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위암 환자의 우울과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in Stomach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6, 2012년, pp.588 - 596  

김정혜 (서울아산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in stomach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t outpatient clinic.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Ninety two subjects diagnosed with stomach cancer and receiving chemotherapy agreed to particip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외래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위암 환자의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외래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위암 환자의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우울에 대한 심리사회적 간호중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외래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위암 환자의 우울과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심리사회적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외래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위암 환자의 우울과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외래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위암 환자의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S구 소재 1개 3차 의료기관의 종양내과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위암 환자 92명을 대상으로 증상경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우울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시 S구 소재 1개 3차 의료기관의 임상연구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연구계획서에 따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피험자에게 동의서를 통해 설명하며,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 등을 알고 동의서를 작성한 대상자만 연구에 참여할 수 있고 지원자는 연구 중 언제라도 자유의사에 의해 연구를 종료할 수 있음을 알려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은 무엇인가? 우울 환자의 경우 유의한 체중감소, 식욕부진, 불면증, 과다 수면, 정신운동 지연, 초조, 피로, 활력의 상실과 같은 신체적인 증상과 심리적으로는 가치 없다는 느낌, 과도한 죄책감, 기억력이나 집중력의 감소, 삶의 질 감소, 죽음이나 자살에 대한 집착 등이 나타날 수 있다(Kang & Namkoong, 2007). 특히, 자살과 직결되는 경우 치명적일 수 있어 세심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위암이 초기에 발견된 경우 어떻게 치료하는가? 위암은 초기에 발견된 경우 위내시경을 통한 위점막 절제술을 시행하거나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을 받게 된다. 하지만, 다른 부위의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수술의 적응증이 되지 않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다.
위암이 다른 부위에 전이가 있는 경우 어떻게 치료를 시행하는가? 위암은 초기에 발견된 경우 위내시경을 통한 위점막 절제술을 시행하거나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을 받게 된다. 하지만, 다른 부위의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수술의 적응증이 되지 않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다. 또한, 수술 후 초기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조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dura, 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 191-215. 

  2. Bowers, L., & Boyle, D. A. (2003). Depress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7 (3), 281-288. 

  3. Boyajian, R. (2010). Depression's impact on survival in patients with cancer.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4 (5), 649-652. 

  4. Chon, K. K., & Rhee, M. K. (1992).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1 , 65-76. 

  5.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5), 300-313. 

  6. Fulcher, C. D., Badger, T., Gunter, A. K., Marrs, J. A., & Reese, J. M. (2008). Putting Evidence Into $Practice^{(R)}$ : Intervention for depression.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2 (1), 131-140. 

  7. Kang, J. I., & Namkoong, K. (2007). Psychosocial aspects and mental health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stric Association, 46 (5), 421-429. 

  8. Kim, J. H. (2012). A model for medication adherenc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oral chemotherap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9. Kim, H. Y. (2009). A structural model for psychosocial adjustment in early breast cancer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0. Kim, G. D., & Kim, K, H. (2011). Symptom cluster a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t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 (5), 434- 445. 

  11. Kim, S. J., Rha, S. Y., Song, S. K., Namkoong, K., Chung, H, C. Yoon, S. K., et al. (2011).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korean cancer patient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33 , 246-252. 

  12. Korea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9). Cancer statistics. Retrieved August 20, 2012, from http://www. cancer.go.kr/cms/statics/incidence/index.html. 

  13. Korea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8). Recommendations for distress managemenet in cancer patients. Retrieved September 28, 2012, from http://www.cancer. go.kr/ncic/cics_g/cics_g02/cics_g027/1389214_6065.html. 

  14. Lee, E. O., Eom, A., Song, R., Chae, Y. R., & Lam, P. (2008). Factors infuenc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neoplas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5), 649-655. 

  15. Lenz, E. R., Suppe, F., Gift, A. G., Pugh, L. C., & Milligan, E. A. (1995).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middle-range nursing theories: Toward a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7 (3), 1-13. 

  16. McMillan, S. C., Tofthagen, C., & Morgan, M. A. (2008). Relationships among pain, sleep disturbances, and depressive symptoms in outpatients from a comprehensive cancer center. Oncology Nursing Forum, 35 (4), 603- 611. 

  17. Miaskowski, C., Cooper, B. A., Paul, S. M., Dodd, M., Lee, K., Aouizerat, B. E., et al. (2006). Subgroups of patients with cancer with different symptom experiences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A cluster analysis. Oncology Nursing Forum, 33 (5), 79-89. 

  18. Mystakidou, K., Parpa, E., Tsilika, E., Gogou, P., Panagiotou, I., Galanos, A., et al. (2010). Self-efficacy, depression, and physical distress in males and females with cancer.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27 (8), 518-525. 

  19.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2013). Distress management. Retrieved September 28, 2012, from http://www. nccn.org/professionals/physician_gls/f_guidelines.asp#s upportive. 

  20. Oh, H. S. (1993).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women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 (4), 617-630. 

  21. Park, J. H. (2002). Patterns and related factors of fatigue during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Yonsei University, Seoul. 

  22. Payne, J. K., Piper, B. F., Rabinowitz, I., & Zimmerma, M. B. (2006). Biomarkers, fatigue, sleep, and depressive symptom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 pilot study. Oncology Nursing Forum, 33 (4), 775-783. 

  23. Radloff, L. S. (1977) The CES-D: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24. Sahin, Z. A., & Tan, M. (2012). Lonelin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f 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caregiver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6 (2), 145- 149. 

  25. Samarel, N., Leddy, S. K., Greco, K., Cooley, M. E., Torres, S. C., Tulman, L., et al. (1996).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symptom experience scal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12, 221-228. 

  26. Satin, J. R., Linden, W., & Phillips, M. J. (2009). Depression as a predictor of disease progression and mortality in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Cancer, 115 , 5349-5361. http:// dx.doi.org/10.1002/cnr.24561. 

  27. Sherbourne, A. D., & Stewart, A. L. (1991).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2 (6), 705- 714. 

  28.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 663- 671. 

  29. Son, H. G., Kim, S. H., & Sohn, S. K. (2007).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hemato malignancy receiv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7 (1), 14-25. 

  30. Tavoli, A., Mohagheghi, M. A., Montazeri, A., Roshan, A., Tavoli, Z., & Omidvari, S. (2007).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Does knowledge of cancer diagnosis matter? BMC Gastroenterology, 7 (28), 1-6. http://dx.doi.org/10.1186/1471-230X-7-28.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