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립 브랜드를 가진 제조업체의 유통업체 브랜드(Private Brand) 공급 전략
Why Do Manufacturers Produce the Private Brand, Even if They Have Their Own National Brands? 원문보기

한국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v.37 no.4, 2012년, pp.1 - 18  

송태호 (부산대학교 경영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enormous growth and various applications of private brands, national brand manufacturers are confronted with a dilemmatic situation. That is, paradoxically, some manufacturers have come to produce private brands of retailers which are potential competitors to their own brands. This study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신의 브랜드를 보유한 제조업체가 위와 같은 모순된 상황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자신의 브랜드를 보유한 제조업체가 유통업체의 PB제품을 위탁 생산함으로써 얻게 되는 득과 실은 무엇이며, 이러한 득과 실의 전체적인 합이 양(+)이 되게 하는 상황과 조건은 무엇인지를 제조업체의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NB를 가진 제조업체 입장에서 PB 생산이 제조업체에게 득이 되는지 실이 되는지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보다는 개념적 장단점을 나열하거나, 득실 여부만을 보여주는 데 그치고 있어, 현실에서 NB를 보유한 제조업체가 PB 생산을 선택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조건들, 그리고 어떠한 조건 하에서 PB 생산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될 수 있는 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데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어 온 NB 제조업체의 PB 제품 병행 생산이 야기하는 장단점들을 바탕으로, 유통업체의 PB와 이를 생산하는 제조업체의 NB 사이의 경쟁을 묘사하는 게임 이론 모형을 도출하고, 이 모형의 분석을 통해 NB를 보유한 제조업체의 관점에서 PB 생산의 선택을 어떻게 결정해야 하는지, 그리고 그 근거는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B를 새로이 출시하는 유통업체를 가정하고, 유통업체의 PB 제품을 NB를 보유한 제조업체에게 생산을 위탁하는 경우와 NB를 보유하지 않는 제조업체에게 생산을 위탁하는 경우에 대한 두 가지 게임 이론 모형의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시장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각 시장 상황에서의 균형 해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시장 상황에서의 NB를 보유한 제조업체(M1)의 수익을 비교함으로써, NB를 보유한 제조업체(M1)가 PB를 생산함으로써 발생하는 이득 또는 손실을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시장에 제품 품질에 대한 이질적인 선호도를 가지는 소비자들의 분포를 고려한다. 즉, 제품 품질에 대해 서로 다른 선호(preference) 정도 또는 가치화(valuation) 정도를 가진 소비자들로 시장이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예를 들어, 치약의 미백 효과에 대한 선호 또는 가치화 정도는 소비자들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두 가지 경쟁 상황의 비교를 통해 NB를 보유한 제조업체 입장에서 PB 생산의 이해 득실 관계를 계산해보고자 한다. 즉, NB를 보유한 제조업체 M1이 PB의 생산을 결정할 경우와 그렇지 않을 경우, 각각에 대해 M1의 비용과 수익을 계산하여 어떤 전략적 결정이 M1에게 유리한지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 비록 본 연구가 NB를 보유한 제조업체의 PB 공급 전략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NB를 보유한 제조업체가 PB를 공급할 수 있는 사전 조건인 유통업체가 NB를 보유한 제조업체에게 PB 생산의 위탁 여부와 그에 대한 조건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 연구의 목적인 유통업체의 PB 생산이 경쟁적인 상황에서1) 유통업체가 NB를 보유한 제조업체에게 PB 생산을 위탁할 경우, 제조업체의 PB 공급 전략을 중점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하나의 NB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유통업체가 하나의 제조업체를 선택하여 새로이 PB를 출시하여 경쟁하게 되는 단순화된 상황을 고려한다.
  • 유통업체(R)는 기존(에) 판매하던 NB 제품 이외에 자신의 PB를 개발, 출시하여 판매하고자 한다. 유통업체(R)는 기존 NB를 보유한 제조업체(M1)에게 PB의 생산을 위탁한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B를 새로이 출시하는 유통업체를 가정하고, 유통업체의 PB 제품을 NB를 보유한 제조업체에게 생산을 위탁하는 경우와 NB를 보유하지 않는 제조업체에게 생산을 위탁하는 경우에 대한 두 가지 게임 이론 모형의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의 브랜드를 보유한 제조업체가 PB의 위탁 생산을 수락함으로써 얻게 되는 득과 실은 무엇인지, 그리고 PB 위탁 생산이 최선이 선택이 되는 조건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 하지만, 제조업체 입장에서 PB 제품의 위탁 생산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득과 손실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PB 제품의 위탁 생산에 대한 의사 결정을 돕는 가이드라인 또는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는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NB를 보유한 제조업체 입장에서 경쟁 상대인 PB 제품을 위탁 생산함에 따라 발생하는 장단점과 의사 결정에 관한 적절한 대응 전략을 파악하기 위해 게임 이론 모형을 개발 분석함으로써, PB 제품의 위탁 생산을 고려하는 제조업체에게 유용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두 가지 경쟁 상황의 비교를 통해 NB를 보유한 제조업체 입장에서 PB 생산의 이해 득실 관계를 계산해보고자 한다. 즉, NB를 보유한 제조업체 M1이 PB의 생산을 결정할 경우와 그렇지 않을 경우, 각각에 대해 M1의 비용과 수익을 계산하여 어떤 전략적 결정이 M1에게 유리한지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B를 개발하여 판매하는 과정에서 유통업체는 자신의 PB를 생산하여 공급해 줄 업체를 결정해야 하는데, 이때 유통업체 입장에서는 두 가지 대안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대안은 자신의 NB를 보유하지 않고 주로 유사 관련 제품을 납품하는 하청 제조업체에게 PB의 생산을 위탁하는 것이다. 이 경우 유통업체는 일반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제조업체에게 생산을 위탁하는 셈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공급가와 동시에 불확실한 품질을 기대할 것이다.

