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참여제한에 활동과 가족지지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tivity and Family Support on the Participation Restri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9 no.1, 2012년, pp.76 - 85  

김원호 (울산과학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determining the participation restri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based 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model. Sixty-eight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particip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CF에서 제시한 참여는 재활치료의 결과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고, 국가에 따라 참여제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Kwok 등, 2010),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이 발병한지 1년이 경과한 환자를 대상으로 활동, 신체 구조 및 기능, 그리고 가족지지가 참여제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참여제한에 활동, 신체 구조 및 기능, 그리고 가족지지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ICF 모형에 근거하여 활동, 신체구조 및 기능, 그리고 가족지지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참여제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그 결과, 참여제한은 우울증, 보행속도, 유산소능력, 균형능력, 일상생활동작, 그리고 가족지지와 보통정도의 상관성을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참여제한과 신체 구조 및 기능 그리고 활동수준 사이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Harwood 등 (1994)은 LHS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MBI 및 Nottingham 확장 일상생활동작 사이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이 발병한지 1년이 경과한 환자를 대상으로 활동, 신체 구조 및 기능, 그리고 가족지지가 참여제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참여제한에 활동, 신체 구조 및 기능, 그리고 가족지지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활을 위한 물리치료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해 조기 재활중재가 시행되고 있다. 재활을 위한 물리치료는 상해(impairment) 중심 접근법과 활동(activity) 중심 접근법이 있다. 국내에서 주로 뇌졸중 환자를 위해 이루어지는 중재는 상해 중심 치료이다.
뇌졸중은 무엇을 유발하는가? 의학이 발달함에 따라 뇌졸중 후 생존율이 높아지고 있지만, 뇌졸중은 신체적 기능의 퇴화뿐만 아니라 장애, 핸디캡(handicap)을 유발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Kwok 등, 2006; Woo 등, 1992). 구체적인 신체문제에는 감각변화, 통증, 근력약화, 경직, 비정상적인 움직임, 자세와 균형능력 저하 및 우울증 같은 다양한 일차적인 상해들과 관절구축, 압박궤양 같은 이차적인 상해들이 있다(O’Sullivan과 Schmitz, 2006).
뇌졸중으로 인한 구체적인 신체문제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의학이 발달함에 따라 뇌졸중 후 생존율이 높아지고 있지만, 뇌졸중은 신체적 기능의 퇴화뿐만 아니라 장애, 핸디캡(handicap)을 유발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Kwok 등, 2006; Woo 등, 1992). 구체적인 신체문제에는 감각변화, 통증, 근력약화, 경직, 비정상적인 움직임, 자세와 균형능력 저하 및 우울증 같은 다양한 일차적인 상해들과 관절구축, 압박궤양 같은 이차적인 상해들이 있다(O’Sullivan과 Schmitz, 2006).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해 조기 재활중재가 시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강성규, 윤방부, 이혜리 등. 가족기능도지수(Family APGAR Scores)에 관한 기초조사 연구. 가정의학회지. 1984;5(12):6-13. 

  2. 김원호, 박은영. 물리치료학 연구방법론. 서울, 정담미디어, 2010:49-50. 

  3. 정한영, 박진희, 심재진 등. 한글화된 Berg 균형검사법의 신뢰도 분석. 대한재활의학회지. 2006;30(6):611-618. 

  4. 정한영, 박병규, 신희석 등. 한글판 수정바델지수 (K-MBI)의 개발: 뇌졸중 환자 대상의 다기관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2007;31(3):283-297. 

  5. 정혜영, 김경미, 장문영.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중재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09;17(3):79-95. 

  6. 최유임, 김원호, 박은영. 한국어판 London Handicap Scale의 타당도와 신뢰도.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011;12(11):5102-5019. 

  7. Berg K, Wood-Dauphinee S, Williams JI, et al.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 Can. 1989;41(6):304-311. 

  8. Chau JP, Thompson DR, Twinn S, et al.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restriction among community dwelling stroke survivors: A path analysis. BMC Neurol. 2009;9:49. 

