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OSAT으로 추적된 동북아시아 이산화탄소 유동방향의 계절별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for Seasonal CO2 Flows Tracked by GOSAT in Northeast Asia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0 no.5, 2012년, pp.1 - 13  

최진호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엄정섭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그동안 이산화탄소의 유동 방향 연구에서 지적된 지상관측자료의 시 공간적 제약성을 극복하고자, 최초의 온실가스 측정 전용 위성인 GOSAT을 활용하여 동북아시아 지역의 계절별 이산화탄소의 유동 방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크리깅 분석을 적용하여 결측값을 보완하고, 이방성 베리오그램을 통해 전체적인 이산화탄소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동북아시아의 이산화탄소 공간적 분포 양상은 위도대에 일치하는 변화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계절별 유동성은 봄, 가을, 겨울의 경우 남동쪽 및 동쪽으로 유동되는 이산화탄소가 주를 이루어 나타났으며, 여름에 경우 북쪽 및 북동쪽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나는 계절풍과 유사한 흐름으로 주로 서에서 동으로 이동되는 경우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중국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한반도와 일본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의 유동은 인위적 배출원과 식생의 호흡, 해양의 배출과 흡수 등의 다양한 요인과 결부되어 달라지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유동에 개입되는 다양한 변수와 상관성을 평가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s to evaluate the seasonal flow direction of carbon dioxide in Northeast Asia by using GOSAT, the first Greenhouse Observing SATellite, in an attempt to overcome costly, laborious and time consuming ground observation which has been frequently pointed out in existing studies. Fo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데이터의 수집은 동북아시아지역의 경우 시베리아 대륙성 기류와 북태평양 해양성 기류의 영향이 계절별로 변화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따라 각각 별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계절에 따른 이산화탄소 유동 양상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는 계절별 기단의 영향이 최대가 되어 각각의 계절적 특색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겨울의 경우 시베리아기단의 영향이 최대가 되어 연중 최한월이 나타나고 북서계절풍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1월 데이터를수집하였으며, 여름의 경우 북태평양기단의 영향으로 최난월이 나타나는 8월의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 하루에 지구를약 14회 돌며 측정하게 되고, 3일 후에 같은 지역을 평균 4ppmv(정밀도 1%)의 오차범위에서 다시 측정하므로 다양한 계절의 영상에서 추출된 이산화탄소 분포도를 비교평가하여 유동방향의 계절별 변화 특성과 형태를 분석하여 계절별로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에 대해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데 최적의 자료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0년 10월부터 동북아 지역의 이산화탄소 측정자료를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대기유동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농도변화추세를 정량적으로 (계절별 농도의 변화량과 변화량 등) 살펴보고자 출발하였다.
  • 본 연구는 특정시간 및 장소에서 관측된 미시적인 현장조사 자료에 대해 동북아 지역의 온실가스 분포에 대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정량화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GOSAT은 원자료 (raw data)의 복원과정에서 칼럼 전체의 총 이산화탄소 양만을 제공하고 있어 지표나 특정 고도에서의 측정된 지상관측 값과 직접 비교가 불가능하다.
  •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주방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이방성 베리오그램을 작성하였다. 방향성의 계산은 전통적으로 북쪽을 0°로 하고 45°씩 증가시켜 네 방향 즉 0°, 45°, 90°, 135°의 방향으로 계산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북아시아가 중국에서 배출된 대기오염 물질의 영향을 받는 이유는? 동북아시아는 지리적 위치상 편서풍 지대인 중위도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연중 서풍 계열 기류의영향으로 중국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의 북동부 공업지대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의 온실가스가 한국 및 일본에 영향을 주고 있어 동북아시아 지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적응과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이산화탄소 분포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관측이 필수적 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이산화탄소 분포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관측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동북아시아는 지리적 위치상 편서풍 지대인 중위도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연중 서풍 계열 기류의영향으로 중국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의 북동부 공업지대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의 온실가스가 한국 및 일본에 영향을 주고 있어 동북아시아 지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적응과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이산화탄소 분포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관측이 필수적 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온실가스의 월경(越境) 문제는 자국 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규제와 관리뿐만 아니라, 국경을 초월하여 이동해오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국가 간 협력이 필요 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흡수 및 배출에 대한 광역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있다.
지상관측점에 한정된 측정 자료가 가지는 한계점은 무엇인가요? 동북아시아의 경우에는 중국의 왈리구안, 일본의 료리, 대한민국의 안면도 관측소에서 수집된 이산화탄소 자료를 바탕으로 이산화탄소의 유동성 및 분포를 추적하기 때문에 어느 한 곳에서의 데이터를 두고 한 분석 결과는 특정 지점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명확히 이해 할 수 있지만, 동북아 지역차원의 변화와 이동을 추적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 및 이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표에서 대기의 상층부로 올라갈수록 변화하는 이산화탄소의 수직 분포(vertical profile)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나 지상 관측소에서의 지표 관측 자료는 이를 반영 할 수 없다[27]. 지상관측소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의 유동특성을 조사하는 것은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기는 하나, 현장중심의 평가에서는 조사 단위가 현장에서 조사할수 있는 범위에 한정되므로 광역 유동특성에 대한 평가의 객관성에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 J. S. Tranchant and A. P. Vincent, 2000, "Statistical Interpolation of ozone measurements from satellite data (TOMS, SBUV and SAGE III) using the Kriging Method", Annales Geophysicae, Vol. 18, No. 6, pp. 666-678. 

