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의료 질 향상 활동에 관한 연구: 병원 간호병동 수준으로
A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of Clinical Nurses: Nursing Care Unit level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2 no.1, 2017년, pp.10 - 20  

유지연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김광점 (가톨릭대학교 의료경영대학원, 가톨릭의료경영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This study analyzed activities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care in nursing units to identify group-level success factors of quality improving efforts. Methodology/Approach: Research subjects were 31 general wards of C university hospital, which has 1,200 be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하여 의료 질 향상 활동성과의 수준을 기준으로 간호 집단을 분류하고, 이 집단 간에 의료의 질 향상 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 노력과 행동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의료 질 향상 활동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집단수준에서 탐색한다. 결국,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관성과에 직접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간호집단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의료 질 향상 활동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의미 있는 집단적 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의료기관의 질 향상 활동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집단 수준의 연구를 시도한 것이 본 연구의 가장 큰 기여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의료 질 향상 활동에 대한 연구는 연구대상이 간호사 개인수준에 그쳤으나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병동단위로 함으로써 개인수준의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조직을 대상으로 집단 수준에서 질 향상 활동에 대한 인식 및 행동과 질 향상 활동성과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질 향상 활동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인 수준에서 접근하곤 했다. 본 연구에서는 병동의 질 향상 활동을 간호집단수준에서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의료 질 향상 활동성과의 수준을 기준으로 간호 집단을 분류하고, 이 집단 간에 의료의 질 향상 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 노력과 행동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의료 질 향상 활동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집단수준에서 탐색한다.
  • 설문 조사의 결과를 해석하는 데 도움을 받기위해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인터뷰 대상자는 임상 근속연수 10년 이상이며 의료 질 향상 활동을 3회 이상 경험하고 본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충분한 경험을 지닌 간호사 중에서 참여의사를 분명히 밝힌 4명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의 질 향상 활동이란 무엇인가? 의료의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이하 QI) 활동은 의료진의 임상적 행위뿐만이 아니라 진료 지원직, 행정직, 관리직 등 전 부서에 걸쳐 의료기관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을 포괄한다[1]. 병원 간 경쟁의 심화, 의료기관 평가제도의 도입의 영향 때문인지 많은 의료기관들이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내부경영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전사적으로 의료 질 향상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병동에서 의료의 질은 어디에 달려있는가? 병동에서 의료의 질은 개별적인 간호사에게 달려있다기보다는 집단으로서 간호사들이 어떻게 활동하느냐에 달려있다. 간호사가 속한 집단의 특성과 집단 문화에 따라질 향상 활동의 목표와 방향이 달라지고 이것은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의료의 질 향상에 대한 연구가 주로 개인 수준에서 접근하곤 했는데, 올바르지 못한 이유는? 병동에서 의료의 질은 개별적인 간호사에게 달려있다기보다는 집단으로서 간호사들이 어떻게 활동하느냐에 달려있다. 간호사가 속한 집단의 특성과 집단 문화에 따라질 향상 활동의 목표와 방향이 달라지고 이것은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질 향상 활동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인 수준에서 접근하곤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Oh HW. A Study on the Perception about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n Hospital Management. Wonkwang University; 2010. 

  2. Lee SH, Choi KS, Kang HY, Cho WH, Chae YM.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Quality Improvement Implementation. Korean J Prev Med 2001;34(4):363-371. 

  3. Ireson, C., & Weaver, D.. Marketing nursing beyond the walls. JANA. 1992;22(1):57-60. 

  4. Kim HR. The impact of Healthcare accreditation on patient safetyand improvement of healthcare quality, organizational culture, hospital administrative activities. Seoul: Yonsei University; 2012. 

  5. Jeong J, Seo YJ, Nam EW.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Nursing Division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Korean J Hosp Manag 2006;11(1):91-109. 

  6. Kim MR.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 Korean Acad Nurs 2011;41(1):1-8. 

  7. Nicklin, W., & McVeety, J. E. Canadian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in hospitals. Can J Nurs Leadersh 2002;15(3):11-21. 