가설 설정

  • 유통업체(R)가 PB 제품을 출시하기 전에도 시장에는 이미 NB 제품이 존재하고 있고, 동시에 이 NB 제품의 품질 수준도 결정되어 있다. PB 제품이 출시된다 하더라도 이 NB 제품의 품질 수준은 현실적으로 단기간 안에 변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 NB 제품의 품질 수준은 이전 수준과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PB 제품 출시 후를 분석하기 전에 NB 제품의 품질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NB 제품의 품질 수준을 PB 제품 출시 전의 최적 품질 수준 즉, 균형상태에서의 품질 수준으로 가정한다.
  • 기존의 유통업체가 PB 제품을 신규로 개발하여 판매하기로 결정하였다고 가정하자. PB를 개발하여 판매하는 과정에서 유통업체는 자신의 PB를 생산하여 공급해 줄 업체를 결정해야 하는데, 이때 유통업체 입장에서는 두 가지 대안이 있을 수 있다.
  • 넷째, 본 연구에서 소비자의 선호 분산을 균일 분포로 가정하였지만, 이 제약 역시 비현실적인 가정이다. 물론, 많은 게임 이론 모형에서 이러한 균일선호 분포를 가정하고 있지만, 이러한 균일 분포 가정은 현실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할 위험성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 더불어 기존 연구에서와 같이(예를 들어, [37]) 본 연구는 유통업체와 NB를 보유한 제조업체가 δ와 1-δ의 비율로 PB 제품의 판매 수익을 배분한다고 가정하였다.
  • PB 제품이 출시된다 하더라도 이 NB 제품의 품질 수준은 현실적으로 단기간 안에 변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 NB 제품의 품질 수준은 이전 수준과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PB 제품 출시 후를 분석하기 전에 NB 제품의 품질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NB 제품의 품질 수준을 PB 제품 출시 전의 최적 품질 수준 즉, 균형상태에서의 품질 수준으로 가정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브랜드 1을 NB로, 브랜드 2를 PB로 표현한다면, p1 > p2, s1 > s2로 가정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두 가지 형태의 제조업체의 생산 한계 비용을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두 제조업체의 생산 능력의 차이가 존재할 것으로(NB를 보유한 제조업체의 생산 능력이 더 뛰어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이 생산 능력의 차이 또는 생산 비용 구조의 차이를 반영할 경우 그 차이에 따라 어떻게 다른 결과가 도출되는지를 연구하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 또한, NB를 보유하지 않는 제조업체(M2)의 수익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주된 연구 주제가 아니고, 이중 한계화(double marginalization)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NB를 보유하지 않는 제조업체(M2)의 수익은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NB를 보유한 제조업체가 자신의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NB 제품의 품질과 도매 가격을 결정하며, 유통업체가 자신의 총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NB와 PB 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 유통업체(R)는 기존(에) 판매하던 NB 제품 이외에 자신의 PB를 개발, 출시하여 판매하고자 하는데, 유통업체(R)는 기존 NB를 보유하지 않은 제조업체 (M2)에게 PB의 생산을 위탁하는 경우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NB를 보유한 제조업체(M1)의 NB 품질을 기존의 최적 품질 수준(#)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가정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i의 제품 품질에 대한 민감도 또는 가치화 정도를 θi로 정의하고 이는 구간 [0, 1]에서의 균일 분포(uniform distribution)들 따른다고 가정한다(Hotelling).
  •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체의 NB와 PB의 품질 차이에 따른 변동성을 반영하기 위해 생산 비용이 제품 품질에 따라 변동 한다고 가정하고, 변동 비용 함수로 Tirole[35]과 Moorty[25]의 2차 비용 함수 (k⋅s2, k >0)를 사용하여 제품 품질에 따른 생산 비용의 변동을 반영하였다.
  • [그림 1]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독립된 유통업체(R)와 이를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두 개의 제조업체(M1, M2) 또는 하나의 독립된 제조업체(M1)로 구성된 시장을 고려하였다. 여기서 제조업체 M1은 NB를 보유하고 있으며, M2는 NB를 보유하지 않고 시장 경쟁력이 없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유통업체 R은 PB를 출시하며, 동시에 M1 또는 M2에게 자신의 PB 생산을 위탁하게 된다.
  • 여기서, w1는 NB 브랜드의 도매 가격을 의미하고, 생산 비용 상수(k)는 단순화를 위해 1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πR,1은 유통업체(R)가 NB 로부터 얻는 수익을, πR,2은 유통업체(R)가 PB 로부터 얻는 수익을, πM1,1는 NB를 보유한 제조업체(M1)가 NB 로부터 얻는 수익을, 그리고 πM1,2는 NB를 보유한 제조업체(M1)가 PB를 생산할 경우 이로부터 얻게 되는 수익을 각각 표현한다.
  • 우선 본 연구는 독점적인 유통업체와 제조업체를 가정하였다. 이는 모형 설계를 단순화함으로써 결과의 해석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지만, 현실 적용에 있어서는 다소 무리를 유발할 수 있다.
