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생애주기별 자살생각의 위험요인: 한국 사회·심리적 불안 조사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cross the Life Cycle among Korean Adults: Korean Psycho-social Anxiety Surve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9 no.2, 2017년, pp.109 - 118  

이시은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cross the life cycle among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2015 Korean Psycho-social Anxiety Survey. Method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의 국내 연구들은 일부 정신건강 요인만을 포함한 채, 주로 일반적 특성, 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연구이거나[9-11], 국내 일개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만을 대상으로 표집[8,12] 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의 주요 정신건강 요인을 모두 포함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5년도의 한국사회의 사회·심리적 불안 실태조사를 이차 분석한 연구로,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생애주기별 자살생각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대규모 자료를 활용하여 자살생각 위험요인을 파악하였다는 데의의가 있다. 생애주기별로 자살생각 위험요인을 규명한 본 연구결과가 차별화된 중재 프로그램의 제공으로 한국의 높은 자살률 감소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생애주기별 자살생각 위험요인을 규명하여, 한국의 높은 자살률을 줄이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자살생각 위험요인을 살펴보면,스트레스, 우울과 자아존중감은 모든 생애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나, 분노조절과 저학력은 청 · 장년기와 중년기에만 영향을 주었으며, 배우자 유무는 중년과 노년기에 영향을 주었고, 불안은 노년기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한국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생애주기별 자살생각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우선, 본 연구대상자는 생애주기별로 일반적 특성과 정신건강의 모든 변수에서 연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생애주기별 특성이 다름을 의미하며, 각 세대를 구분하여 자살생각 위험요인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 19세 이상의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생애주기별 자살생각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주요 정신건강 요인을 모두 포함하여 성인의 생애주기별 자살생각 위험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하여 자살 예방 중재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자살률의 통계적 특징은 어떠한가? 2014년도 한국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8.7명으로,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국가 평균 12.8명보다 높아, OECD 국가 중 1위를 차지하였다 [1]. 또한, 한국의 자살률은 2000년 인구 10만 명당 16.
자살생각은 무엇인가? 자살생각은 자살을 예측할 수 있는 일차적인 지표로서, 자살계획과 자살시도 단계를 거쳐 실제 자살에 이르게 하는 결정적 요인이 된다[3]. 자살시도 원인에 관한 40개의 문헌을 메타 분석한 연구에서도 자살생각의 효과 크기가 1.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살률이 증가하는 원인은? 7명으로 나타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살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2]. 또한, 연령이 많을수록 스트레스는 적게 느끼는 반면에[9], 자아존중감은 저하되어 있고[8], 불안[16]과 우울 증상을 가진 비율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8] 생애주기를 구분하여 자살생각 위험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즉, 생애주기별로 주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이를 고려한 중재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한국인의 높은 자살률을 줄이는데 효과적일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Society at a Glance 2016 [Internet]. Paris: OECD; 2016 [cited 2016 November 14]. Available from: http://www.oecd-ilibrary.org/social-issues-migration-health/society-at-a-glance-2016_9789264261488-en 

  2. Statistics Korea. 2015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October 29].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aSeq356345&pageNo&rowNum10&amSeq&sTarget&sTxt 

  3. Han B, Compton WM, Gfroerer J, McKeon R.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ast 12-month suicide attempt among adults with past-year suicidal ide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15;76(3):295-302. https://doi.org/10.4088/JCP.14m09287 

  4. Victor SE, Klonsky ED. Correlates of suicide attempts among self-injurers: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14; 34(4):282-97. https://doi.org/10.1016/j.cpr.2014.03.005 

  5. Nock MK, Borges G, Bromet EJ, Alonso J, Angermeyer M, Beautrais A, et al. Cross-nation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plans and attempt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8;192(2):98-105. https://doi.org/10.1192/bjp.bp.107.040113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2011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Epidemiological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December.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national survey on suicide. Policy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March. 

  8. Jang JM, Park JI, Oh KY, Lee KH, Kim MS, Yoon MS, et al.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a community sample: roles of anger,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iatry Research. 2014; 216(1):74-81. https://doi.org/10.1016/j.psychres.2013.12.054 

  9. Kim SY, Jung MY, Kim KN.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by age group among Korean adults: using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2).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4;31(2):1-14. https://doi.org/10.14367/kjhep.2014.31.2.1 

  10. Lee HY, Hahm MI, Park EC. Differential association of socio-economic status with gender- and age-defined suicidal ideation among adult and elderly individuals in South Korea. Psychiatry Research. 2013;210(1):323-8. https://doi.org/10.1016/j.psychres.2013.05.012 

  11. Park EO, Choi SJ.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among Korean adults.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3;22(2):88-96. https://doi.org/10.12934/jkpmhn.2013.22.2.88 

  12. Ra CK, Cho Y. Differentiated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components on suicidal ideation across age groups in South Korea. BMC Public Health. 2013;13:1-8. https://doi.org/10.1186/1471-2458-13-890 

  13. Moon DK. A meta-regression analysis on related triggering variables on the suicidal ideation of older adul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2;55:133-58. 

  14. Brunoni AR, Nunes MA, Lotufo PA, Bensenor IM. Acute suicidal ideation in middle-aged adults from Brazil. Results from the baseline data of the Brazilian Longitudinal Study of Adult Health (ELSA-Brasil). Psychiatry Research. 2015;225(3):556-62. https://doi.org/10.1016/j.psychres.2014.11.047 

  15. Han B, McKeon R, Gfroerer J. Suicidal ideation among community-dwelling adult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4;104(3):488-97. https://doi.org/10.2105/AJPH.2013.301600 

  1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ome causes of the psycho-social anxiety in Korea and how to address them. Research Repor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December. Report No.: 2015-22. 

  17.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p.1-326. 

  18. Je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974;11(1):107-29. 

  19. Chae SM. Psychosocial anxiety and mental health in old ag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6;239:84-96. 

  20. Zung WWK. A rating instrument for anxiety disorders. Psychosomatics. 1971;12(6):371-9. https://doi.org/10.1016/S0033-3182(71)71479-0 

  21. Lee JH.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Zung's self-rating anxiety scale.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1996; 13(2):279-94. 

  22.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3. Kohout FJ, Berkman LF, Evans DA, Cornoni-Huntley J. Two shorter forms of the CES-D depression symptoms index.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993;5(2):179-93. https://doi.org/10.1177/089826439300500202 

  24. Shin JD. National health status in the light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0;170:23-31. 

  2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a national survey on the living status and welfare needs of the aged. Policy Repor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December. Report No.: 11-1352000-001426-12. 

  26. Kumar MB, Walls M, Janz T, Hutchinson P, Turner T, Graham C. Suicidal ideation among Metis adult men and women-associate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inding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Circumpolar Health. 2012;71(1):18829. https://doi.org/10.3402/ijch.v71i0.18829 

  27. Park HJ, Bae JY. Efficient suicide prevention intervention: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3;22(4):273-84. https://doi.org/10.12934/jkpmhn.2013.22.4.273 

  28. Statistics Korea. 2016 social survey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6 November 2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 rd?bmoderead&aSeq357457 

  29. Ra CL, Lee HK. Employment transitions and suicide ideation among echo generation.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3; 23(4):369-75. https://doi.org/10.4332/KJHPA.2013.23.4.369 

  30. Seoul Statistics. 2016 Seoul survey [Internet]. Seoul: Seoul Statistics; 2016 [cited 2017 February 11]. Available from: http://stat.seoul.go.kr/jsp3/news.view.jsp?link1&cd005&srl4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