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 광산배수 내 미세부유물질 및 용해성 중금속의 제거를 위한 침전 및 여과 공법에 관한 연구
Settling and Filtering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Fine Suspended Solids and Soluble Heavy Metals in H Mine Drainage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7 no.6, 2012년, pp.102 - 111  

오민아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  김원기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  김덕민 (한국광해관리공단 광해기술연구소) ,  이상훈 (가톨릭대학교 환경공학전공) ,  이재영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ne suspended solids generated effluence from treatment process of mine drainage could destroy environment as the aesthetic landscapes, and depreciate water qual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cused on process development applied the actual field for controlling fine suspended s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산배수 내 미세부유물질이 효과적으로 침전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시간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광산배수의 침전조 내 체류시간은 초기 0시간부터 1, 3, 6, 10, 24, 48시간으로 조정하였으며, 각각의 체류시간 동안 정치한 후 침전조 방류수의 부유물질 농도 및 탁도를 측정하였다.
  • 일반적으로 온도가 감소하면 물의 점성력이 높아져 입자가 느리게 침강하고, 따라서 침전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ckenfelder, 1989). 따라서 광산배수의 수온과 미세부유물질의 침전효율에 대한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여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겨울철의 침전효율 저하를 가늠해 보고자 하였다. 광산배수의 온도는 대기 중의 온도와 평형을 이루는 것으로 가정하고, 대기 중의 기온을 4, 6, 12, 18, 24, 28℃로 조정한 후 앞서 수행된 실험으로 도출된 최적 체류시간이 경과한 후 침전조 방류수의 부유물질 농도 및 탁도(HI-93703, Hanna, USA)를 측정하였다.
  • ,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광산지역의 주 오염물질로 분류되지 않아 정화에서 도외시되던 미세부유물질을 제거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연구하는 동시에 일반적으로 광산배수 내에서 용해되어 존재하다 유속이 느려지는 수계하류의 산화환경에서 침전되어 옐로우보이 등(Lee et al., 2008a)의 현상을 유발하는 용해성 철, 망간을 비롯한 중금속의 정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선행된 침전효율 실험에서 사용된 장방형 아크릴 침전조의 유입구 개수를 1, 2개, 방류구의 개수를 1, 2, 3개로 조정하고 최적 체류시간 후 방류되는 광산배수의 부유물질 농도 및 탁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미세플록의 침전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 경사판을(Eckenfelder, 1989) 1~10개까지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경사판 유무 및 개수에 따른 침전효율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광산배수 처리에서 도외시 되었던 광산배수 내 미세부유물질의 제거를 위한 침전 및 여과공정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 여과매질의 물리·화학적 특성분석을 통하여 매질의 효율성을 가늠하는 동시에 매질 자체의 오염물질을 분석하여 장·단기적으로 매질을 통하여 오염물질이 용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산 개발로 무엇이 훼손되는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많은 수의 광산들이 개발됨과 동시에 광물자원을 얻는 과정에서 자연경관을 훼손함은 물론 광업활동 중 발생하는 광해로 인한 토양, 수질 등의 환경오염을 발생시키게 되었다(Jang and Kwon, 2011). 선진국의 경우 1970년대부터 광해 문제의 발생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광해 복구를 위한 국가 주도의 계획 수립 및 법률의 제정 등 다양한 제도적 장치 들을 마련, 시행해 오고 있다(Skousen and Ziemkiewicz, 1997).
광업활동 중 발생하는 광해로 인한 문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많은 수의 광산들이 개발됨과 동시에 광물자원을 얻는 과정에서 자연경관을 훼손함은 물론 광업활동 중 발생하는 광해로 인한 토양, 수질 등의 환경오염을 발생시키게 되었다(Jang and Kwon, 2011). 선진국의 경우 1970년대부터 광해 문제의 발생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광해 복구를 위한 국가 주도의 계획 수립 및 법률의 제정 등 다양한 제도적 장치 들을 마련, 시행해 오고 있다(Skousen and Ziemkiewicz, 1997).
광산배수 내 미세부유물질의 제거를 위한 침전 및 여과공정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1. 미세부유물질의 침전효율 실험을 통하여 침전조 내 광산배수의 체류시간은 6시간 이상이 필요하며, 기온이 급감하는 겨울철에는 수온 변화에 따른 점성력의 상승으로 부유물질의 침전효율이 저하되므로 체류시간에 대한 안전율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침전조의 부지면적을 줄이는 동시에 침전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경사판의 설치를 통하여 미세부유물질의 침전효율이 48%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침전조에서 방류되는 광산배수의 흐름을 분산시키고 안정화하기 위해 침전조 내 방류구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안이 추천된다. 그러나 경사판의 재질이나 각도 등을 달리하거나 침전조 용적 증가에 따른 경사판의 설치개수를 결정하는 식을 도출하기 위한 추가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경사판 설치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 5가지 여과매질 컬럼의 광산배수 유출수를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여과매질을 선정한 결과, 부유물질의 제거에서는 규사와 입상 활성탄이, 중금속 제거에서는 입상 활성탄이 가장 뛰어난 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4. 또한, 선행된 실험에서 선정된 입상 활성탄을 3가지 입경으로 나누어 규사와 혼합한 여과매질 컬럼을 운행한 결과, 1~2 mm 입경의 입상 활성탄을 충진한 컬럼의 유출수가 부유물질의 농도, 탁도, 그리고 중금속의 제거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 중, 부유물질 및 탁도의 경우 충진한 입상 활성탄의 입경이 크면 매질 사이의 공극도 커지고 따라서 여과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해 제거효율이 낮아진 것으로 판단하며, 중금속의 경우 영전하점과 pH의 차이가 가장 컸던 1~2 mm의 입상 활성탄에서 형성된 음전하에 의해 활발히 흡착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 J.M., Lee, H.J., Park, I.S., Kim, K.H., and Choi, S.I, 2010, A Study of Fe Removal Efficiency of Acid mine Drainage by Physico-cheminal Treatment, J. of Korean Society of Geosystem Engineering, 47(4), 530-538. 