  • 반대로, [그림 1]의 왼쪽 부분은 NB를 보유하지 않은 제조업체(M2)에게 유통업체가 독립적으로 PB 생산을 위탁한 경우로, 이 경우에는 제조업체의 NB와 유통업체를 위한 생산능력만을 보유한 NB를 보유하지 않은 제조업체에 의해 생산된 PB가 동일한 유통업체를 통해 경쟁하게 된다. 이 경우 NB를 보유하지 않은 제조업체(M2)는 시장 경쟁력이 없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NB를 보유하지 않는 제조업체(M2)와 NB를 보유한 제조업체(M1)과 시장에서 직적접인 경쟁관계를 고려하지 않는다. 즉, NB를 보유하지 않은 제조업체(M2)는 유통업체(R)에게 위탁 받은 PB 제품을 생산가에 공급한다고 가정함으로써 NB를 보유하지 않은 제조업체(M2)를 PB 생산을 위한 단순 생산 요소로서 규정한다.
  • 유통업체가 NB를 보유한 제조업체에게 PB 생산을 위탁할 경우, 제조업체의 PB 공급 전략을 중점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하나의 NB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유통업체가 하나의 제조업체를 선택하여 새로이 PB를 출시하여 경쟁하게 되는 단순화된 상황을 고려한다. 이에 시장에는 하나의 제조업체(M1)가 NB를 생산하고 유통업체(R)가 NB를 판매하고 있으며, 유통업체가 향후 생산을 위탁/하청을 줄 수 있는 시장 경쟁력이 없이 생산 능력만을 보유한 NB를 보유하지 않은 제조업체(M2)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 가정 하에 유통업체(R)가 PB를 출시할 경우 유통업체(R)의 선택에 따라 [그림 1]과 같이 두 가지 시장 경쟁 구조를 고려할 수 있다.
  • 이전과 마찬가지로 기존 NB를 보유한 제조업체(M1)의 NB 품질을 기존의 최적 품질 수준(#)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가정한다.
  • , k >0)를 사용하여 제품 품질에 따른 생산 비용의 변동을 반영하였다. 이전의 연구들과 같이(예를 들어, [7, 13, 28, 30, 31, 36]) 본 연구에서는 PB 제품의 경우, 유통 과정에서 이중 한계화(double marginalization)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여 유통업체는 PB 제품을 생산가에 구입한다고 가정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PB 제조업체(본 연구에서는 NB를 보유하지 않은 제조업체)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경쟁력과 협상력이 거의 없어 PB 제품에 대해 이중 한계화(double marginalization)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이 비현실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13].
  • 본 연구에서는 시장에 제품 품질에 대한 이질적인 선호도를 가지는 소비자들의 분포를 고려한다. 즉, 제품 품질에 대해 서로 다른 선호(preference) 정도 또는 가치화(valuation) 정도를 가진 소비자들로 시장이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예를 들어, 치약의 미백 효과에 대한 선호 또는 가치화 정도는 소비자들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i의 제품 품질에 대한 민감도 또는 가치화 정도를 θi로 정의하고 이는 구간 [0, 1]에서의 균일 분포(uniform distribution)들 따른다고 가정한다(Hotellin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B의 양적 성장과 채널 및 품목의 다양화가 제조업체에 미치는 영향은? 뿐만 아니라, PB의 유통 채널 역시 대형마트 뿐만 아니라 백화점,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 편의점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으며, 제품 카테고리 역시 초기에는 주로 생필품에 국한되었으나 점차 의류, 신발, 가전 제품 등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2]. 이러한 PB의 양적 성장과 채널 및 품목의 다양화는 독립 브랜드로 제품을 생산하여 유통업체에 공급하는 제조업체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유통업체 브랜드가 큰 성장을 이루는 이유는? 최근 들어, 유통업체 브랜드(이하 Private Brand, PB)는 가격 대비 품질을 무기로 하여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와 같은 국내 대형 할인점에서 PB의 매출 비중은 20%~25%에 이르고 있으며[1], 이러한 비중은 향후 30% 이상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는 등 PB의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14].
유통업체 브랜드의 유통 채널은 어떻게 확장해가고 있는가?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와 같은 국내 대형 할인점에서 PB의 매출 비중은 20%~25%에 이르고 있으며[1], 이러한 비중은 향후 30% 이상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는 등 PB의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14]. 뿐만 아니라, PB의 유통 채널 역시 대형마트 뿐만 아니라 백화점,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 편의점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으며, 제품 카테고리 역시 초기에는 주로 생필품에 국한되었으나 점차 의류, 신발, 가전 제품 등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2]. 이러한 PB의 양적 성장과 채널 및 품목의 다양화는 독립 브랜드로 제품을 생산하여 유통업체에 공급하는 제조업체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도일, 여화영, 이승희, "유통업자상표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제조업자상표와의 상대적 차이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제16권, 제2호(2011), pp.113-135. 