  8. Abbott, P.A, Research inpatient Safety / Error Reduction : A Nursing Perspective. Session presented at the Post-conference for 8th International Congress in Nursing Informatics, Rio De Janeiro, Brazil, 2003. 

  9. Milligan, F. & Dennis, S.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ident reporting. Nurs Stand 2004;19(7):33-36. 

  10. Kim JE, Kang MA, An KE, Sung YH.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3):169-179. 

  11. Cullen, D. J., Bates, D. W., Small, S. D., Cooper, J. B., Nemeskal, A. R., & Leape, L. L. The incident reporting system does not detect adverse drug events: A problem in quality assurance. Jt Comm J Qual Improv 1995;21, 541-548. 

  12. Bates, D. W., & Gawande, A. A. Improving safety with information technology. N Engl J Med, 2003;348, 2526-2534. 

  13. Lee SH. The Policies Related to Quality and Patient Safety and their Impacts on Hospital Management: Past, Present and Future Korean J Hosp Manag 2015;20. 

  14. Yoon BS.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f Hospital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f Nurses. Sungkyunkwan University;2012. 

  15. Jang KS, Kim YS, Kim A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1996;1(1):125-143. 

  16. Han S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Ewha Womans University; 2000. 

  17. Yoon AJ. A Study o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on Work Performance. Daegu University; 1995. 

  18. Pinto, M. B. & Pinto, J. K. Project team communication and cross-functional cooperation in new program development.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1990;7,200-212. 

  19. Athanasaw, Y. Team characteristics and team member knowledge, skills, and ability relationship to the effectiveness of cross-functional teams in the public sector.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2003;26,1165-1204. 

  20. Park SA, Yoon SN. A Study for Development of a Tool Measur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0;16(3):31-37. 

  21. Ban YR. The Effect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n the Nursing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7. 

  22. Ryu SY.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Behaviors of Nursing Managers, Empowerment and Job Performance of Staff Nurses.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23. Kim KO. The. Effects of Nurse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Performance Efficiency at General Hospitals in Urban Area.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1. 

  24. Lee SM.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Outcome Variables. J Korean Acad Nurs Admin 2007;13(2):156-166. 

  25. Han WS. The Effect of the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to Business Performance in Medical Service Organizations: General Hospital Employees Point of View. Konyang University; 2007. 

  26. Bae JI. A Study on Hospital Staff's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 the Medial Institute Accreditation System: Focused on Those Working for the Public Hospitals.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27. Lee SW, Kim JY, Kim SK, Yang J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Internal Service Quality, Service Value, and Managerial Performanc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ccounting. 2010;15(2):253-276. 

  28. Kim SM. A Study on Effects of the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JCI) Review on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Hospital Employee. Seoul: Catholic University; 2012. 

  29. Kim KH. Relationship among Nurses'perception of Accreditatio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in an Accredited healthcare system. Seoul: Yonsei University; 2012. 

  30. Park SA.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performance in Korean nursing unit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31. Chan. Fuctional Relations Among Constructs in the Same Content Domain at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A Typology of Composition Model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8;83(2):234-246. 

  32. Shrout, P.E & Fleiss, J. L. Intraclass correlation: Uses in assessing rater reliability. Psychological Bulletin, 1979;86:420-428. 

  33. James, L. R., Demaree, R. G., & Wolf. G. Estimating within-group inter-rater reliability with without response bia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1984;69:85-98. 

  34. Bliese, P. D. Within-group agreement, non-Independence, and reliability: Implications for data aggregation and analysis. In K. J. Klein & S. W. J. Kozlowski(Eds.). Multilevel theory, research, and methods in organizations(349-381),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5. Yoo MS, Chung M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 of Quality Assurance and National Hospital Evaluation Program and Nursing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in. 2008;14(3):260-267. 

  36. Choi YS. Effects of Nurses' Awareness on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on Nursing Performance. Seoul: Catholic University; 2011. 

  37. Yang NY, Choi JS. Relationships of Nurses' Perception, Nursing Performance, Job Stress, and Burnout in Relation to the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Hospital Accreditation. J Korean Acad Nurs Adm. 2014;20(1):1-9. 

  38. Choi SH. A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