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TS와 LMA를 이용한 병원 전 전문 기도 관리 연구
Pre-hospitalization Advanced Airway Management Using The KING LTS-DTM and the LMA ProSealT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12, 2012년, pp.5893 - 5900  

최욱진 (서정대학교 응급구조과) ,  심규식 (천안 서북소방서)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심정지 또는 중증 외상 환자의 신속한 기도유지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후두튜브(LTS)와 후두마스크(PLMA)의 삽관 속도, 성공률, 교육 전 후 자신감 변화를 비교하여 병원 전 단계의 주축을 담당하고 있는 119구급대의 전문기도관리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119구급대원 중 1급 응급구조사 60명(LTS군 30명, PLMA군 30명)이며 마네킹을 대상으로 5분간 3회 실습 후 삽관 소요시간과 성공 여부, 자신감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LTS와 PLMA를 이용한 삽관 시간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실험 후 자신감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p=.000). 결론적으로 경추가 고정되고 혀 부종이 있는 외상환자에게 신속한 삽관이 필요한 경우 LTS 사용이 효과적이며 교육을 통하여 전문기도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very critical to promptly maintain airway of cardiac arrest cases or serious traumatic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intubation rate, successful rate and pre-/post-education self-confidence between laryngeal tube (LTS) and proseal laryngeal mask (PLMA), so that it may contri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외상환자를 가정한 어려운 기도 조건의 마네킹에 후두튜브와 후두마스크를 이용하여 삽관 속도와 성공률을 파악하고 교육 전ㆍ후 자신감 변화를 비교하여 병원 전 단계의 주축인 119구급대의 전문기도 관리 능력을 활성화 시키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 중 1급 응급구조사가 후두튜브(KING LTS-DTM, LTS)와 후두마스크(LMA ProsealTM, PLMA)를 이용하여 마네킹에 실시한 삽관의 속도와 성공률 및 교육 전ㆍ후 자신감을 비교하여 119구급대의 전문기도관리 능력을 활성화 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1) 삽관 전ㆍ후 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1) 삽관 전ㆍ후 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기도유지 도구에 따른 삽관 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기도유지 도구에 따른 삽관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기도유지 도구에 따른 삽관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2.1 삽관 전후 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2.2 기도유지 도구에 따른 삽관 속도는 유의한차이가 있을 것이다.

  • 3.2.3 기도유지 도구에 따른 삽관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중립자세에서 실시한 삽관 성공률은 LTS와, PLMA 모두 1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중립자세의 혀 부종이 있는 마네킹에 실시한 삽관 성공률은 LTS가 100%, PLMA가 90%로 유의한 차이를 관찰 할 수 없었다[Table 6]. 따라서 가설 3)은 기각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관내삽관등의 술기 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기관내삽관이 시행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떤 것들이 개발되었는가?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기도확보를 위해 광봉(light wand), 후두마스크기도기, 삽관용 후두마스크기도기(LMA- Fastrach), 굴곡성 기관지경, 비디오 후두경 등 다양한 기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11]. 후두마스크기도기, 삽관용 후두마스크기도기, 후두 튜브 등과 같은 장비는 직접 후두경을 이용한 기관내삽관이 어려운 상황에서 시행할 수 있는 기도관리 장비인데, 그 중에서도 삽관용 후두마스크는 직접 후두경을 이용한 기관내삽관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시행할 수 있고, 배우기가 쉽다고 알려져 있으나[12,13] 후두마스크는 Weiler 등[14]의 굴곡성 내시경을 통한 연구에서 위 내용 물의 역류에 의한 폐 흡인의 위험이 크다고 하였다.
기관내삽관을 하는 목적은? 기관내삽관은 기도를 독립시키고 개방성을 유지하며, 이물질 흡인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기관에서의 흡인을 가능하게 하며 약물주입의 통로를 제공하고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일회호흡량(tidalvolume)을 전달할 수 있다[1].
국내에서 기관내삽관은 누구에게 허용되는가? 국내 1급 응급구조사에게는 기도유지 및 호흡처치를 위한 기관내삽관이나 후두마스크 삽관이 허용되어 있으며[2] 1급 응급구조사 업무 중 의료지도 요구도가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3]. 응급환자의 기도유지를 위해 직접 후두경(Macintosh laryngoscope)을 이용한 기관내삽관을 많이 시행하고 있으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과도한 힘으로 인해 손상을 유발 시킬 수 있고, 소요시간이 길어질 수 있어 기관내삽관에 따른 심혈관계 반응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알려졌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 A. Hagberg, F. E. Agro, T. M. Cook, A. P. Reed, ″New generation supraglottic ventilatory devices. In: Hagberg CA, editor. Benumofs airway management: principle and practice. 2nd ed″, philadelphia: Mosby Elsevier, pp. 502-503, 2007. 

  2. Available at: http://www.law.go.kr/. 2012 

  3. J. H. Park, ″Recognition and request for medical direction by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 Emerg Med Ser, 15(3), pp. 31-44. 2011. 

  4. D. K. Rose, M. M. Cohen, ″The airway: problems and predictions in 18,500 patients.″, Can J Anaesth, 41(5), pp. 372-383, 1994, Article(CrossRefLink) 

  5. R. K. Stoelting, ″Circulatory changes during direct laryngoscopy and tracheal intubation: influence of duration of laryngoscopy with or without prior lidocaine″, Anesthesiology, 47(4), pp. 381-384, 1977, Article(CrossRefLink) 

  6. Denver Metro Airway Study Group, ″A prospective multicenter evaluation of pre-hospital airway management performance in a large metropolitan region.″, Prehosp Emerg Care, 13(3), pp. 304-310, 2009, Article(CrossRefLink) 

  7. J. K. Johansen, L. Wik, P. A. Stee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before and after tracheal intubation-direct measurements of quality″, Resuscitation, 68(1), pp. 61-69, 2006, Article(CrossRefLink) 

  8. J. Strote, R. Roth, D. C. Cone, H. E. Wang, "Prehospital endotracheal intubation: the controversy continues (Conference proceedings)″, Am J Emerg Med, 27(9), pp. 1142-1147, 2009, Article(CrossRefLink) 

  9. Y. J. Kang, E. S. Choi,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in prehospital emergency patient assessment and emergency care of paramedic in fire station″, Korean J Emerg Med Ser, 15(2), pp. 67-84, 2011. 

