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인공종묘의 대량생산
Mass Production of Artificial Seedlings in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8 no.4, 2012년, pp.313 - 319  

김태익 (남서해수산연구소) ,  고창순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  허영백 (남동해수산연구소) ,  진영국 (남서해수산연구소) ,  이정용 (국립수산과학원) ,  장영진 (부경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1년 8월 8일부터 12월 5일까지 말백합 대량 인공종묘 생산 실험을 실시하였다. 채란은 평균각장 $65.8{\pm}8.4mm$의 어미 100 개체로부터 공기노출과 수온상승자극 방법으로 채란 하였으며, 수정란에서 D형유생까지 발생 소요시간은 수온 $27^{\circ}C$에서 17시간 40분, 발생률은 6.1%, D형유생은 각장 $131.4{\pm}2.6{\mu}m$였다. D형유생은 4일간 사육하여 각장 $190.2{\pm}7.5{\mu}m$의 침착기 유생으로 성장하였고, 생존율은 48.1%였다. 이후 침착기 유생 130,000 개체를 저면 모래순환여과 방법으로 침착시켜 사육하였으며, 46일째 평균각장 $3.1{\pm}0.8mm$, 87일째 $6.6{\pm}1.8mm$, 그리고 114일째에 $10.5{\pm}0.9mm$로 성장하였다. 치패의 각장 (SL) 에 대한 각고(SH) 의 상대성장식은 SH = 0.8501SL + 0.0196 ($R^2=0.9987$)로 나타났다. 초기 침착치패인 각장 3.1 mm 이하에서 대량폐사가 일어났으며, 생존율은 사육 46일째 53.8%, 87일째 43.6%, 그리고 114일째에 51,000 개체가 생존하여 생존율 39.2%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ss production method on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of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was developed indoor culture system. Spawning of adult clam (SL $65.8{\pm}8.4mm$) was induced using the combined method of air exposure and water temperature raising. The fertilized eggs were deve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 Tetraselmis tetrathele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육수 1 mL당 10 × 104-20 × 104 세포가 유지되게 연속해서 공급하며 관리하였다.
  • D형 유생은 수정 후 24시간이 경과한 다음 망목 크기가 40 μm인 뮬러가아제로 D형 유생으로 발생된 전체 개체를 수거하였고, 수정란과 동일한 방법으로 계수하여 D형 유생의 크기와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 채란을 위하여 어미는 공기노출 후 수온상승 자극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공기노출 자극은 기온 20℃ 전후의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실내에서 1시간 동안 공기에 노출시켜 실시하였다. 수온상승 자극은 채란수조에 어미를 20℃ 해수에 수용한 후 어미가 안정되면 가온해수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30분에 1℃씩 25℃까지 상승시키면 성숙된 어미는 수온상승 도중 산란하였다.
  • 대량 유생사육은 2001년 8월 9일부터 13일까지 실시하였다. 대량사육에 사용한 D형 유생은 8월 8일 채란된 각장 131.
  • 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치패가 성장함에 따라 공급량을 증가시켜 사육수 1 mL당 6 × 104-30 × 104 세포를 매일 1-3회 나누어 공급하였다.
  • 수온은 27℃, 염분은 담수를 첨가하여 25 psu로 조절하였으며, 사육수는 1 μm까지 여과한 후 자외선으로 살균처리하여 사용하였고, 유생사육 기간 동안 환수는 하지 않았다. 먹이생물은 I. galbana를 초기 D형 유생에게 매일 1 개체당 5,000 세포를 공급하였으며, 유생이 성장함에 따라 공급량을 증가시켜 사육 4일째 7,000 세포를 오전과 오후 10시 2회로 나누어 공급하였다.
  • 본 연구에서 소규모 실험에서 밝혀진 결과를 대량 인공종묘 생산에 적용하여 채란에서부터 치패생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해 실험 분석하였다. 특히 실내수조 3.
  • 본 연구에서는 말백합의 채란, 발생, 유생사육, 치패사육 등의 소규모 실험을 통하여 구명된 종패생산 기본조건 (Kim et al., 2011a, b)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본종의 대량 인공종묘 생산실험을 실시하였다.
