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육단계별 포도 잎의 생리활성 성분 및 항산화능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Grapevine Leaves at Growth Stag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6, 2012년, pp.772 - 778  

김정현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수경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영산 (대구가톨릭대학교 생명자원학부) ,  윤광서 (영천시 농업기술센터) ,  서정숙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포도 잎의 품종별, 재배시기별 생리활성 효과를 분석하여 포도 잎의 자원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포도 잎은 캠벨얼리와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으로 생육단계별로 전엽기, 개화기, 결실기, 착색기 및 성숙기로 분류하여 포도 잎의 생리활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생육단계별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섬유소의 함량은 시기가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캠벨얼리와 로자리오비앙코 품종 모두에서 전엽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총 페놀 함량은 캠벨얼리 품종이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전엽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단계가 지남에 따라 점차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포도 잎의 전자공여능은 개화기까지 캠벨얼리 품종이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에 비해 높았으며, 총 항산화능은 성숙기를 제외하고는 생육단계별로 캠벨얼리 품종이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특히 개화기 이전의 포도 잎은 폴리페놀 함량이 높으며 강력한 항산화 효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포도 잎은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산업화하는데 유용한 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grapevine leaves at growth stages. The leaves from two strains of grapevine, 'Campbell Early' and 'Rosario Bianco', were collected at five different growth stages (leafing, blossom, fruiting, colo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Rosario Bianco) 품종은 일본에서 육성한 청색계통의 포도품종으로 단맛이 강해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캠벨얼리 품종과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의 포도 잎을 생육단계별로 채취하여 폴리페놀 함량 등의 생리활성 성분과 항산화능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포도 잎의 자원화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포도 잎의 품종별, 재배시기별 생리활성 효과를 분석하여 포도 잎의 자원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포도 잎은 캠벨얼리와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으로 생육단계별로 전엽기, 개화기, 결실기, 착색기 및 성숙기로 분류하여 포도 잎의 생리활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도 내 폴리페놀 성분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특히 anthocyanins과 catechin 등의 플라보노이드와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 다양한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포도 내 폴리페놀 성분은 주로 포도 과피와 종자에 많이 존재하나, 식용 부위가 아닌 잎에도 많은 함량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러한 폴리페놀 성분은 심혈관질환, 암, 동맥경화, 노화 및 혈전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청 LDL산화 방지를 통한 항산화작용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
포도의 생육 단계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포도의 생육단계는 3-4개의 잎이 자란 전엽기, 개화기, 결실기, 포도 착색기, 그리고 포도 성숙기로 분류할 수 있다. 농가에서는 포도 결실을 촉진하기 위해 개화전에 신초 적심(新梢 摘心)을 한다.
포도 내의 폴리페놀 성분은 무엇인가? 포도에는 주석산, 사과산 및 구연산 등의 유기산이 많으며, 비타민 A, B, 그리고 C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anthocyanins과 catechin 등의 플라보노이드와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 다양한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포도 내 폴리페놀 성분은 주로 포도 과피와 종자에 많이 존재하나, 식용 부위가 아닌 잎에도 많은 함량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ATC, Grape. 2010 Circulation for Main Agricultural Products.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Gwacheon, Korea. pp. 643-665 (2011) 

  2. KCS. Trade Statistics. 08-0806-HS6. Korea Customs Service, Seoul, Korea (2011) 

  3. Kim NM, Lee JS. Effect of fermentation period on the quali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he mushroom fermentation broth. J. Korean Soc. Microbiol. 31: 28-33 (2003) 

  4. Iacopini P, Baldi M, Storchi P, Sebastiani L. Catechin, epicatechin, quercetin, rutin, and resveratrol in red grape: Content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interactions. J. Food Compos. Anal. 21: 589-598 (2008) 

  5. Ahn JB. Manufacturing process and food safety of functional food material containing high level of trans-resveratrol with domestic grape and fruit stem. Food Eng. Process 22: 192-197 (2008) 

  6. Karthikeyan K, Bai BR, Devaraj SN. Efficacy of grape seed proanthocyanidins on cardioprotection during isoproterenolinduced myocardial injury in rats. J. Cardiovasc. Pharm. 53: 109-115 (2009) 