  2. Bae, M.S., Park, S.Y., and Cho, G.M., 1998, Leachate Treatment by Anaerobic Fluidized Activated Carbon Bed, J. of Korea Solid Waste Engineering Society, 15(5), 425-430. 

  3. Choi, S.K., Lee, S., Song, Y.K., and Moon, H.S., 2002, Leaching Characteristics of Selected Korean Fly Ashe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Groundwater Composition near the Ash Disposal Mound, Fuel, 81, 1083-1090. 

  4. Eckenfelder, W.W., 1989, Industrial Water pollution Control, 2nd Edition, Mcgaw-Hill Inc., New York, NY, 131-163. 

  5. Jang, M. and Kwon, H., 2011, Pilot-Scale Tests to Optimize the Treatment of Net-Alkaline Mine Drainage,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33, 91-101. 

  6. Ji, S., Cheong, Y., Yim, G., and Yoo, K., 2007, Analysis of Patents on Mine Drainage Treatment Technologies, J. of Korean Society of Geosystem Engineering, 44(3), 262-268. 

  7. Kim, A.Y., Ko, M.S., Kim, J.Y., Kim, K.W., Bang, S., K., Sim, Y., and Park, H.S., 2011, Removal Technology for Arsenic in Mine Drainage with the Consideration of Its Geochemical Characteristics, J. of Korean Society of Geosystem Engineering, 48(2), 145-154. 

  8. Kim, H.J., Chon, H.T., Lee, J.U., and Roh, Y., 2011, Adsorptive Removal of Aqueous Arsenic Using Nanaparticles of Iron Hydroxides, J. of Korean Society of Geosystem Engineering, 48(4), 438-447. 

  9. Kraepiel, A.M., Keller, K., and Morel, F., 1998, On the Acid- Base Chemistry of Permanently Charged Mineral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2(19), 2829-2839. 

  10. Lee, G., Faure, G., Bigham, J.M., and Williams, D.J., 2008, Metal Release from Bottom Sediments of Ocoee Lake No.3, a Primary Catchment Area for the Ducktown Mining District,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37, 344-352. 

  11. Lee, J.Y., Lee, G.J., Youm, S.Y., Lee, M.R., Kamala-Kannan, S., and Oh, B.T., 2010, Stability of Multi-Permeable Reactive Barriers for Long Term Removal of Mixed Contaminants, Bull Environ Contam Toxicol, 84, 250-254. 

  12. Lee, J.Y., Moon, S.Y., Choi, S.I., and Oh, B.T., 2009, Chemical Oxidative Degradation of MTBE in Groundwater by Waste Steel Scrap, Proceedings of 2009 INEF (International Networks of Environmental Forensics) Annual Conference, pp. 83-90. 

  13. Lee, J.Y., Lee, G.J., Youm, S.Y., Lee, M.R., Kamala-Kannan, S., and Oh, B.T., 2010, Stability of Multi-Permeable Reactive Barriers for Long Term Removal of Mixed Contaminants, Bull Environ Contam Toxicol, 84, 250-254. 

  14. Lee, J.Y., Moom, S.Y., ,Choi, S.I., and Oh, B.T., 2009, Chemical Oxidative Degradation of MTBE in Groundwater by Waste Steel Scrap, Proceedings of 2009 INEF (International Networks of Environmental Forensics) Annual Conference, pp. 83-90. 

  15. Lee, J.Y., Youm, S.Y., Choi, S.I., and Oh, B.T., 2009, Removal of mixed contaminants by Fe-based biobarrier in flow-through columns using recycled waste materials, J Mater Cycles Waste Manag, 11, 214-221. 

  16. Liang, H.C. and Thomson, B.M., 2009, Minerals and Mine Drainage, Water Environment Research, 81(10), 1615-1663. 

  17. Oh, S.H., Lee, S.H., and Kim, S., 2009, A Study of the Treatment System of Mine Water of the Ventilation Adit in the Yeonhwa Mine using Heterogeneous Oxidation, J. of Korean Society of Geosystem Engineering, 46(5), 602-613. 

  18. Rollings, M. P. and Rollings, R. S., 1995, Geotechnical Materials in Construction, Mcgaw-Hill Inc., New York, NY, 86-99. 

  19. Skousen, J.G. and Ziemkiewicz, P.F., 1996, Acid Mine Drainage Control and Treatment, West Virginia University and the National Mine Land Reclamation center, Morgantown, WV, 64- 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