  2. B. Saulquin and F. Gohin, 2010, "Mean Seasonal Cycle and Evolution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Satellite and in Situ Data in the English Channel for the Period 1986-2006", Vol. 31, No. 15, pp. 4069-4093. 

  3. C. H. Cho, J. S. Kim and H. J. YOO, 2007, "Atmospheric Carbon Dioxide Variations at Korea GAW Center from 1999 to 2006",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43, No. 4, pp. 359-365. 

  4. C. S. Shim, R. Nassar, J. H. Kim, 2011, "Comparison of Model-simulated Atmospheric Carbon Dioxide with GOSAT Retrievals",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Vol. 5. No. 4, pp. 263-277. 

  5. D. M. Hammerling, A. M. Michalak and S. R. Kawa, 2012, "Global CO2 distributions over land from the Greenhouse Gases Observing Satellite (GOSAT)", Geophysical Reserch Letters, Vol.39, pp. L08804. 

  6. D. O'Sullivan and D. J. Unwin, 2003, Geographic information analysis, 2nd Ed, p. 390, John Wiley & Sons, New Jersey. 

  7. E. H. Isaaks and R. M. Srivastava, 1989, Applied Geostatic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8. E. N. Florio, R. Lele, Y. C. Chang, R. Sterner, R and G. E. Glass, 2004, "Integrating AVHRR Satellite Data and NOAA Ground Observations to Predict Surface Air Temperature : A Statistical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5, No. 15, pp. 2979-2994 

  9. G. Christakos, A. Kolovos, M. L. Serre and F. Vukovich, 2004, "Total Ozone Mapping by Integrating Databases from Remote Sensing Instruments and Empirical Models",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 42, No. 5, pp. 991-1008. 

  10. H. Akimoto and H. Narita, 1994, "Distribution of SO2, NOx and CO2 Emissions from Fuel Combustion and Industrial Activities in Asia with $1^{\circ}{\times}1^{\circ}$ Resolution", Atmospheric Environment, Vol. 28, No. 2, pp. 213-225. 

  11. J. S. Yang, Y. Q. Wang and P. V. August, 2004, "Estimation of Land Surface Temperature Using Spatial Interpolation and Satellite-Derived Surface Emissivity", Journal of Environmental Informatics, Vol. 4, No. 1, pp. 37-44. 

  12. K. Johnston, J. M. Ver Hoef, K. Krivoruchko and N. Lucas, 2001, Using ArcGIS Geostatistical Analyst, p. 21, ESRI Press, New York 

  13. L. Coulibaly, P. Migolet, H. G. Adegbidi, R. Fournier and E. Hervet, 2008, "Mapping above Ground Forest Biomass from IKONOS Satellite Image and Multi-source Geospatial Data using Neural Networks and a Kriging Interpolati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IGARSS 2008, pp. 298-301. 

