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Quality of nursing research should be evaluated before it is applied as an evidence for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to compare tools for the quality assessment and reporting standards of nursing research using CONSORT and STROBE checklist by type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무작위 연구와 비무작위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도구들과 연구보고지침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 및 비교를 통해 근거기반 실무의 기초가 될 간호연구의 질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절한 도구를 선정 및 실제로 적용하기 위한 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연구설계에 따른 질평가 도구와 보고지침을 살펴보고 보고지침을 이용하여 질 평가 도구를 비교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들이 실무에 적용할 근거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다양한 도구들과 보고 지침 들을 분석하였다. 실험 연구의 경우, 대상군 선정, 혼동변수, 중재[노출]측정, 결과평과 눈가림, 불완전한 결과자료, 선택적 보고 등의 영역에서의 비뚤림 위험을 평가해야 하므로 연구 설계 단계부터 이를 고려해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RCT 연구의 질 평가도구인 ROB, Jadad, SIGN-RCT 및 Downs & Black을 연구의 보고지침을 기준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설계 유형별 연구결과 보고지침의 개발은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면서(Moher, Jones, & Lepage, 2001), 국내에서도 의학 학술지를 중심으로 연구유형별 보고 지침에 따라 연구결과를 보고할 것을 학술지 투고규정에 추가하고 있다(Lee, 2009). 이에 근거의 질이 보장된 연구결과를 보고함으로써 간호실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근거를 생성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적용할 근거를 찾기 위해 그에 맞는 좋은 연구 질 평가 도구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무작위 연구와 비 무작위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설계 유형별 질 평가 도구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어떤 항목으로 평가하고 있는지를 고찰해보고 각 도구의 항목들을 보고 지침의 구성 항목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ROB, Jadad, SIGN:RCT 및 Downs & Black 도구 등 RCT 연구의 질 평가도구의 구성항목을 RCT 연구의 보고지침으로 활용되는 CONSORT 체크리스트의 평가기준 및세부문항들과 비교해 본 결과, CONSORT 체크리스트 총 37문항 중 ROB 평가도구의 문항은 17개 문항이 부합하였다.
  • 그러나 이런 연구들이 근거에 활용되려면 높은 등급의 평가를 받아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연구의 질 평가 항목들을 숙지하고 연구 설계부터 적용하려고 노력해야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무작위 연구와 비무작위 연구의 질 평가 도구와 보고지침을 고찰하고, 보고지침을 기준으로 연구 질 평가도구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근거의 질 평가 도구 및 보고지침에 대한 고찰을 통해 추후 간호연구 수행 및 보고를 위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간호실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최상의 근거를 생성하는 간호연구 수행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실무 현장에서는 어떤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가? 자연과학의 한 분야인 간호학에서도 간호 지식체를 개발하고 확대시키기 위해 이론 또는 실무중심의 다양한 간호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Lee, Park, Cho, & Park, 2011). 간호실무 현장에서 임상적 결정을 내릴 때 최상의 근거를 활용하고자 하는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Sackett, Straus, Richardson, Rosenberg, & Haynes, 2000). 국내에서는 2004년 한국간호과학회 주관으로 개최된 추계학술대회에서 근거 기반간호(evidence based nursing)가 소개되면서, 간호학 분야별 학회 및 간호사회 등 간호계의 전문가 단체를 중심으로 근거기반간호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다(Gu et al.
과학의 발전은 무엇을 통해 가능해지는가? 과학의 발전은 검증을 거친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응용과정을 통해 지식체를 확대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자연과학의 한 분야인 간호학에서도 간호 지식체를 개발하고 확대시키기 위해 이론 또는 실무중심의 다양한 간호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Lee, Park, Cho, & Park, 2011).
연구설계에 따른 질평가 도구와 보고지침을 살펴보고 보고지침을 이용하여 질 평가 도구를 비교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무엇인가? 1) 무작위 연구와 비무작위 연구의 질평가 도구를 고찰한다. 2) 무작위 연구와 비무작위 연구의 연구보고지침을 고찰한다. 3) 연구보고지침을 이용하여 연구의 질 평가도구를 비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tkins, D., Best, D., Briss, P. A., Eccles, M., Falck-Ytter, Y., Flottorp, S., et al. (2004). Grading quality of evidence and strength of recommendations. British Medical Journal, 328, 1490-1494. 

  2. Begg, C., Cho, M., Eastwood, S., Horton, R., Moher, D., Olkin, I., et al. (1996). Improving the quality of reporting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e CONSORT statement.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6, 637-639. 

