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금유형에 따른 쌀 막걸리 술덧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Makgeolli$ Prepared by Mashing Typ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2, 2012년, pp.207 - 215  

박찬우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장세영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박은지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여수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발효이용과)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쌀 막걸리의 발효제 종류 및 배합비율에 따른 담금유형을 설정하고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알코올 함량은 담금 (C)형이 13.6%로 가장 높았으며, (D)형 13.5%, (A)형 13.1%, (B)형 12.9% 및 (E)형 12.7% 순이며, 담금 (F)형에서 12.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발효 후 당도는 담금 (A)-(E)형은 약 $8.6^{\circ}Bx$로 비슷하였으나 담금 (F)형에서는 $5.4^{\circ}Bx$로 낮게 나타났다. 적정산도는 발효 중 큰 변화는 없었으며, pH는 담금 (A)-(E)형에서는 pH 3.8-3.9, 담금 (F)형에서 pH 4.16으로 조금 높게 나타났다. 환원당 함량은 담금 (A)형에서 401.6 mg%로 가장 높았으며, 담금 (B)-(E)형에서는 337.3-380.9 mg%, 담금 (F)형에서는 119.2 mg%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알코올 성분 중 methanol, 1-propanol, 2-methyl-1-propanol 및 iso-amylalcohol이 검출되었으며, 발효 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올리고당 함량은 담금 (D)형에서 1251.27 mg%로 가장 높았으며, (E)형 1,219.2 mg%, (C)형 1,141.4 mg%, (A)형 1,049.9 mg%, (B)형 973.8 mg% 순이며, (F)형에서는 608.0 mg%로 가장 낮았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담금 (B)형에서 781.4 mg%로 가장 높았으며, (C)형 703.2 mg%, (D)형 702.6 mg%, (E)형 678.7 mg%, (A)형 630.4 mg% 및 (F)형 328.7 mg% 순으로 나타났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담금 (A)와 (B)형은 16종, (C)형 15종, (D)형과 (E), (F)형은 14종이 검출되었다. 전반적 기호도는 담금 (A)형과 (C)형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쓴맛이 강한 (D)형과 (E)형, 단맛이 적은 (F)형에서는 전반적인 기호도 수치가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x different mashing types ((A) $koji$+purified enzyme, (B) $koji$+crude enzyme, (C) $koji$+$nuruk$, (D) $koji$+purified enzyme+$nuruk$, (E) $koji$+crude enzyme+$nuruk$, (F) purified enzyme+$nuruk$)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쌀 막걸리의 담금 공정, 원료 배합 및 발효제(입국, 누룩, 조효소제 및 정제효소제) 종류에 따른 배합비율과 함량을 달리한 6가지 유형의 담금을 설정하여 막걸리 술덧을 제조하여 각각의 품질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쌀 막걸리의 발효제 종류 및 배합비율에 따른 담금유형을 설정하고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알코올 함량은 담금 (C)형이 13.
  • 이상의 결과로 발효제인 입국, 정제효소제를 사용한 담금 (A) 형과 입국, 누룩을 사용한 (C)형을 쌀 막걸리 담금유형으로 설정하였고 향후 담금 조건에 따른 효모종류별 실험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전통주류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우리나라의 전통주류로는 탁주, 약주, 소주, 재제주 등 여러 종류의 술이 있으나, 이 중 탁주라고 불리는 막걸리는 감미, 산미, 고미, 신미, 삽미의 오미가 고루 조화된 특유의 지미와 청량미를 지닌 우리 고유의 발효주이다(1). 막걸리는 전분질 원료와 발효제를 주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덧을 혼탁하게 제성한 것을(2) 그대로 걸러서 음용하므로 생효모, 비타민 B군 및 lysine 등의 필수 아미노산을 비롯한 glutamic acid, proline, glutathion 등을 함유하여 다른 주류보다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3).
탁주라고 불리는 막걸리는 다른 주류보다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이유는? 우리나라의 전통주류로는 탁주, 약주, 소주, 재제주 등 여러 종류의 술이 있으나, 이 중 탁주라고 불리는 막걸리는 감미, 산미, 고미, 신미, 삽미의 오미가 고루 조화된 특유의 지미와 청량미를 지닌 우리 고유의 발효주이다(1). 막걸리는 전분질 원료와 발효제를 주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덧을 혼탁하게 제성한 것을(2) 그대로 걸러서 음용하므로 생효모, 비타민 B군 및 lysine 등의 필수 아미노산을 비롯한 glutamic acid, proline, glutathion 등을 함유하여 다른 주류보다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3). 막걸리 담금용 발효제는 술덧의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누룩과, 1940년대를 전후하여 사용되기 시작하여 점차 사용량이 증가된 입국, 1960년대 이후로 사용하게 된 분국 및 1970년대에 개발되어 간편하게 이용되는 효소제로서 만들어진 효소표품 등이 발효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4).
탁주라고 불리는 막걸리는 어떤 술인가? 우리나라의 전통주류로는 탁주, 약주, 소주, 재제주 등 여러 종류의 술이 있으나, 이 중 탁주라고 불리는 막걸리는 감미, 산미, 고미, 신미, 삽미의 오미가 고루 조화된 특유의 지미와 청량미를 지닌 우리 고유의 발효주이다(1). 막걸리는 전분질 원료와 발효제를 주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덧을 혼탁하게 제성한 것을(2) 그대로 걸러서 음용하므로 생효모, 비타민 B군 및 lysine 등의 필수 아미노산을 비롯한 glutamic acid, proline, glutathion 등을 함유하여 다른 주류보다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Lee TS, Han EH.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uing Rhizopus japonicus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91-698 (2000) 

