에 유용한 정보를 보건소에 제공하여줄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복합운동에 따른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변화는 체중(p<.001), 근육량(p<.05), 체지방량(p<.05), 체질량 지수(p<.001), 체지방률(p<.05), 복부지방률(p<.01), 기초대사량(p<.05), 내장지방(p<.05) 모두 감소하였다.
셋째, 복합운동에 따른 비만여성의 대사증후군 요인 변화는 중성지방(p<.01), 혈당(p<.01), 수축기혈압(p<.05) 그리고 허리둘레(p<.01)는 감소하였으며, 고밀도지질단백질(p<.001)은 증가하였다.
둘째, 복합운동에 따른 비만여성의 체력 변화는 근력(p<.001), 근지구력(p<.001), 유연성(p<.001), 심폐지구력(p<.01) 모두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결론을 보았을 때 복합운동이 비만여성들의 신체조성 변인들을 감소시키고, 체력 변인들을 향상시켰으며, 특히 대사증후군 변인들을 감소 및 향상시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는 복합운동이 비만여성들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추후 복합운동에 관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후속연구
이러한 근육량의 감소는 트레이닝이 시작되면서 나타나는 대사성 에너지 손실로 인한 결과라고 보고하고 있다(Wilmore & Costill, 2002), 그리고 여성들은 복부 지방률에 비해 낮은 근육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Eom & Jung, 2012) 본 연구의 피검자가 비만여성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청소년기처럼 성장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완숙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복합운동을 통한 근육량의 향상이 나타나기가 쉽지 않으리라 사료된다. 이에 운동강도의 조절을 통한 추후 보다 계획적이고 과학적인 후행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체력이 약하거나 좌업생활을 하는 사람이 활동적인 사람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발달 가능성이 7배 정도 높으며, 여성의 경우에도 운동을 하면 남성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사증후군에 의한 총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Lakka et al, 2002)와 운동을 통해 체중과 체지방 감소는 비만과 관련된 대사성 질환을 정상화시키고 혈중지질의 감소 및 지단백 대사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어 건강증진의 이점을 준다는 연구가 본 연구를 뒷받침해주고 있다(Rod, Richard, & Gregory, 2004). 즉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복합운동이 신체활동 증가로 인한 신체조성과 체력의 개선을 유도하며, 이러한 변화는 혈중지질 및 혈압의 개선, 즉, 대사증후군의 개선에 효과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셋째, 비만 위험 요인인 식이습관은 본 연구에서 중요한 혼란변수 임에도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 이루어지는 복합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던 연구이기 때문에 유용한 정보를 보건소에 제공하여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국내에 극히 일부 보고된 복합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음을 보고한다.
이상의 연구결론을 보았을 때 복합운동이 비만여성들의 신체조성 변인들을 감소시키고, 체력 변인들을 향상시켰으며, 특히 대사증후군 변인들을 감소 및 향상시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는 복합운동이 비만여성들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추후 복합운동에 관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비만은 유전적, 환경적, 사회적, 문화적 등 여러 가지 요인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한다. 하지만 비만은 비만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당뇨병(diabetes), 고혈압(hypertension), 고지혈증(dyslipidemia),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등 2차적인 질환을 유발하는 더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Yun (2002)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정신적, 환경적인 영향에서 남성과는 달리 생물학적 반응이 빠르게 나타나 쉽게 비만해 진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Wilmore와 Costil l(2002)도 여성의 비만에 대하여서 그 위험성을 더욱 경고하고 있는데, 그것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에스트로겐(estrogen)의 영향으로 지방축적이 증가하고, 그로 인한 가속화된 비만이 신체활동, 체력수준의 감소로 연결되어, 결국 남성에 비하여 거의 2배 이상의 높은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나타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Mesch et al.
비만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비만은 유전적, 환경적, 사회적, 문화적 등 여러 가지 요인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한다. 하지만 비만은 비만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당뇨병(diabetes), 고혈압(hypertension), 고지혈증(dyslipidemia),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등 2차적인 질환을 유발하는 더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30)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0).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8th ed.). Philadelphia: Lippinocott, Williams & Wilkins.
Choi, I. H., Lee, M. H. (2008). The effect of a 12-week walking exercise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college women. Journal of Korea Public Health Nursing, 22(1), 74-83.
Dam, R. H., Li, T., Spiegelman, D., Franco, O. H., & Hu F. B. (2008). Combined impact of lifestyle factors on mortality: prospective cohort study in US women. British Medical Association Journal, 337, 1440.
