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적용에 따른 업종별 비용편익효과 분석
Cost-Benefit Analysis of Risk Assessment Regulation in Manufacturing Industries 원문보기

한국가스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16 no.6, 2012년, pp.80 - 86  

이기백 (한국교통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 ,  백종배 (한국교통대학교 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요 설비를 설치 이전하거나 구조부분을 변경하기 전에 안전성을 심사 확인하여 이들에 대한 근원적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용노동부는 제조업 유해 위험방지계획서 제도를 1982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 산업재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취약업종이 제도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어 근원적인 재해예방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제도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유해 위험설비의 대상업종 8개를 선정하여 이에 따른 비용편익을 분석하였다. 비용편익 분석방법은 정책 실행수단을 선택하거나 정책의 기대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분석방법으로, 규제 실행의 정당성을 입증해 주는 기본 자료로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1차 금속 제조업의 편익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기타 제품 제조업, 기타 기계 및 장비제조업,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제조업, 식료품 제조업, 가구 제조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며 근로자의 신체와 생명을 보호하고, 재해나 사망으로 발생되는 사회적 비용을 저감시켜 국가 전체의 후생수준을 증대시키기 위해 8개 업종으로 유해 위험방지계획서의 작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1982, the Korean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executed the risk assessment regulation for manufacturing industries. When a manufacturing company install, transfer, or modify the major facilities, the program inspects and verifies safety of the working place to ensure safety against ris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8개 업종에 대하여 제조업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제도를 도입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비용과 편익을 업종별로 분석하였다.
  • 대응표본 t 검정을 시행하기 이전에 유해·위험방지 제도 도입 이전과 이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Table 2]).
  • 그러나 미래의 비용이나 편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할인율(discount rate)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비용 또는 편익이 과대 또는 과소 추정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할인율을 정교하게 설정하기 위해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적용하는 5.5%를 적용하였다[7].
  • 그러나 현실적으로 8일은 너무 짧고, 계획서의 충실성이 보장되기 위해서는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에 적어도 1개월가량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2010년 제조업 근로자 평균 임금의 1개월 투입 분을 작성 인건비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일반관리는 작성을 위해 투입된 인력의 부가 비용으로 이 인력이 사용하는 유형·무형의 비용을 의미한다.
  • 이러한 제도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재해율이 높은 제조업종에 대해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제도의 실행 필요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 한편 대응표본 t 검정을 위해서는 제도 도입 이전과 이후의 년도가 동일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2007년과 2008년을 제도 도입 이전 년도로, 2009년과 2010년을 제도 도입 이후 년도로 설정해 분석하였다.
  • 제도 확대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후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작업은 제도를 어떻게 확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검증이다. 이를 위하여 8개 업종별 비용 편익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차 금속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기타 제품 제조업 등의 순서로 비용 대비 편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 일반적으로 공익이라 함은 사회다수의 이익과 직결되는 것으로서 특정 제도의 도입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순기능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2].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재해자수 감소율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의 감소까지 고려해 분석하였다. 사회적 비용은 주로 산업 재해 발생에 따른 비용을 의미한다.
  • 우리는 2009년부터 도입된 2개 업종의 효과를 분석하였는데, 위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편익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제도 도입 이전인 2008년 재해율과 2010년 재해율을 비교하여 재해율의 감소율을 재해의 편익 기준으로 설정하였고, 제도 도입 이전인 2008년 사망률과 2010년 사망률을 비교하여 사망률의 감소수준을 사망의 편익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데이터처리

  • 제도 도입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확인하기 위해 과거의 시계열 자료인 2007년과 2008년의 평균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책 도입 이후 재해자비율과 인당재해보상비용 그리고 인당 사망보상 비용의 감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재해의 사망 만인율이 높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07 수준으로 타 선진국과 비교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1]. 사망 만인율이 높다는 것은 재해의 강도가 매우 크고 그 사회적 파급효과도 매우 부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재해율을 산업 유형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의 재해율이 가장 높다.
유해 위험설비의 대상업종 8개를 선정하여 이에 따른 비용편익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비용편익 분석방법은 정책 실행수단을 선택하거나 정책의 기대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분석방법으로, 규제 실행의 정당성을 입증해 주는 기본 자료로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1차 금속 제조업의 편익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기타 제품 제조업, 기타 기계 및 장비제조업,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제조업, 식료품 제조업, 가구 제조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며 근로자의 신체와 생명을 보호하고, 재해나 사망으로 발생되는 사회적 비용을 저감시켜 국가 전체의 후생수준을 증대시키기 위해 8개 업종으로 유해 위험방지계획서의 작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효과성 평가는 무엇인가? 효과성 평가는 특정 제도가 도입되었을 경우 도입하고자 했던 목표를 얼마나 달성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사후적 평가의 성격이 강하다. 제조업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작성은 궁극적으로 해당 분야의 재해율을 감소시킨다는 목적을 갖기 때문에, 이 제도의 도입 목적은 재해율의 감소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OECD, 2008 OECD Health Data, (2008) 

  2. Kim, D.-K., Cost Benefit Analysis, Pakyoungsa, Seoul, (1999) 

  3. Rho, W.-J., Theories of Policy Analysis, Pakyoungsa, Seoul, (1997) 

  4. Park, K.-K., "A Benefit-Cost Analysis of the Michigan Bottle Bill",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26(3), 859-873, (1992) 

  5. Lee, Y. 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Risk Assessment Regulation,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0) 

  6. Elsholz, G., Cost-Benefit Analysis. Kriterien der Wirtschaftlichkeit offentlicher Inverstitionen, In Ortlieb, H.-D. and B. Molitor, Hamberger Jahrbuch fur Wirtschafts und Gesellschaftspolitik:12, 286-301, Satz und Druck Hanseatische Druckanstalt Gmbh, Hamburg-Wandsbek, (1967) 

  7.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 Study on the General Guide for the Pre Feasibility Study, 5th ed.,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