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컨베이어 사고 예방을 위한 풀 코드 스위치 적용기준 개선
Improvement of Application Criteria of Pull Code Switch for Conveyor Accident Prevention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4 no.5, 2019년, pp.153 - 158  

서재민 (한국교통대학교 안전공학과) ,  박지훈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백종배 (한국교통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estimated that about 2,515 persons have been injured by conveyor for the past five years(2013 ~ 2017). Conveyors us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for transporting iron ore, coal, courier goods, etc., have various incidents such as a worker putting on or pulling a part of the body or work cloth...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풀 코드 스위치의 안전기준에 대해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과 해외의 IEC, EN, Canada, Australia의 기준 비교분석을 통해 법령 및 기준 개정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컨베이어 사용 사업장, 국내외 풀 코드 스위치 제조업체,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법령 및 기준 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 또한 이준석의 연구에서는 작업자가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리모트(Remote) 비상정지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8).
  • 이 연구에서는 풀 코드 스위치의 안전기준에 대해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과 해외의 IEC, EN, Canada, Australia의 기준 비교분석을 통해 법령 및 기준 개정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컨베이어 사용 사업장, 국내외 풀 코드 스위치 제조업체,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법령 및 기준 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풀 코드 스위치의 법령 고시로 규정된 정지 방식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또한, 산업안전보건법 제35조 및 제36조와 위험기계⋅기구 자율안전확인 고시 및 안전검사 고시 에컨베이어 풀 코드 스위치의 기능은 액추에이터 전원의 즉각적인 차단에 의한 정지를 할 수 있는 0정지방식이거나, 관성 등에 의해 급정지 시 추가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경우 1정지방식 으로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각 제어반 및 그 밖의 비상정지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설치하되, 접근이 용이한 곳에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컨베이어의 운반 아이들러(벨트의 화물 운반 면을 지지하는 아이들러) 및 회귀 아이들러(벨트의 회귀 면을 지지하는 아이들러)에는 풀 코드 스위치가 설치되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덮개, 울 등의 설치를 예외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적정 장력이 어느 정도로 유지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아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노동자와 안전검사를 수행하는 안전검사기관에서도 위험성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컨베이어 위험성 평가를 정확히 시행하기 어려운 제도적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산업안전보건법 제35조 및 제36조와 위험기계⋅기구 자율안전확인 고시 및 안전검사 고시 에컨베이어 풀 코드 스위치의 기능은 액추에이터 전원의 즉각적인 차단에 의한 정지를 할 수 있는 0정지방식이거나, 관성 등에 의해 급정지 시 추가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경우 1정지방식 으로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각 제어반 및 그 밖의 비상정지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설치하되, 접근이 용이한 곳에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컨베이어의 운반 아이들러(벨트의 화물 운반 면을 지지하는 아이들러) 및 회귀 아이들러(벨트의 회귀 면을 지지하는 아이들러)에는 풀 코드 스위치가 설치되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덮개, 울 등의 설치를 예외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적정 장력이 어느 정도로 유지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아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노동자와 안전검사를 수행하는 안전검사기관에서도 위험성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풀 코드 스위치란 무엇인가?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풀 코드 스위치(Pull cord switch)는 비상정지장치의 한 종류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92조에 “사업주는 해당 근로자의 신체의 일부가 말려드는 등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 및 비상시에는 즉시 컨베이어등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무동력 상태로만 사용하여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 B. Bae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afety Factory Safety Model", KOSH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8. 

  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19. 

  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f Korea, Employment and Labor Notice, pp. 289-304, 2018. 

  4.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f Korea, Industrial Accidents Statistics Report, 2019. 

  5. KOSHA, Yearly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Report, 2013-2017. 

  6.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f Korea, Taean Thermal Power Plant Accident Related Department Joint Measures, December, 2018. 

  7. G. H. Choi,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for Conveyor Disaster Prevention", KOSH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0. 

  8. J. S. Lee, "A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Remote Emergency Stop Device for Conveyors", J. Korean Soc. Saf., Vol. 26, No. 4, pp. 14-19, 2011. 

  9. WORK SAFE BC, "Safeguarding Machinery and Equipment", 2017. 

  10. IEC, "Low-voltage Switchgear and Controlgear", IEC 60947-5-5, 1997. 

  11. BS EN, "Continuous Handling Equipment and Systems Safety and EMC Requirements for Fixed Belt Conveyors for Bulk Materials", BS EN 620, 2002. 

  12. NFPA, "Electrical Standard for Industrial Machinery", NFPA 79, 2007. 

  13. Ministry of Labour of Ontario,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Regulation for Mines and Mining Plants, 2018. 

  14. Ministry of Labour of Ontario, "Conveyor Guarding", 2017. 

  15. AS 1755, "Conveyors-Safety Requirements", Australian Standard, 2000. 

  16. H. G. Choi and B. G. Loh, "Risk Assessment of Industrial Machines and Devices and Appropriateness of Their Safety Certification and Self-Declaration of Conformity", J. Korean Soc. Saf., Vol. 31, No. 1, pp. 1-6,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