  2. Kim AR, Lee SY, Kim KBWR, Song EJ, Kim JH. Effect of Glycryrrhiza uralensi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94-200 (2008) 

  3. Lee TA, Han EH.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oryzae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66-372 (2001) 

  4. Lee HS. Quality characteristic of takju using different kinds of yeast.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07) 

  5. So MH. Aptitudes for takju brewing of wheat flour-nuruks made with diffrent mold species. Korean J. Food Nutr. 8: 6-12 (1995) 

  6. So MH. Cultural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saccharogenic amylase during rice-koji making by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i. Korean J. Food Nutr. 6: 294-300 (1993) 

  7. So MH, Lee YS, Noh WS. Changes in microorganism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Food Nutr. 12: 226-232 (1999) 

  8. Lee SJ, Ahn BH. Sensory profiling of rice wines made with nuruks using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19-123 (2010) 

  9. Han EH, Lee TS, Noh BS, Lee DS.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1997) 

  10. So MH, Lee YS, Noh WS. Improvement in the quality takju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 427-432 (1999) 

  11. So MH.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the combined use of Aspergillus kawachii and Aspergillus oryzae. Korean J. Food Nutr. 4: 115-124 (1991) 

  12. Shon SK, Rho YH, Kim HJ, Bae SM. Takju brewing of uncooked rice starch using Rhizopus koji.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 18: 506-510 (1990) 

  13. Lee JS, Lee TS, Noh BS, Park SO.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30-336 (1996) 

  14. Kim IH, Park WS, Koo YJ.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with different nuruk input step and treatment of rice and nuruk. Korean J. Dietary Culture 11: 339-348 (1996) 

  15. Yeo SH, Jeong YJ. Current trends and development a plan in the Korean makgeolli industry. Food Sci. Ind. 43: 55-64 (2010) 

  16. NTS. Korea National Tax Service Liquor Analysis Regulation.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Seoul, Korea. pp. 62-66 (2008) 

  17. Luchsinger WW, Cornesky RA. Reducing power by the dinitrosalicylic acid method. Anal. Biochem. 4: 346-347 (1962) 

  18. Shin JS, Jeong YJ.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of brown rice using raw starch digesting enzy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81-387 (2003) 

  19. Oh SL, Kim SS, Min BY, Chung DH.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6-81 (1990) 

  20. SAS. SAS User's Guide Statistics. 3th ed.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Cary, NC, USA (1998) 

  21. Kim CJ, Kim KC, Kim DY, Oh MJ, Lee SK, Lee SO, Chung ST, Chung JH. Fermentation Technology. Sunjinmunwhasa, Seoul, Korea. pp. 79-103 (1990) 

  22. Lee SM, Lee TS.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 Sci. 12: 71-79 (2000) 

  23. Jeong YJ, Lee JM, Kim JH. Change in the quality of takju fermentation with uncooked material. Dongguk College Keum-Gu Non Chong 2: 159-169 (1995) 

  24. Park CS, Lee TS. Quality characteristic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2002) 

  25. KFIA. Food Code.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194 (2002) 

  26. IMT. Official methods of Miso Analysis. Institute of Miso Technologists, Tokyo, Japan. pp. 1-34 (1968) 

  27. Yuda J. Volatile components from beer fermentation. J. Soc. Brew Japan 71: 818-830 (1976) 

  28. KFIA. Food Code.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330 (1989) 

  29. Yoo JW, Choo GY, Rho SG, Kim TY, Cho SY, Kim SJ. Adsorption and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maltooligasaccharides. J. Korean Ind. Eng. Chem. 14: 787-792 (2003) 

  30. Lee WK, Kim JR, Lee MW. Studies on the changes in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of takju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strains. J. Korean Agric. Chem. Soc. 30: 323-327 (1987) 

  31. Lee JS, Lee TS, Choi JY, Lee DS.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nonglutinous rice t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9: 249-254 (1996) 

  32. Lee TS, Choi JY.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Korea J. Food Sci. Technol. 30: 638-643 (1998) 

  33. Han EH, Lee TS, Noh BS, Lee DS.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1997) 

  34. O'Neil MJ (eds). Merck Index: In an Encyclopedia of Chemicals, Drugs and Biologicals. 12th ed. Merck Co. Inc., Whitehouse Station, NJ, USA. p. 1130, 1270, 552, 547, 1129, 737, 88, 97, 149, 326, 8, 243, 220, 752 (1992) 

  35. Anonymous. Encyclopedia CHIMICA. Kyolis Publishing & Printing Co., Ltd., Tokyo, Japan. Vol 11, p. 847, 110, 811; Vol 2, p. 481 (19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