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쌀의 품종, 쌀의 도정도, 누룩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The Qualities of Makgeolli (Korean Rice Wine) Made with Different Rice Cultivars, Milling Degrees of Rice, and Nuruk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2, 2012년, pp.1785 - 1791  

이윤지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생활과학연구소) ,  이해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생활과학연구소) ,  황금택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생활과학연구소) ,  김동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  김현정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  정창민 (배상면주가) ,  최윤호 (배상면주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분원료의 종류, 쌀의 도정도, 누룩의 종류를 달리하여 담근 막걸리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밀가루는 쌀보다 조지방과 조단백 함량이 높았으며 수분함량은 낮았고, pH 및 총산함량은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주된 유기산은 각각 lactic acid와 succinic acid였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각각 4.0~5.6 mg/mL와 3.5 mg/mL로 쌀로 담근 막걸리의 유기산 함량이 더 많았다.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주된 유리당은 glucose였으며,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76.41~54.53 mg/mL와 67.75 mg/mL로 쌀로 담근 막걸리의 유리당 함량이 더 많았다. 색도는 쌀 품종별로는 차이가 없었으며,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b 값은 양의 값으로 황색이 진했다. 관능평가 결과, 쌀로 담근 막걸리가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보다 기호도 점수가 더 높았다. 쌀의 도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acet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나, pH, 총산, 유리당, 색도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쌀의 도정도는 과실향을 제외한 기호도 점수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통누룩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의 pH는 각각 4.29~4.65와 4.20~4.23으로 전통누룩으로 만든 막걸리의 pH가 더 높았으며, 총 유기산 함량도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3.5~6.3 mg/mL)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2.3~4.3 mg/mL)보다 높았다. 총 유리당 함량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59.44~73.34 mg/mL)가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56.45~59.75 mg/mL)보다 많았다. 색도는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보다 L, a, b 값이 높았으며, 관능적 기호도 점수는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가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쌀로 담근 막걸리가 밀가루로 만든 막걸리에 비해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보이나, 쌀의 품종에 의한 품질 차이는 없었다. 쌀의 도정도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은 향미의 관능적 특성 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도정을 많이 할수록 막걸리의 향미가 좋아졌다. 누룩 종류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분석 결과, 전통 누룩에 비해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의 관능적 특성이 더 좋았다. 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도정도가 높은 쌀을 전분질 원료로 하고 개량누룩을 사용하여 막걸리를 담근다면 품질이 우수한 막걸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ze and compare makgeolli (a Korean rice wine) made using different raw materials. Five cultivars of rice and wheat flour were used as starch materials for makgeolli and assessed for their moisture, crude lipid, crude protein, and crude dietary fiber content. Overall, w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개량누룩과 전통누룩을 함께 비교한 연구 논문도 검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담금 시 쌀의 품종, 쌀의 도정도, 누룩 종류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서로 다른 품종의 쌀로 제조한 막걸리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분원료의 종류, 쌀의 도정도, 누룩의 종류를 달리하여 담근 막걸리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밀가루는 쌀보다 조지방과 조단백 함량이 높았으며 수분함량은 낮았고, pH 및 총산함량은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가설 설정

  • 2)CN : Cultured nuruk. 3)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란 무엇인가? 막걸리는 전분질의 곡물과 누룩, 입국, 효모와 같은 발효제를 이용하여 담근 6∼8%의 알코올 도수를 가진 한국의 전통주이다. 전분질 원료로는 멥쌀(1), 밀가루(2), 보리(3),고구마(4) 등이 사용되며, 곡물의 종류에 따라 색, 향기, 총산, 알코올 생성량 등과 같은 막걸리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5).
막걸리 제조 시 곡물의 전분질은 어떻게 분해되는가? 전분질 원료로는 멥쌀(1), 밀가루(2), 보리(3),고구마(4) 등이 사용되며, 곡물의 종류에 따라 색, 향기, 총산, 알코올 생성량 등과 같은 막걸리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5). 곡물의 전분질은 누룩에 포함된 다양한 곰팡이, 효모,젖산균과 같은 미생물들이 만들어내는 효소에 의해 아미노산, 유기산, 유리당, 비타민, 방향물질 등으로 분해된다(6,7). 쌀을 사용하여 막걸리를 담글 때는 도정도가 높은 쌀을 주로 사용한다.
막걸리의 전분질 원료로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막걸리는 전분질의 곡물과 누룩, 입국, 효모와 같은 발효제를 이용하여 담근 6∼8%의 알코올 도수를 가진 한국의 전통주이다. 전분질 원료로는 멥쌀(1), 밀가루(2), 보리(3),고구마(4) 등이 사용되며, 곡물의 종류에 따라 색, 향기, 총산, 알코올 생성량 등과 같은 막걸리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5). 곡물의 전분질은 누룩에 포함된 다양한 곰팡이, 효모,젖산균과 같은 미생물들이 만들어내는 효소에 의해 아미노산, 유기산, 유리당, 비타민, 방향물질 등으로 분해된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JS, Lee TS, Choi JY, Lee DS. 1996.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non-glutinous rice T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Soc 39: 249-254. 