  14. L. Yang, W. Xiufeng, G. Meng and T. Hiroshi, 2011, "Mapping the FTS SWIR L2 Product of XCO2 and XCH4 Data from the GOSAT by Kriging Method: A Case Study in East Asi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3, No. 10, pp. 3004-3025. 

  15. M. Tomosada, K. Kanefuji, Y. Matsumoto and H. Tsubaki, 2008, "Application of the Spatial Statistics to the Retrieved CO2 Column Abundances Derived from GOSAT Data", th WSEA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MOTE SENING, pp. 67-73. 

  16. M. Tomosada, K. Kanefuji, Y. Matsumoto and H. Tsubaki, 2009, "A Prediction Method of the Global Distribution Map of CO2 Column Abundance Retrieved from GOSAT Observation Derived from Ordinary Kriging", ICROS-SICE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2009, pp. 4869-4873. 

  17. O. Schneising, M. Buchwitz, J. P. Burrows, H. Bovensmann, M. Reuter, J. Notholt, R. Macatangay and T. Warneke., 2008, "Three Years of Greenhouse[1 Gas Column-Averaged Dry Air Mole Fractions Retrieved from Satellite Part 1 : Carbon Dioxide",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Vol. 8, No. 14, pp. 3827-3853. 

  18. S. C. Olsen and J. T. Randerson, 2004, "Differences between Surface and Column Atmospheric CO2 and Implications for Carbon Cycle Research",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9, No. D2, pp. DO2301.1- DO2301.11. 

  19. T. Y. Lee, S. B. Kim, S. M. Lee, S. U. Park, D. S. Kim and H. C. Shin, 1998, "Numerical Simulation of Air Quality and Acid Deposition for Episodic Cases in Eastern Asia", Korean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Vol. 1, No. 2, pp. 126-144. 

  20. Y. Guo, Y. Yu, X. Liu and X. Zhang, 2001, "Simulation of Climate Change Induced by CO2 Increasing for East Asia with IAP/LASG GOALS Model",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Vol. 18, No. 1, pp. 53-66. 

  21. 강경식, 문일주, 황승만, 신동석, 윤수창, 2010, "제주도 고산지역 여름철 저농도 이산화탄소의 발생원인과 이동경로에 관한 연구", 대기, 제20권, 제3호, pp. 307-318. 

  22. 기상청, 2009, 지구대기감시보고서, 기상청. 

  23. 김나영, 김계현, 박용길, 2011, "기후.환경 변화 분석을 위한 GIS기반의 통합DB 관리시스템 개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9권, 제6호, pp. 101-109. 

  24. 김대호, 엄정섭, 2011, "Tier 3 방식에 의거한 지목별 온실가스 배출 실태 평가",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11-22. 

  25. 김유정, 2010, 이동패턴에 따른 동북아시에의 장거리이동 입자상 물질의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김학성, 정용승, 2006, "1991-2004년 동아시아에서 관측한 일산화탄소의 지역적 배경 농도", 한국지구과학회지, 제27권, 제6호, pp. 643-652. 

  27. 박지영, 2003, 계절별 대표적 기상조건하에서의 동아시아 대기오염물의 장거리 수송,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서범근, 2008, CAMx를 이용한 동북아시아 지역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 평가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송병현, 조하만, 1998, "화학이동모델을 이용한 동아시아 지역 이산화탄소의 장거리 이동 및 확산", 한국기상학회 1998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265-267. 

  30. 심창섭, 2010, 대기 중 이산화탄소 분포에 대한 이해 : 위성관측과 GEOS-Chem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1. 정상기, 2006, 제주도 고산 대기연속관측을 통한 한반도 주변 이산화탄소 방출지역 추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최종근, 2007, 지구통계학, 시그마프레스 

  33. 최진호, 엄정섭, 2011, "GOSAT 기반의 동북아시아 CO2 분포도에 적용된 크리깅 기법의 비교평가", 환경영향평가, 제20권, 제6호, pp. 879-890. 

  34. 최현우, 김현욱, 2006, "해수면 난류수 유동방향 탐지를 위한 지구통계학적 분석기법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9권, 제1호, pp. 168-1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