  • 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치패가 성장함에 따라 공급량을 증가시켜 사육수 1 mL당 6 × 104-30 × 104 세포를 매일 1-3회 나누어 공급하였다. 사육수는 초기 각장 1 mm 까지는 5일에 1회 전량 환수하였으며, 성장함에 따라 환수 주기를 달리하여 후기에는 매일 1회 전량 환수하였다. 수온은 티타늄 수중히터로 가온하여 28.
  • 생존율은 사육수조에서 7.5 × 7.5 cm 내의 개체수를 8회 조사하여 전체 개체수로 환산하였으며, 실험 종료시는 전체를 수거하여 측정하였다.
  • 수정란은 방란․방정이 유도된 다음 30분 후 망목크기가 20 μm인 뮬러가아제로 수거하여 여과 처리된 자외선 살균수로 3회 세란하였다. 세란된 수정란은 깨끗한 해수가 채워진 100 L 플라스틱 수조에 수용한 후 잘 교반하여 micro pipette으로 1 mL를 취한 후 cell counter chamber를 사용하여 계수한 다음 전체 수정란의 숫자를 용적법으로 계산하였다.
  • 공기노출 자극은 기온 20℃ 전후의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실내에서 1시간 동안 공기에 노출시켜 실시하였다. 수온상승 자극은 채란수조에 어미를 20℃ 해수에 수용한 후 어미가 안정되면 가온해수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30분에 1℃씩 25℃까지 상승시키면 성숙된 어미는 수온상승 도중 산란하였다.
  • 수온은 27℃, 염분은 담수를 첨가하여 25 psu로 조절하였으며, 사육수는 1 μm까지 여과한 후 자외선으로 살균처리하여 사용하였고, 유생사육 기간 동안 환수는 하지 않았다.
  • 수정란은 방란․방정이 유도된 다음 30분 후 망목크기가 20 μm인 뮬러가아제로 수거하여 여과 처리된 자외선 살균수로 3회 세란하였다.
  • 유생의 성장은 각장과 각고를 만능투영기 (Nikon V-12) 를 이용하여 1 μm까지 측정하였고, 생존율은 유생 사육수조에서 50 mL씩 5회 표본하여 개체수의 평균치를 용적법으로 계산한 후 전체 유생의 생존율로 하였다.
  • 이들 유생 130,000 개체를 FRP 수조 (2.5 × 1.5 × 0.5 m) 에 수용하여 저면 모래순환여과 (Fig. 1) 방법으로 114일간 사육하였다.
  • 수정란은 수온 27℃, 염분 30 psu에서 수정 17분 후에 극체가 방출되었다. 이후 부등분열에 의해 난할이 개시되어 2세포, 4세포, 8세포 및 16세포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각각 1시간, 1시간 25분, 1시간 50분, 2시간 25분이었다. 낭배기까지는 5시간 20분, 담륜자기까지 11시간 10분, 면반이 발달하고 패각이 형성되는 첫 veliger기인 D형 유생에 이르는 시간은 17시간 40분이었다.
  • 이후 침착기 유생 130,000 개체를 저면 모래순환 여과 방법으로 침착시켜 사육하였으며, 46일째 평균각장 3.1± 0.8 mm, 87일째 6.6 ± 1.8 mm, 그리고 114일째에 10.5± 0.9 mm로 성장하였다.
  • 전 시험기간 동안 사육수의 수온과 염분 측정은 다기능 수질측정기 (YSI 6920, USA) 를 이용하여 매일 오전 10시에 측정하였다.
  • 채란용기는 50 L 사각 아크릴수조를 사용하였으며, 해수는 bag filter와 규조토 여과기를 사용하여 1 μm까지 여과한 후 자외선 살균 처리하였다.
  • 채란을 위하여 어미는 공기노출 후 수온상승 자극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공기노출 자극은 기온 20℃ 전후의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실내에서 1시간 동안 공기에 노출시켜 실시하였다.
  • 치패의 성장은 침착 초기에는 각장과 각고를 만능투영기 (Nikon V-12) 를 이용하여 1 μm까지 측정하였고, 후기에는 vernier calipers로 0.1 mm까지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01년 8월 8일부터 12월 5일까지 말백합 대량 인공종묘 생산 실험을 실시하였다. 채란은 평균각장 65.
  • 대량사육에 사용한 D형 유생은 8월 8일 채란된 각장 131.4 ± 2.6 μm, 각고 102.6 ± 3.1 μm 크기의 D형 유생 320,000 개체 중 270,000 개체를 1 m3의 사각 FRP 수조에 수용하여 사육하였으며, D형 유생의 수용밀도는 0.27 개체/mL였다.
  • 말백합 대량 인공종묘생산 실험에 사용된 어미는 2001년 전북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 앞바다에서 생식소 발달단계가 성숙기 혹은 산란기인 7월 19일에 채집된 각장 65.8 ± 8.4 mm, 각고 54.5 ± 7.2 mm, 각폭 33.0 ± 3.9 mm, 전중 73.1 ± 28.7 g 크기의 어미 100 개체들이었다.
  • 1) 방법으로 114일간 사육하였다. 사육수조에 사용된 모래는 표준망체 (청계상공사, 한국) No. 18을 통과한 모래를 사용하였으며, 두께는 5 cm였다.
  • 치패를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된 유생은 대량 사육한 각장 190.2 ± 7.5 μm, 각고 165.4 ± 5.2 μm 크기의 침착기 유생이었다.