Dandona, P., Andona, A., & Bandyopadhyay, A. (2004). Inflammation: the link between insulin resistance, obesity and diabetes. Trends in Immunology, 25, 4-7.
Eom, J. Y. & Jung, D. (2012). A study od body composition, dietary behavior, and exetcise among students at women's colleges, Journal of Korea Public Health Nursing, 26(1), 28-37.
Gordon, T., Castelli, W. P., Hjortland, M. C., Kannel, W. B., & Dawber, T. R. (1977). Diabetes, blood lipids and the role of obesity in coronary heart disease for women. The Framingham Study. Annals of Internal Medicine, 87, 393-397.
Haskell, W. L. (1984). The influence of exercise on the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in human plasma. Exercise and Sports Science Review, 12, 204-244.
Jang, J. H., & Hur, S. (2007). Effect of step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markers, insulin resistance and plasma metabolism -related hormones obese middle-age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6(2), 337-346.
Kang, B. Y., Jung, I. G., Chiang, M. H., & Lee, J. K. (2011). The influence of jointed gr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supplementation and combine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muscle strength, bone mineral density and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in middle-aged woman of 40 year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0(1), 211-223.
Kim, H. J., & Kim, C. K. (2005). Effect of one year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the impaired fasting glucose, cardiovasvular risk factors and aerobic exercise capacity in middle aged men. Exercise Science, 14(2), 203-214.
Kim, Y. H., & Khil, J. H. (2010). Effects of 12 week's taekwondo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middle aged obese woman. Health and Sports Medicine, 12(2), 66-77.
Kim, Y. H., & Yang, Y. O. (2005). Effects of walking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and body composition in obese middle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5), 858-86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ullo, I., Hensrud, D. D., & Allison, T, G. (2002). Relation of low cardiorespiratory fitness to the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men.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90(7), 795-797.
Lakka, H. M., Laaksonen, D. E., Lakka, T. A., Niskanen, L. K., Kumpusalo, E., Tuomilehto, J., & Salonen, J. T. (2002) The Metabolic syndrome and total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middle-aged me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8, 2709-2716.
Lee, J. H., Choi, H. G., Jo, J. H., Bae, M. H., Park, I. S., & Lee, K. G. (2001). The cardiorespiratory response of obese children during graded cycling exercise tes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Physical Education. 2(1), 89-97.
Lee, Y. K., Kim, C. H., & Kim, B. W. (2003). Effect of 12-week aerobic training on body fat reduction depends on body par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2(5), 687-696.
Lim, S. J., Shin, J. S., & Huh, M. D. (2011). The effect of 8 weeks combined exercise training of metaboilic syndrome risk factor, leptin, adiponectin and CRP on obese middle age wome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5), 1139-1150.
Mesch, V. R., Roero, I. E., Siseles, N. O., Royer, M., Prada, M., Sayegh, F., Schreier, L., Bnencia, H., J., & Berg, G. A. (2006). Metabolic syndrome throughout the menopausal transition: influence of age and menopausal status. Climacteric, 9, 40-48.
Nakanishi, N, Okamota, M, Makino, K, Suzuki, K. & Tatara, K. (2002). Distribution and cardiovascular risk correlates of serum triglycerides in young Japanese adults. Industrial Health, 40(1), 28-35.
NCEP ATP-III (2001). Exer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5, 2486-2497.
Park, J. H., Kim, H. S., Park, J. K., Kwon, Y. C., & Park, S. K.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fat distribution and adipocytokines before and after combined exercise in obese middle-age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0, 729-735.
Rod, K. D., Richard, A. W., & Gregory, W. H. (2004). Physical activity epidemiology. Human Kinetics.
Son, H. J., So, W. Y., Park, H. M., Lee, S. M., Baek, H. J., & Sung, D. J. (2011). Effect of public health center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factors, body weight, body mass index and blood pressure in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 Public Health Nursing, 25(1), 17-27.
Takesima, N., Rogers, N. L., Rogers, M. E., Islam, M. M., Koizumi, D., & Lee, S. (2007). Functional fitness gain varies in older adults depending on exercise mode,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9(11), 2036-2043.
Wilmore, J. H., & Costill, D. L. (2002). Physiology of sport and exercise. Human Kinetic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Melbourne,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Obesity and overweight. global strategy on die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trieved November 12, 2012,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1/en/.
Yang, S. W. (2008).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blood lipids, leptin and cortisol stress hormone concentration in obesity middle-aged wome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3, 795-802.
Yun, Y. S. (2002). Obesity in wom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5), 553-564.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