  9. Chon KK, Rhee MK.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Korean J Clin Psychol. 1992;11(1):65-76. 

  10. Clarke PJ, Black SE, Badley EM, et al. Handicap in stroke survivors. Disabil Rehabil. 1999;21(3):116-123. 

  11. D'Alisa S, Baudo S, Mauro A, et al. How does stroke restrict participation in long-term post-stroke survivors? Acta Neurol Scand. 2005;112(3):157-162. 

  12. Desrosiers J, Noreau L, Rochette A,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participation after stroke. Disabil Rehabil. 2006;28(4):221-230. 

  13. Eng JJ, Chu KS, Dawson AS, et al. Functional walk tests in individuals with stroke: Relation to perceived exertion and myocardial exertion. Stroke. 2002;33(3):756-761. 

  14. Gadidi V, Katz-Leurer M, Carmeli E, et al. Long-term outcome poststroke: Predictors of activity limitation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 Arch Phys Med Rehabil. 2011;92(11):1802-1808. 

  15. Goonetilleke A. Validity of the London handicap scal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5;58(1):125-126. 

  16. Granger CV, Albrecht GL, Hamilton BB. Outcome of comprehensive medical rehabilitation: Measurement by PULSES profile and the Barthel Index. Arch Phys Med Rehabil. 1979;60(4):145-154. 

  17. Green J, Forster A, Young J. Reliability of gait speed measured by a timed walking test in patients one year after stroke. Clin Rehabil. 2002;16(3):306-314. 

  18. Gurr B. Stroke mood screening on an inpatient stroke unit. Br J Nurs. 2011;20(2):94-99. 

  19. Hajek VE, Gagnon S, Ruderman JE. Cognitive and functional assessments of stroke patients: An analysis of their re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2):1331-1337. 

  20. Hamzat TK, Peters GO. Motor function and participation among Nigerian stroke survivors: 6-month follow-up study. NeuroRehabilitation. 2009;25(2):137-142. 

  21. Hartman-Maeir A, Soroker N, Ring H, et al.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ne-year post stroke. Disabil Rehabil. 2007;29(7):559-566. 

  22. Harwood RH, Ebrahim S. Measuring the outcomes of day hospital attendance: A comparison of the Barthel Index and London Handicap Scale. Clin Rehabil. 2000;14(5):527-531. 

  23. Harwood RH, Gompertz P, Ebrahim S. Handicap one year after a stroke: Validity of a new scal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4;57(7):825-829. 

  24. Harwood RH, Gompertz P, Pound P, et al. Determinants of handicap 1 and 3 years after a stroke. Disabil Rehabil. 1997;19(5):205-211. 

  25. Hershkovitz A, Beloosesky Y, Brill S, et al. Is a day hospital rehabilitation programme associated with reduction of handicap in stroke patients? Clin Rehabil. 2004;18(3):261-266. 

  26. Iriberri M, Galdiz JB, Gorostiza A, et al. Comparison of the distances covered during 3 and 6 min walking test. Respir Med. 2002;96(10):812-816. 

  27. Jenkinson C, Mant J, Carter J, et al. The London handicap scale: A re-evaluation of its validity using standard scoring and simple summat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0;68(3):365-367. 

  28. Kim WH, Park EY. Causal relation between spasticity, strength, gross motor function, and functional outcom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ath analysis. Dev Med Child Neurol. 2011;53(1):68-73. 

  29. King RB.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Stroke. 1996;27(9):1467-1472. 

  30. Kneebone II, Dunmore E. Psychological management of post-stroke depression. Br J Clin Psychol. 2000;39(Pt 1):53-65. 

  31. Kwok T, Jin X, Yeung F, et al. A comparison of the long-term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handicap of stroke patients in Mainland China and Hong Kong. Health Services Insights. 2010;3:13-20. 

  32. Kwok T, Lo RS, Wong E, et al. Quality of life of stroke survivors: A 1-year follow-up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6;87(9):1177-1182. 

  33. LeBrasseur NK, Sayers SP, Ouellette MM, et al. Muscle impairments and behavioral factors mediate functional limitations and disability following stroke. Phys Ther. 2006;86(10):1342-1350. 