  2. Kim JY, Yi YH. 2008. pH,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total sugar, alcoho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wheat flour takju during fermentation. Food Eng Prog 12: 71-77. 

  3. Choi KH, Kim DC, Seo BI, Chung KT. 1977. Studies on the takju brewing with polished barley. Korean J Mycol 5: 21-26. 

  4. Chung CH. 1965. The study on the brewing Takju used sweet potato as source material. The comparison with the components of fermented mash brewed with sweet potato and rice as source material. Agric Sci Technol Res 3: 193-199. 

  5. Lee SR. 1986. Korean fermented foods. Ewha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211-301. 

  6. Lee JH, Yu TS. 2000.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Nuruk. Korean J Biotechnol Bioeng 15: 359-365. 

  7. Kim JY, Kim D, Park P, Kang HI, Ryu EK, Kim SM. 2011.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on the biogenic amine content and microflora in Korean turbid rice wine, Makgeolli. Food Chem 128: 87-92. 

  8. Kim KS, Kim HS, Oh MS, Hwang IK. 2005. Food and cookery science. Soohaksa, Seoul, Korea. p 85. 

  9. Aramaki I, Kanda R, Kikunaga Y, Yoshii M, Iwata H, Okuda M, Koseki T, Ogawa M, Kumamaru T, Sato H, Hashizume K. 2004. Pasting and gelatinization properties endospermmutant rice grains having a white core (shinpaku) and analysis of their suitability for sake brewing. J Brew Soc Jpn 99: 189-201. 

  10. Lee JS, Lee TS, Park SO, Noh BS. 1996.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16-323. 

  11. Han EH, Lee TS, Noh BS, Lee DS. 199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12. So MH, Lee YS, Han SH, Noh WS. 1999. Analysis of major flavor compounds in Takju mash brewed with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 Nutr 12: 421-426. 

  13.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Methods 930.15, 963.15, 979.09. 

  14. Korea National Tax Service Liquor Analysis Regulation. 2010.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Korea. p 6-42. 

  15. Jeong JW, Park KJ, Kim MH, Kim DS. 2006. Changes in quality of spray-dried and freeze-dried takju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13-520. 

  16. Jeong JW, Park KJ, Kim MH, Kim D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fermentation by addition of chestnut peel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329-336. 

  17. Cheigh HS, Kim SK, Pyun YR, Kwon TW. 1978. Kinetic studies on cooking of rice of various polishing degre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52-56. 

  18. Eun JB, Jin TY, Wang MH. 2007. The effect of waxy glutinous rice degree of milling on the quality of J inyang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46-551. 

  19. Lee HG. 2006. Food composition table. 7th Rev. Korea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Korea. p 20. 

  20. Song JC, Park HJ, Shin WC. 1997. Change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95-900. 

  21. Lee SA, Park HD. 1995. Effect of ground rice particle size on the brewing of uncooked rice Takju.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 Products 2: 269-276. 

  22. Lee SM, Lee TS. 2000.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 Sci 12: 71-79. 

  23. Lee WY, Rhee CH, Woo CJ. 2004.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brewing of Chungju (Sambaekju) supplemented with dried persimmon and Cordyceps sinensis. Korean J Food Preserv 11: 240-245. 

  24.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2012. Criteria of alcohol quality certification. http://www.naqs.go.kr/notice/notice_08_tot_list.jsp. accessed on 7.13.2012 

  25. Park CW, Jang SY, Park EJ, Yeo SH, Kim OM, Jeong YJ. 2011.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akgeolli type in south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 884-890. 

  26. Choi SH, Kim, OK, Lee MW. 1992. A study on th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alcohols and organic acids during Takju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272-278. 

  27. Lee SJ, Kim JH, Jung YW, Park SY, Shin WC, Park CS, Hong SY, Kim GW. 2011.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06-212. 

  28. Lee JS, Lee TS, Noh BS, Park SO. 1996.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30-336. 

  29. Rhee SJ, Lee Jetty CY, Kim KK, Lee CH. 2003. Comparison of the traditional (Samhaeju) and industrial (Chongju) rice wine brewing in Korea. Food Sci Biotechnol 12: 242-247. 

  30. So MH, Lee YS, Noh WS. 1999.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 Nutr 12: 427-4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