데이터처리

  • 각 실험 결과로부터 얻어진 모든 측정값들은 평균 ± 표준편차 (SD) 로 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개류의 인공종묘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기초 자료로 필요한 것은? 조개류의 인공종묘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어미의 산란기, 수정란의 발생 최적조건, 유생과 치패의 최적사육조건 등을 먼저 밝히고, 이들 기초 자료를 이용하여 대량사육을 실시해야 한다. 대부분의 최적조건 실험은 소규모로 수행되기 때문에 그 결과를 대규모 대량 인공종묘생산에 적용 시 규모의 차이에 따른 구체적인 최적조건을 맞추기 어렵다.
한국에서 조개류의 양식용 종묘생산이 어려워진 이유는? 한국에서 조개류의 양식용 종묘생산은 대부분 자연에서 발생된 자연종묘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연안어장의 환경오염과 이상해황, 천해 간석지의 매립, 우량한 어미의 우선 채취, 어미 자원의 부족 등으로 자연종묘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가 어렵게 되어, 종묘가 부족한 일부 품종의 경우 양식용 종묘를 외국에서 수입하여 양식하는 경우도 있다. 백합류의 경우 새만금간척사업으로 주산란장과 성육장이 없어짐에 따라, 앞으로 백합류 양식용 종묘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서는 인공종묘생산이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조개류의 대량 인공종묘생산 기술이 개발된 종은 어떤 것이 있는가? 조개류의 대량 인공종묘생산은 산업적으로 양식되는 종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종류는 많지 않다. 한국산 조개류의 대량 인공종묘생산 기술이 개발된 종을 들면, 굴, Crassostrea gigas,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왕우럭, Tresus keenae, 홍합, Mytilus coruscus,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진주조개, Pinctada fucata martensii, 큰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비단가리비, Chlamys farreri, 개조개, Saxidomus purpuratus,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 코끼리조개, Panopea japonica 등이 있으나 인공종묘생산에 의해 양식 산업에 적용된 종은 진주조개, 굴, 피조개 정도이다 (NFRDI). 진주조개와 굴은 1990년대 초반부터 인공종묘생산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진주 조개의 경우 한국에 필요한 종묘 전량을 인공종묘로 충당하고 있고, 굴은 한국 전체 종묘 소요량의 약 5%를 인공종묘로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Hur,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i, K.C. (1971) Ecological studies of the clam, Meretrix lusoria and Cyclina sinenis for the increasing seed clam yield.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 9-19. (in Korean) 

