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across the Lifespan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5 no.2, 2012년, pp.73 - 82  

강미경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명숙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강문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오경옥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권종선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이선현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MHRQoL) in adults across the lifespan. Methods: A total of 688 Korean adults aged 19 years and older were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by personal interviews or self report using 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9~89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우울 및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을 조사하여 관련변수와의 관계와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 관하여 규명하였다.
  • 본 연구는 성인의 생애주기 별 스트레스, 우울, 주관적 건강 상태 및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생애주기별(성인초기, 중년기, 노년기)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영향요인들을 분석하여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성인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의 정도와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성인기를 성인초기, 중년기, 노년기로 분류하여 스트레스, 우울, 주관적 건강 상태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토대로 정신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정도와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성인을 위한 통합적인 정신건강교육과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인기란? 성인기는 생애주기에서 가장 긴 시기로 청소년기 동안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친밀감과 생산성을 성취해 나가면서 인생의 긍정적 통합을 준비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건강 문제는 노년기로까지 연결되므로 성인기의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어떻게 나눌 수 있나? 이러한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부담은 성인의 신체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위해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은 건강에 직접적으로 연관 되어 개인이 느끼는 삶의 질로 신체적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로 나눌 수 있다.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이란 주관적 안녕감으로 심리적 감정적 상태를 말하며 활력, 정신건강, 사회적 기능상태, 정서적 역할제한이 포함된다(Ware & Sherboune, 1992).
최근 성인기에 겪는 스트레스는? 이 시기의 건강 문제는 노년기로까지 연결되므로 성인기의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최근 급격한 사회와 경제적인 변화로 인해 성인들은 새로운 변화에 대한 재적응과 그에 따른 역할부담, 자녀교육의 책임, 경제적 문제, 직장 내 경쟁 등으로 심각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Ahn, 2006). 이러한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부담은 성인의 신체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위해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B. R. (2006).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middle-aged employees for their retired liv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2. An, H. M. (2010). Fa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Korea male and female adults according to life cycle: By using 4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 Chang, S. J. (2000). Standardization of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statistics data. Seoul: Gyecheukmunhwasa. 

  4. Gillis, A., & Perry, A. (1991).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mid-life wom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6 (3), 299-310. 

  5. Han, M. A., Kim, K. S., Park, J., Ryu, S. Y., & Kang, M. G. (2008). Psychosocial stress levels and related factors in some rural resi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33 (1), 46-58. 

  6. Han, C. W., Lee, E. J., Iwaya, T., & Kataoka, H. (2004).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short-form 36-item health survey: Health related QOL of healthy elderly people and elderly patients in Korea. The Tohoku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203, 189-194. 

  7. Han, M. A., Ryu, S. Y., Park, J., Kang, M. G., Park, J. K., & Kim, K. S. (2008).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by the EuroQol-5D in some rural adult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1 (3), 173-180. 

  8. Han, K. S., & Choo, J. A. (2009).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and its correlates across life cycles of city-dwelling adul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 (4), 474-482. 

  9. Hwang, M. H. (2000). A model of self-care and well being of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eagu. 

  10. Jun, E. M., & Cho, D. S. (2005). The relationship of symptoms of stress, cancer prevention behavior and the quality of life in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 (2), 156-162. 

  11. Kim, E. H., & Kim, Y. K. (2010).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institutionalized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 (3), 281-290. 

  12.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Population movement estimation. Retrieved November 20, 2011,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 Seq250284 

  13. Min, S. Y. (2010). Depress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a community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 (1), 1-10.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201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sults released. Retrieved October 9, 2011,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60484&page1 

  15. Palmore, E., & Luikart, C. (1972). Health and social factor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3 (1), 68-80. 

  16. Park, Y. R., & Son, Y. J. (2009).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 (3), 353-361. 

  17. Shin, M. S., Kim, Z. S., & Park, K. B. (1993). The cut-off score for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2 (1), 71-81. 

  18. Shon, A. R., Kim, T. K., Ryu, E. J., Oh, G. J., & Ahn, D. H. (2010). Mental health and stres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Seoul citizen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 (1), 71-80. 

  19. Sohn, S. Y. (2009).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2), 99-107. 

  20. Song, I. H., & Lee, H. N. (2011).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on self-related heath: Mediating of civil optimism. Seoul Studies, 12 (3), 33-51. 

  21. Speake, D. L., Cowart, M. 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 93-100. 

  22. Yun, J. (1991). Adult.Elder psychology. Seoul: Joongangjuksungchulpansa. 

  23. Ware, J. E., & Sherbourne, C. D. (1992).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30 (6), 473-4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