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벌꿀과 효모를 이용한 벌꿀와인의 제조 및 품질 특성
Brew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Honey Wine (Mead) with a Variety of Honey and Yeas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6, 2012년, pp.736 - 742  

이대형 (경기도농업기술원) ,  강희윤 (경기도농업기술원) ,  이용선 (경기도농업기술원) ,  조창휘 (경기도농업기술원) ,  박인태 (경기도농업기술원) ,  김희동 (경기도농업기술원) ,  임재욱 (경기도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품질이 우수한 벌꿀 와인을 개발하고자, 아카시아꿀, 밤꿀, 유자꿀, 잡화꿀을 이용하여 시판 효모 종류별로 발효 중 품질 변화를 조사한 결과 에탄올 함량은 잡화꿀 와인과 밤꿀 와인 모두 효모종류와 상관없이 11.3-11.9%를 보였고 아카시아꿀 와인과 유자꿀 와인은 5.0-8.2%의 에탄올을 생성하였다. 관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카시아꿀과 잡화꿀을 혼합하여 발효한 혼합 와인은 10.9%의 에탄올이 생성되었으며 관능특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유자꿀과 잡화꿀 혼합 와인은 11.1%의 에탄올을 생성하였으나 관능특성은 낮았다. 아카시아꿀과 잡화꿀을 혼합 발효한 곳에 진피를 첨가하여 발효시켰을 때 에탄올 함량은 첨가량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관능결과에서는 진피 0.2% 첨가 시에 기호도가 가장 좋았다. 청징조건을 확인하기위해 발효가 끝난 허니와인에 벤토나이트 0.6% 처리 후 여과하여 저장 기간별로 탁도를 살펴본 결과 $10^{\circ}C$ 보관에서 15일 동안 보관 시에 0.24 NTU로 침전에 안전한 결과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brew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 variety of honey and yeast strains in Korea were investigated. After fermenting acacia honey, chestnut honey, citrus honey, and mixed flower honey using commercial yeast, th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Chestnut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 국내산 와인의 다양성 및 국내산 벌꿀의 이용 증대 방안의 일환으로 순수 벌꿀만을 이용하여 기호성이 우수한 벌꿀 와인(honey wine, mead)을 개발하고자 벌꿀을 이용한 벌꿀 와인의 발효조건 및 청징 조건을 확립함으로써 제품화를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벌꿀이 식재료와 건강식품으로 이용되는 이유는? 벌꿀은 벌이 식물로부터 nectar를 수집하여 만들어 지는 것으로 과당과 비타민C 및 광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각종 생리활성 물질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1) 식재료와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벌꿀의 감미는 과당, 포도당 등의 당류 때문이며 민간요법에서는 의학적 작용도 있는 것으로 생각해왔다.
벌꿀이 단맛을 내는(감미) 이유는? 벌꿀은 벌이 식물로부터 nectar를 수집하여 만들어 지는 것으로 과당과 비타민C 및 광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각종 생리활성 물질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1) 식재료와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벌꿀의 감미는 과당, 포도당 등의 당류 때문이며 민간요법에서는 의학적 작용도 있는 것으로 생각해왔다. 이런 작용은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그리고 미확인된 여러 가지 물질들 때문인 것으로 막연하게 생각되어져 왔으나 여러 연구결과에 의해 꿀의 성분을 화학적으로 분석하여 꿀은 대부분 당과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량 구성 물질로 유기산, 무기물, 비타민, 단백질, 페놀화합물, 유리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아냈다(2,3).
벌꿀 와인의 숙정 저장기간에 발생할수 있는 문제점은? 또한 와인을 제조한 후에도 숙성 저장 중에 혼탁물질이 생겨 상품가치와 풍미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어 그 발생을 방지하거나 제거할 필요가 있다. 발효주의 숙성시 생기는 혼탁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로 alginin, tannin, gelatin, celite 등을 가하여 물리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여과법이 사용되고 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ng KS, Cha YH. Characterization of natural properties of Korean honey as functional foo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p. 1-37 (2007) 