  10. S. J. Eun, H. Kim, K. Y. Jung, K. H. Cho, Y. Kim, ″Prospective Multicenter Evaluation of prehospital Care by 119 Rescue Services″, J Korean Soc Emerg Med, 18(3), pp. :177-189, 2007. 

  11. T. J. Lim, Y. Lim, E. H. Liu, ″Evaluation of ease of intubation with the GlideScope or Macintosh laryngoscope by anaesthetists in simulated easy and difficult laryngoscopy″, Anaesthesia, 60(2), pp. 180-183, 2005, Article(CrossRefLink) 

  12. J. L. Benumof, ″Management of the difficult adult airway with special emphasis on awake tracheal intubation″, Anesthesiology, 75(6), pp. 1087-1110, 1991, Article(CrossRefLink) 

  13. J. L. Benumof, ″Laryngeal mask airway and ASA difficult airway algorithm″, Anesthesiology, 84(3), pp. 686-699, 1996, Article(CrossRefLink) 

  14. N. Weiler, F. Latorre, B. Eberle, R. Goedecke, W. Heinrichs, ″Respiratory mechanics, gastric insufflation pressure, and air leakage of laryngeal mask airway″, Anesth Analg, 84(5), pp. 1025-1028, 1997, Article(CrossRefLink) 

  15. T. Asai, A. Kawashima, I. Hidaka, S. Kawachi, ″The laryngeal tube compared with the laryngeal mask: insertion, gas leak pressure and gastric insufflation″, Br J Anaesth, 89(5), pp. 729-732, 2002, Article(CrossRefLink) 

  16. J. Kurola, H. Harve, T. Kettunen, J. P. Laakso, J. Gorski, H. paakkonen, et al., ″Airway management in cardiac arrest comparison of the laryngeal tube, tracheal intubation and bag-valve mask ventilation in emergency medical training″, Resuscitation, 61(2), pp. 149-153, 2004, Article(CrossRefLink) 

  17. Korean Emergency Airway Management Society, ″ Manual of Emergency Airway Management(Walls RM). 2nd ed.″, Seoul:Koonja, pp. 120-131, 2008. 

  18. A. D. Laveaga, M. C. Wadman, L. Wirth, M. S. Hallbeck, ″Ergonomics of novices and experts during simulated endotracheal intubation″, Work:A journal of prevention Assessment and Rehabilitaion, 41(1), pp. 4692-4698, 2012. 

  19. H. W. Yun. E. Y. Yu, Y. H. Yun, ″Comparison of Educational Effects of Difficult Endotracheal Intubation in the 119 Rescue Servic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1(1), pp. 254-265, 2011. 

  20. S. Hickey, A. E. Cameron, A. J. Asbury, ″ Cardiovascular response to insert of Brain's laryngeal mask″, Anaesthesia, 45(8), pp. 621-626, 1990, Article(CrossRefLink) 

  21. Y. L. Kim, H. Y. Lee, G. W. Kim, H. S. Jo, J. H. Jung, ″Comparative Study of prehospital Airway Devices Tested Using a Manikin Model: A Comparison of the Laryngeal Mask Airway Classic (LMA ClassicTM), Cobra perilaryngeal Airway (Cobra PLATM) and the King Laryngeal Tube King LTTM)″, The Korean Society of Emerg Med, 21(6), pp. 776-782, 2010, Article(CrossRefLink) 

  22. Available at: http://www.kuksiwon.or.kr/ (accessed Nov., 15, 2012). 

  23. F. Adnet, SW. Borron, JL. Dumas, F. Lapostolle, M. Cupa, C. Lapandry, ″Study of the Sniffing position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esthesiology, 94(1), pp. 83-86, 2001, Article(CrossRefLink) 

  24. G. L. T. Samsoon, J. R. B. Young, ″Difficult tracheal intubation: a retrospective study″, Anaesthesia, 42(5), pp. 487-490, 1987, Article(CrossRefLink) 

  25. A. Turan, G. Kaya, O. Koyuncu, B. Karamanlioglu, Z. Pamukcu, Comparison of the laryngeal mask(LMA) and laryngeal tube(LT) with the new perilaryngeal airway(CobraPLA) in short surgical procedures. Eur J Anaesthesiol, 23(3), pp. 234-238, 2006, Article(CrossRefLink) 

  26. R. Schalk, C. Byhahn, F. Fausel, A. Egner, D. Oberndorfer, F. Walcher, et al., ″Out-of-hospital airway management by paramedics and emergency physicians using laryngeal tubes″, Resuscitation, 81(3), pp. 323-326, 2010, Article(CrossRefLink) 

  27. E. A. Tumpach, M. Lutes, D. Ford, E. B. Lerner. The King LTversus the Combitube : flight crew performance and preference. Prehosp Emerg Care, 13(3) pp. 324-328, 2009, Article(CrossRefLink) 

  28. K. Tatsuaki, K. Yoshinori, O. Tsuyoshi, M. Tomoko,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Comparing the Laryngeal Tube Suction II with the proSeal Laryngeal Mask Airway in Anesthetized and paralyzed patients″, Anesthesiology, 109(1), pp. 54-60, 2008, Article(CrossRefLin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