  34. Lo RS, Cheng JO, Wong EM, et al. Handicap and its determinants of change in stroke survivors: One-year follow-up study. Stroke. 2008;39(1):148-153. 

  35. Lord SE, Halligan PW, Wade DT. Visual gait analysis: The development of a clinical assessment and scale. Clin Rehabil. 1998;12(2):107-119. 

  36. Maeshima S, Ueyoshi A, Osawa A, et al. Mobility and muscle strength contralateral to hemiplegia from stroke: Benefit from self-training with family support. Am J Phys Med Rehabil. 2003;82(6):456-462. 

  37. Mandich AD, Polatajko HJ, Rodger S. Rites of passage: Understanding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Hum Mov Sci. 2003;22(4-5):583-595. 

  38. Mercier L, Audet T, Hebert R, et al. Impact of motor, cognitive, and perceptual disorders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Stroke. 2001;32(11):2602-2608. 

  39. O'Sullivan SB, Schmitz TJ. Physical Rehabilitation. 5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 2006:718-726. 

  40. Patel M, Coshall C, Rudd AG, et al. Natural history of cognitive impairment after strok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its recovery. Clin Rehabil. 2003;17(2):158-166. 

  41. Perenboom RJ, Chorus AM. Measur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Disabil Rehabil. 2003;25(11-12):577-587. 

  42. Plante M, Demers L, Swaine B, et al. Association between daily activities following stroke rehabilitation and social role functioning upon return to the community. Top Stroke Rehabil. 2010;17(1):47-57. 

  43. Poulin V, Desrosiers J. Participation after stroke: Comparing proxies' and patients' perceptions. J Rehabil Med. 2008;40(1):28-35. 

  44. Quinn L, Gordon J. Documentation for Rehabilitation: A guide to clinical decision making. 2nd ed. Canada, Saunders, 2009:75-78. 

  45.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1977;1(3):385-401. 

  46. Salter KL, Foley NC, Jutai JW, et al. Assessment of participation outcomes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stroke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Int J Rehabil Res. 2007;30(4):339-342. 

  47. Seki M, Takahashi H, Chino N. Characteristics of hemiplegic outpatients with stroke who try to remove their clothes unnecessarily. Gan To Kagaku Ryoho. 2001;28(1):71-74. 

  48. Smilkstein G, Ashworth C, Montano 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amily APGAR as a test of family function. J Fam Pract. 1982;15(2):303-311. 

  49. Studenski S. Bradypedia: Is gait speed ready for clinical use? J Nutr Health Aging. 2009;13(10):878-880. 

  50. Sturm JW, Dewey HM, Donnan GA, et al. Handicap after stroke: How does it relate to disability, perception of recovery, and stroke subtype?: The north North East Melbourne Stroke Incidence Study (NEMESIS). Stroke. 2002;33(3):762-768. 

  51. Sturm JW, Donnan GA, Dewey HM, et al. Determinants of handicap after stroke: The North East Melbourne Stroke Incidence Study (NEMESIS). Stroke. 2004;35(3):715-720. 

  52. van Brakel WH, Anderson AM, Mutatkar RK, et al. The participation scale: Measuring a key concept in pubic health. Disabil Rehabil. 2006;28(4):193-203. 

  53. Verbrugge LM, Jette AM. The disablement process. Soc Sci Med. 1994;38(1):1-14. 

  54. Westergren A, Hagell P. Initial validation of the Swedish version of the London Handicap Scale. Qual Life Res. 2006;15(7):1251-1256. 

  55. White JH, Alston MK, Marquez JL, et al. Community-dwelling stroke survivors: Function is not the whole story with quality of life. Arch Phys Med Rehabil. 2007;88(9):1140-1146. 

  56. Whiteneck GG, Charlifue SW, Gerhart KA, et al. Quantifying handicap: A new measure of long-term rehabilitation outcomes. Arch Phys Med Rehabil. 1992;73(6):519-526. 

  57. Woo J, Yuen YK, Kay R, et al. Survival, disability, and residence 20 months after acute stroke in a Chinese population: Implications for community care. Disabil Rehabil. 1992;14(1):36-40. 

  58.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1st ed.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2001:3-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