  7. Roberts CK, Sindhu KK. Oxidative stress and metabolic syndrome. Life Sci. 84: 705-712 (2009) 

  8. Chang SW, Shin NS, Song JH, Kim HJ, Lee KY, Rho YT. Production of high-level polyphenol powders from young grape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6: 714-718 (2009) 

  9. Deytieux C, Geny L, Lapaillerie D, Claverol S, Bonneu M, Doneche B. Proteome analysis of grape skins during ripening. J. Exp. Bot. 58: 1851-1862 (2007) 

  10. Lee NR, Choi SJ. Contents of resveratrol in different parts of various grape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16: 959-964 (2009) 

  11.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Information Database. Variety and distribution of the genus grape. http://db.gba.go.kr/sub02/sub01_view.php?kind_code16&info_no534. Accessed Dec. 4, 2011. 

  12.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15th. Chapter 4.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13.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000) 

  14. Singleton VL Jr, Rossi J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965) 

  15. Gutteridge JM. Reactivity of hydroxyl and hydroxyl-like radicals discriminated by release of thiobarbituric acid-reactive material from deoxy sugars, nucleosides, and benzoate. Biochem. J. 224: 761-767 (1984) 

  16.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1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1237 (1999) 

  18. Lee OS, Moon SW, Kim EJ, Kang BS.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new grape leaves tea by roasing treatment. Int. J. Integr. Alter. Med. 4: 17-24 (2008) 

  19. Kim BS, Choi OJ, Shim KH. Properties of chemical components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according to picking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81-686 (2005) 

  20. Kwon YD, Ko EY, Hong SJ, Park SW. Comparison of sulforaphane and antioxidant contents according to different parts and maturity of broccoli. Korean J. Hort. Sci. Technol. 26: 344-349 (2008) 

  21. Bogs J, Downey MO, Harvey JS, Ashton AR, Tanner GT, Robinson SP. Proanthocyanidin synthesis and expression of genes encoding leucoanthocyanidin reductase and anthocyanidin reductase in developing grape berries and grapevine leaves. Plant Physiol. 139: 652-663 (2005) 

  22. Cos P, De Bruyne T, Hermans N, Apers S, Berghe DV, Vlietinck AJ. Proanthocyanidins in health care: Current and new trends. Curr. Med. Chem. 11: 1345-1359 (2004) 

  23. Kennedy JA, Matthews MA, Waterhouse AL. Changes in grape seed polyphenols during fruit ripening. Phytochemistry 55: 77-85 (2000) 

  24. Cho YJ, Kim JE, Chun HS, Kim CT, Kim SS, Kim CJ. Contents of resveratrol in different parts of grap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06-308 (2003) 

  25. Perez FJ, Villegas D, Mejia N. Ascorbic acid and flavonoid-peroxidase reaction as a detoxifying system of $H_{2}O_{2}$ in grapevine leaves. Phytochemistry 60: 573-580 (2002) 

  26. Maisuthisakul P, Suttajit M, Pongsawatmanit R. Assessment of phenolic content and free radical-scavenging capacity of some Thai indigenous plants. Food Chem. 100: 1409-1418 (2007) 

  27. Jung SI, Kim YJ, Gal SW, Choi YJ.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of oak wood vinegar. J. Life Sci. 17: 105-109 (2007) 

  28. Ju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k NI.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2004) 

  29.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1995) 

  30. Yook HS, Kim KH, Jang SA.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 pomace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53-1358 (2010) 

  31. Choi SY, Lim SH, Kim JS, Ha TY, Kim SR, Kang KS, Hwang IK.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49-556 (2005) 

  32. Li H, Choi YM, Lee JS, Park JS, Yeon KS, Han CS. 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type far-infrared dry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50-254 (2007) 

  33. Ku KM, Kim HS, Kim BS, Kang YH.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pepper leaves from various cultivars and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J. Appl. Biol. Chem. 52: 70-76 (2009) 

  34. Kim HS, Kang YH.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f non-edible parts (stalk, stemleaf, seed) from oriental melon. Korean J. Plant Res. 23: 451-457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