  2. Terrab A, Vega-Perez JM, Diez MJ, Heredia HJ. Characterization of northwest Moroccan honeys by gas chromatographic-mass spectrometric analysis of their sugar compounts. J. Sci. Food Agr. 8: 179-185 (2001) 

  3. Nagai T, Inone H, Suzuki N. Scavenging capacities of pollen extracts from Cistus ladaniferus on autoxidation, superoxide radicals, hydroxyl radicals, and DPPH radicals. Nutr. Res. 22: 519-526 (2002) 

  4. Lew YS. History of honey wine (mead) in Korea. Korean J. Apicultural. 10: 57-109 (1995) 

  5. Jung ST, Rhim JW, Kim DH.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honey wine by Saccharomyces bayan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044-1049 (1999) 

  6. Kim SH, Kim SJ, Kim BH, Kang SG, Jung ST. Traditional Honey Wine Prepared with Nuruk-Yeast Mix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168-1172 (2000) 

  7. Fabin FW. The use of honey in marking fermented drinks. Fruit Prod. J. Fd. Mfr. 14: 363-366 (1935) 

  8. Filipello F, Marsh GL. Honey wine. Fruit Prod. J. Fd. Mfr. 41:78-81 (1941) 

  9. Kime RW, McLellan MR, Lee CY. An improves method of mead production. Am. Bee. J. 131: 394-395 (1991) 

  10. Kime RW, McLellan MR, Lee CY. Ultra-filtration of honey for mead production. Am. Bee J. 131: 394-395 (1991) 

  11. Morse R. The fermentation of diluted honey. PhD thesi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USA (1953) 

  12. Steinkraus KH, Morse RA. Factor influencing the fermentation of honey in mead production. J. Apicult. Res. 5: 147-26 (1966) 

  13. Kime RW, Lee CY. The use of honey in apple wine marking. Am. Bee J. 127: 270-271 (1987) 

  14. Kime RW, Lee CY, Gavitt B. The use of honey in wine marking. Am. Bee J. 130: 535-536 (1990) 

  15. Rhim JW, Kim DH, Jung ST. Production of fermented honey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337-342 (1997) 

  16. Kim DH, Rhim JW, Jung S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honey wine by Saccharomyces bayanus. J. Food Sci. Technol. 31: 1044-1049 (1999) 

  17. Kim DH, Rhim JW, Jung ST. Clarification and aging of fermented honey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330-1336 (1999) 

  18. Bae SM. Edible Everything can become Alcoholic Beverages. Wogok Press, Inc., Seoul, Korea. pp. 9-109 (2006) 

  19. NTSA. Textbook of alcoholic beverage-making. National Tax Service administration, Technical Service Institute, Seoul, Korea (1997) 

  20. Bruce WZ, Kenneth CF, Barry HG, Fred SN. Wine Analysis and Production, Chapman & Hall, New York, NY, USA. pp. 370-372, 426-428 (1995) 

  21. Kim JH, Lee DH, Chio SY, Lee JS.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in Korean traditional liquo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18-122 (2002) 

  22. Murat K, Sevgi K, Sengul K, Esra U, Cemalettin B, Ferda C. Biological activi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ree honeys of different types from Anatolia. Food Chem. 100: 526-534 (2007) 

  23. Kim SM.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industrialize the nutraceutical compounds from a local citrus species,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2008) 

  24. Hyon JS, Kang SM, Senevirathne M, Koh WJ, Yang TS, Oh MC, Oh CK, Jeon YJ, Kim SH.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ried Citrus sunki and C. unshiu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 (2010) 

  25. Jung SM, Chang EH, Park SJ, Jeong ST, Roh JH, Hur YY, Lee HC. Berry thinning effects on the fruit and wine quality of grape 'Muscat Bailey A'. Korean J. Food Preserv. 17: 625-630 (2010) 

  26. Karl J. Siebert. Haze formation in beverage. LWT-Food Sci. Technol. 39: 987-994 (2006) 

  27. Lee CH, Kim GM. Determination of the self-life of pasteurized Korean rice wine, yakju, in aseptic pac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56-163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