  3. CONSORT: transparent reporting tirals [Internet]. [cited 2012 May 17]. Available from: http://www.consort-statement.org/consort-statement/ 

  4. Downs, S. H., & Black, N. (1998). The feasibility of creating a checklist for the assessment of the methodological quality both of randomised and non-randomised studies of health care interventions.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52, 377-384. 

  5. Gu, M. O., Cho, M. S., Cho, Y. A., Jeong, J. S., Eun, Y., Jeong, I. S., et al. (2012). A prioritizing for the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18(1), 39-51. 

  6.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 Hallym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009, March). Development of an appraisal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clinical research. 

  7. Higgins, J. P. T., Green, S., (editor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updated March 2011].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Available from www.cochrane-handbook.org. 

  8. Huh, D. S.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ic reviews and meta-analysi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9. Jadad, A. R., Moore, R. A., Carroll, D., Jenkinson, C., Reynolds, D. J., Gavaghan, D. J., et al. (1996).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clinicaltrials: Is blindingnecessary? Controlled Clinical Trials, 17(1), 1-12. http://dx.doi.org/10.1016/0197-2456(95)00134-4 

  10. Kim, H. J., & Kim, S. Y. (2009). Quality Assessment of Non-Randomized Studies in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 129-137. 

  11. Kim, J. H., Choe, M. A., Kim, Y. K., Kim, J. H., Kim, H. S., Park, M. J., et al. (2006). An analysis on the researches using biological measurement in major Korean nursing journal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8(2), 61-72. 

  12. Kim, S. Y., Ji, S. M., Lee, S. J., Lee, Y. J., Park, J. E., Nam, M. H., et al. (2011). Guidance for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Ver 1.0.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NECA]. 

  13. Lee, J. U. (2009). Reporting guidelines of medical research.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 1-14. 

  14. Lee, K. E., Park, Y. R., Cho, K. J., & Park, M. J. (2011).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Based on analysis of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from 1999 to 2010.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2), 81-93. 

  15. Lim, S. M., Shin, E. S., Lee, S. H., Seo, K. H., Jung, Y. M., Jang, J. E. (2011). Tools for assessing quality and risk of bias by levels of evidenc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 419-429. http://dx.doi.org/10.5124/jkma.2011.54. 4.419 

  16. Moher, D., Jones, A., & Lepage, L. (2001). Use of the CONSORT statement and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trials : a comparative before and afier evalua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5, 1992-1995. 

  17. Moher, D., Schulz, K. F., & Altman, D. G. (2001). The CONSORT statement: revise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parallel-group randomized trial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4, 657-662. 

  18. Park, J., Lee, Y., Seo, H., Jang, B., Son, H., Kim, S.Y., et al. (2011).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ies (RoBAN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instrument.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19th Cochrane colloquium V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tient safety. Madrid. 

  19. Park, M. H. (2006).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evidence based nursing. Seoul: Koonja. 

  20. Sackett, D. L., Straus, S. E., Richardson, W. S., Rosenberg, W., & Haynes, R. B. (1997). Evidence-Based Medicine: How to Practice and Teach EBM. (1th Ed.).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21. Sackett, D. L., Straus, S. E., Richardson, W. S., Rosenberg, W., & Haynes, R. B. (2000). Evidence-Based Medicine: How to Practice and Teach EBM. (2nd Ed.).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22. Schulz, K. F., Altman, D.G., & Moher, D. (2010). CONSORT 2010 Statement: updated guidelines for reporting parallel group randomized trials. Annals of Internal Medicine,152, 1-8. 

  23.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2011). SIGN 50: a guideline developers' handbook (Revised ed.) 2011 [Internet]. Edinburgh :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2011[cited 2012 May 12]. Available from: http://www.sign.ac.uk/pdf/sign50.pdf. 

  24. Slim, K., Nini, E., Forestier, D., Kwiatkowski, F., Panis, Y., Chipponi, J. (2003). Methodological index for non-randomized studies (minors-MINOR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instrument. ANZ Journal of Surgery, 73, 712-6. 

  25. STROBE statement [Internet]. [cited 2012 May 17]. Available from : http://www.strobe-statement.org/ 

  26. von Elm, E., Altman, D. G., Egger, M., Pocock, S. J., Gotzsche, P. C., & Vandenbroucke, J. P. (2008). Th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STROBE) statement: guidelines for reporting observational studi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1, 344-349. 

  27. Wells, G. A., Shea, B., O'Connell, D., Peterson, J., Welch, V., Losos, M., et al. (2009). The Newcastle-Ottawa Scale (NO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nonrandomised studies in meta-analyses[Internet]. Ottawa: Ottawa Hospital Research Institute; c1996-2010[cited 2012 May 12]. from: http://www.orhi.ca/programs/clinical_epidemiology/oxford.as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