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작 음악극의 무대의상 연구 - 국악칸타타 '나는 일어나리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ge Costumes of Creative Musical Play - Focusing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antata 'I Will Rise' -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4 no.5, 2012년, pp.730 - 738  

김영삼 (중앙대학교 의류학과) ,  김성수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s a process to design and analyze stage costumes by design elements for the costume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antata 'I Will Rise'. This study states fundamental references to make costumes of similar performances in the future and develop costume designs based on the for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앙대학교 국악대학에서 주관하고, 2007년 9월 11일부터 20일까지 전국순회 공연을 한 국악칸타타 ‘나는 일어나리라’의 작품에 무대의상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무대의상의 기획 단계부터 제작단계까지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공연의 무대의상 제작에 관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극의 정체성, 공연 연출의 의도, 인물 분석 등을 통해 제작된 무대의상을 디자인 구성요소별로 범주화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는 향후 유사한 공연의 무대의상 제작에 활용되기 위함이며, 더 나아가 현재 활동하고 있는 무대의상 디자이너나 전공자들에게 극의 형식에 따른 무대의상디자인 접근을 위한 기초자료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또한 조명을 포함한 무대 장치의 시각적인 효과를 간소화 하고 인물 중심의 연출을 지향함으로 무대의상의 시각적 역할을 더욱 부각시켰다. 무대의상의 선과 실루엣의 조합을 통해 웅장한 규모를 나타내도록 하였으며 소재를 통해 우리 민족의 한국적 질감을 표현하고, 색을 통하여 인물의 상징적 체계를 돋보이도록 디자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전체적 연출의도에 따라 도출된 무대의상 연출방법에 대해 개념도(Fig.
  •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에서 기획하고 공연한 국악칸타타‘나는 일어나리라’의 무대의상 연구로 기존의 장르와 다른 창작음악극 형태로 제작되는 공연에 맞는 무대의상 제작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제작된 무대의상을 디자인요소별 분석을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창작음악극 무대의상 연구로서 유사한 제작 환경 공연의 무대의상 제작에 좀 더 발전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창작음악극 중 국악칸타타 공연으로 범위를 한정하였기 때문에 모든 창작음악극의 무대의상에 적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앙대학교 국악대학에서 주관하고, 2007년 9월 11일부터 20일까지 전국순회 공연을 한 국악칸타타 ‘나는 일어나리라’의 작품에 무대의상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악극은 무엇인가? 음악극은 독일의 작곡가 바그너의 작품에 나타난 양식을 명명하는 것을 시작되었으며 종합예술에 드라마적인 요소를 담은 장르이다(Kim, 2010). 음악극에 대하여 Kim(2011)은 음악과 연극, 그리고 무용의 유기적이며 긴밀한 결합을 통한 하나의 예술체로 정의하였고, Yi(2001)는 인간 삶의 총제적인 경험이 음악과 신체표현, 이야기로 구성되고 이러한 요소들의 내적통합이 긴밀히 이루어진 종합 예술이라고 하였다.
국악칸타타는 어떠한 형태인가? 국악칸타타는 기존의 한국음악을 일컫는 국악이라는 명칭과 서양의 음악형식인 칸타타를 접목시킨 창작음악극의 한 형태를 칭한다. 어원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에 명시된 국악(國樂)은 서양음악에 상대한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을 일컬으며 칸타타(Cantata)는 17세기에서 18세기까지 바로크 시대에 발전한 성악곡의 한 형식으로 독창·중창·합창과 기악 반주로 이루어지는 음악형식을 뜻한다.
국악칸타타의 어원적인 의미는 무엇인가? 국악칸타타는 기존의 한국음악을 일컫는 국악이라는 명칭과 서양의 음악형식인 칸타타를 접목시킨 창작음악극의 한 형태를 칭한다. 어원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에 명시된 국악(國樂)은 서양음악에 상대한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을 일컬으며 칸타타(Cantata)는 17세기에서 18세기까지 바로크 시대에 발전한 성악곡의 한 형식으로 독창·중창·합창과 기악 반주로 이루어지는 음악형식을 뜻한다. 국악칸타타의 공연 형태에 대하여 Gang(2004)의 연구는 국악칸타타가 악가무를 종합한 형태의 극이라고 칭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악칸타타라는 용어는 1995년 6월 7일 국립극장 대극장에서 열린 ‘한국국악선교회 희년을 위한 국악칸타타’를 시작으로 1998년 ‘용성’, 2004년 ‘상춘곡’, 2007년 ‘위대한 평범’, 2008년 ‘2008 아리수 전경’, 2011년 ‘동래성 붉은 꽃’과 ‘어부사시사’에서 그 개념이 사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om, S. H., & Lee, I. S. (2010).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design for the musical Jekyll and Hyde - Focusing on the nature of good and evil -. JournaI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4), 45-57. 

  2. Byun, Z. H., & Cho, J. S. (2007).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design of opera [Faust] - Focused on the crowd -. JournaI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3), 90-107. 

  3. Cho, E. H. (2001), A study on stage costume of Shakespeare's 'The tempest' -Focusing on the color symbol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4. Choi, S. H. (2004), Invitation to stage costume. Seoul: Yeongeukgwa Ingan. 

  5. Choi, Y. J., & Kim, H. E. (2011). A study of the heroine's stage costume in the La Bohe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3(3), 299-308. 

  6. Choi, Y. R., & Lim, Y. J. (2007).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stage costume of musical 'Christmas car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Costume, 57(3), 136-149. 

  7. Gang, J. H. (2004). An analysis on the actual state of korean classical orchestra in jeonra province (Both south and nor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8. Han, N. R. (2010).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black shown in stage costume - Centering on musical 'Chicago' -.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9. Hwang, S. W. (2002). Stage costume design for performance [Haml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eo University, Busan. 

  10. Ka, J. A. (2001). A study of the fiber artistic expressions in stage costu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11. Kim, H. G. (2010). A study on the impact of creative music drama activities on musical crea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12. Kim, Y. M. (2011). A study on the use of music drama for the secondary education: Creative activity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13, 115-133. 

  13. Kim, Y. O. (1990). The divine comedy of Mt. Baekdu. Seoul: Tongnamu. 

  14. Kim, Y. S. (2006). Production of performing arts manual series 13: stage costume. Seoul: Chung-Ang University Press. 

  15. 'Kukak', 'Cantata'. (n. d.).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Retrieved February 10, 2012, from http://www.korean.go.kr/ 

  16. Lee, S. Y., & Chung, H. S. (2004).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and the process of design. Chung-Ang Journal of Human Ecology, 20, 49-63. 

  17. Lee, Y. S. (2009). A study on Leon Bakst's stage costumes for Ballets Russes. The Rea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3), 407-423. 

  18. Nomura, J. (1994). Secret of colors. (M. J. Kim. Trans.). Seoul: Bogo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4) 

  19. Oh, S. R. (2010), A study of stage costume design appy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Based on 'A midsummer night's dre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0. Tamio, S. (2001). The world of color psychological analysis. (P. I. Park. Trans.). Seoul: Yekyong.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21. Walker, M. (1996). The power of color. (E. K. Kim Trans.). Seoul: Kyobomongo (Original work published 1990) 

  22. Woo, B. K., & Kim, Y. S. (2008)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antata, 'I will rise'.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Spring Conference, Korea, p. 251. 

  23. Yi, H. S. (2001). A study of educational on young children's music drama activity. Unpublished docto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4. Yun, S. R. (2000).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design for the play -Don Quixo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