  2. Choi, S.S. (1975) Comparative studies on the early embryonic development and growth of Meretrix lusoria and Cyclina sinensis.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8: 185-195. (in Korean) 

  3. Choi, S.S. (1976) A study on the artificial discharge and young clam culture of Meretrix lusori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9: 7-14. (in Korean) 

  4. Choi, S.S. and Song, Y.K. (1974) Studies on the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Meretrix lusoria.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7: 1-6. (in Korean) 

  5. Chung, E.Y. and Kim, Y.M. (2000) Ultrastructural study of germ cell development and sexual maturation of the hard clam, Meretrix lusoria (Bivalvia: Veneridae), on the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Medical and Applied Malacology, 10: 181-202. 

  6. Hur, Y.B. (2004) Dietary value of microalgae for larvae culture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Ph.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33 pp. (in Korean) 

  7. Iwata, K.S. (1948) Artificial discharge of reproductive substances by potassium salts injection in Venerupis philippinarum, Meretrix lusoria and Mactra sulcataria (Bivalves).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13: 237-240. (in Japanese) 

  8. Kim, B.H., T.S. Moon, K.Y. Park, Y.G. Jin and Y.K. Shin (2009) Effect of temperature on induced sexual maturation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broodstock.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5: 113-119. (in Korean) 

  9. Kim, T.I., C.S. Ko, Y.B. Hur, Y.G. Jin and Y.J. Chang (2011a) Effect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rearing density on the egg development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7: 167-173. (in Korean) 

  10. Kim, T.I., C.S. Ko, Y.B. Hur, M.H. Yang and Y.J. Chang (2011b) Growth and survival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larvae to food organisms.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7: 175-180. (in Korean) 

  11. Lee, J.H. (1997) Histological studies on the gamet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hard clam, Meretrix lusori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3: 131-141. 

  12.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http://portal.nfrdi.re.kr) 

  13. Numaguchi, K. (1997) A preliminary trial to induce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common oriental clam, Meretrix lusoria out of spawning season. Journal of the World Aquaculture Society, 28: 118-120. 

  14. Sagara, J. (1958a) Artificial discharge of reproductive elements of certain bivalves caused by treatment of sea water and by injection with $NH_{4}OH$ .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23: 505-510. (in Japanese) 

  15. Sagara, J. (1958b) O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salinity for the development of hard clam, Meretrix Meretrix lusoria. Bulletin of the Tokai Regional Fisheries Research Laboratory, 22: 27-32. (in Japanese) 

  16. Taki, I. (1949) Spawning season of Meretrix lusoria (Bivalve).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15: 479-486. (in Japanese) 

  17. 국립수산과학원 (1996) 양식품종별 표준 설계도. 구덕인쇄사, 45-49. 

  18. 유성규 (2000) 천해양식. 구덕출판사, 251-261. 

  19. 藤森三郞, (1929) 有明海干瀉利用硏究報告. 福岡水試, 175 pp. 

  20. 內藤新吾, (1930) 主要貝類の産卵時期調査. 千葉水試內灣分場旣 往事業報告, 昭和5年度 21-23. 

  21. 上城義信?幡手格一?安東正雄, (1978) ハマグリ人工種苗と稚貝の 飼育. 栽培技硏, 7: 39-50. 

  22. 上城義信?安東正雄?松本正勝, (1979) ハマグリの人工採苗の成長 とその生態に關する二, 三の實驗. 栽培技硏, 8: 1-8. 

  23. 小形國三, (1965) ハマグリ. 淺海養殖60種. 大成出版社, 228-236. 

  24. 伊藤進?小木曾卓郞, (1954) 松川浦に於けるアサリ?ハマグリの增 殖に關する硏究, 第2報 1-13. 

  25. ?戶一郞, (1895) 仙台地方貝類産卵期. 水産調査報告, 3: 27-1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