  2. 박효현, 이종호, "유통업체 브랜드와 제조업체 브랜드 제휴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제품관여도와 조절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제14권, 제2호 (2009), pp.17-36. 

  3. 박효현, 정강옥, 이승창, "제조업체의 PB 의존성과 유통업체와의 장기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마케팅 연구, 제26권, 제4호(2011), pp.77-106. 

  4. 박종철, 홍성준, 박명진, "유통업체 브랜드의 표기형태가 품질지각에 미치는 영향:유통업체 브랜드 지식과 사용여부의 역할", 마케팅 연구, 제23권, 제4호(2008), pp.51-70. 

  5. 임동준, 김경임, "대형마트 PB 전쟁 어디로 튈까", 더바이어, 제52권(2007), pp.1-4. 

  6. 임영진, 최선경, 이재은, "유통업체 브랜드(Private Brand:PB) 제품의 확장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경영학회, 제14권, 제4호(2011), pp.83-102. 

  7. 정 환, "수직적으로 차별화된 제품 카테고리 내에서 소매상의 스토어 브랜드 제품군 디자인 및 제품구색에 대한 의사결정",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6권, 제3호(2011), pp.107-120. 

  8. 최경운, "제조업체의 유통업체 브랜드 대응전략", LG Business Insight, (2007), pp.53-60. 

  9. Ailawadi, K.L. and B. Harlam.,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Retail Margins:The Role of Store-Brand Share," Journal of Marketing, Vol.68, No.1(2004), pp. 147-165. 

  10. Ailawadi, K.L., Scott A.N., and Karen G., "Pursuing the Value Conscious Consumer: Store Brands versus National Brand Promo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65, No.1 (2001), pp.71-89. 

  11. Chen, J., O. Narasimhan, G. John, and T. Dhar,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Private Label Supply by National Label Producers," Marketing Science, Vol.29, No.4(2010), pp. 738-755. 

  12. Connor, J.M. and E.B. Peterson, "Market- Structure Determinants of National Brand- Private Label Price Difference of Manufactured Food Products,"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Vol.40, No.2(1992), pp.157- 171. 

  13. Du, R., E. lee, and R. Staelin, "Bridge, Focus, Attack, or Stimulate:Retail Category Management Strategies with a Store Brand," Quantitative Marketing and Economics, Vol.3 (2005), pp.393-418. 

  14. Dunne, D. and C. Narasimhan, "The New Appeal of Private Labels," Harvard Business Review, (1999), pp.41-52. 

  15. Gajanan, S., S. Basuroy, and S. Beldona, "Category management, product assortment, and consumer welfare," Marketing Letters, Vol. 18, No.3(2007), pp.135-148. 

  16. Gomez, M. and N.R. Benito, "Manufacturer's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he Choice of Producing Store Brand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42, No.1/2(2008), pp.154- 177. 

  17. Harvey, M., J.T. Rothe, and L.A. Lucas, "The Trade Dress Controversy,"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Vol.6, No.2 (1998), pp.1-15. 

  18. Kumar, N., S. Radhakrishnan, and R.C. Rao, "Private Label Vender Selection in a Supply Chain:Quality and Clientele Effects," Journal of Retailing, Vol.86, No.2(2010), pp.148- 158. 

  19. Kumar, N., J.-B.E.M. Steenkamp, Private Label Strategy:How to Meet the Store Brand Challen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Cambridge, MA, 2007. 

  20. Levy, M. and B.A. Weitz, Retailing Management, McGraw-Hill, Irwin, 2006. 

  21. Lusch, R.F. and J.R. Brown, "Interdependency, Contracting, and Relational Behavior in Marketing Channels," Journal of Marketing, Vol. 60, No.4(1996), pp.19-38. 

  22. McGuire, T.W. and R. Staelin, "An Industry Equilibrium Analysis of Downstream Vertical Integration," Marketing Science, Vol.2, No.2(1983), pp.161-191. 

  23. Michael, R.H., A.K. Dennis, and D.D. Lee, "Review of literature-Future research suggestions: Private label brands:Benefits, success factors and future research," Brand Management, Vol.17, No.5(2010), pp.368-389. 

  24. Mills, D.E., "Why Do Retailers Sell Private Label?," Journal of Economics and Management Strategy, Vol.4, No.3(1995), pp.509-528. 

  25. Moorthy, K.S., "Product and Price Competition in a Duopoly," Marketing Science, Vol.7, No.2(1988), pp.141-168. 

  26. Narasimhan, C. and R. Wilcox, "Private Labels and the Channel Relationship:A Cross- Category Analysis," Journal of Business, Vol.71, No.4(1998), pp.573-600. 

  27. Quelch, J.A. and D. Harding, "Brands versus private labels:Fighting to win," Harvard Business Review, (1996), pp.99-109. 

  28. Raju, J.S., R. Sethuraman, and S.K. Dhar, "The Introduction and Performance of Store Brands," Management Science, Vol.41, No.6 (1995), pp.957-978. 

  29. Rubio, N. and M.J. Yague, "Store Brand Management and Channel Dependence:A Model from the Manufacturer's Perspective," Journal of Brand Management, Vol.15, No.4 (2008), pp.272-290. 

  30. Sayman, S., S.J. Hoch, and J.S. Raju, "Positioning of Store Brands," Marketing Science, Vol.21, No.4(2002), pp.378-397. 

  31. Scott-Morton, F. and F. Zettlemeyer, "The Strategic Positioning of Store Brands in Retailer- Manufacturer Negotiations," Review of Industrial Organization, Vol.24(2004), pp.161-194. 

  32. Shapiro, E., "Price Lure of Private Label Products Fails to Hook Buyers of Baby Food, Beer," Wall Street Journal, Vol.13(2002). 

  33. Tarzijan, J., "Strategic Effects of Private Labels and Horizontal Integration,"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and Consumer Research, Vol.14, No.3(2004), pp.321-335. 

  34. Timmor, Y. and S. Zif, "A Typology of Marketing Strategies for Export," Journal of Global Marketing, Vol.18, No.3/4(2005), pp.37-78. 

  35. Tirole, J., The Theory of Industrial Organization, MIT Press, Cambridge, MA, 1988. 

  36. Vandenbosch, M.B. and C.B. Weinberg., "Product and Price Competition in a Two-Dimensional Vertical Differentiation Model," Marketing Science, Vol.14, No.2(1995), pp.224-252. 

  37. Wu, C.C. and C.J. Wang, "A Positive Theory of Private Label:A Strategic Role of Private Label in a Duopoly National-Brand Market," Marketing Letters, Vol.16, No.2(2005), pp. 143-16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