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형론적 귀결과 양상성
Model-theoretic Consequence and Modality 원문보기

한국수학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25 no.4, 2012년, pp.21 - 36  

최원배 (한양대학교 정책학과)

초록

모형론적 귀결 개념은 타르스키의 1936년 논문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보통 말한다. 하지만 에치멘디는 이를 부정한다. 이 논문은 1936년 논문에 나와 있는 타르스키의 정의가 과연 표준적인 모형론적 귀결 개념에서 받아들이는 것과는 다른 고정 도메인 견해에 기반을 둔 것인지 아니면 그것과 같은 가변 도메인 견해에 기반을 둔 것인지를 둘러싸고 전개된 논란을 다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commonly believed that the model-theoretic account of logical consequence is originated from Tarski' s 1936 paper. But Etchemendy has denied this. This paper discusses and evaluates the recent controversies over whether the definition of logical consequence presented in Tarski' s paper is b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18]에 제시된 타르스키의 견해를 살펴보는 데서 논의를 시작하기로 하자. 타르스키는 논리적 귀결 개념에 대한 자신의 정의가 일상적 귀결 개념을 포착하기 위한 시도라고 본다.
  • 앞으로의 논의를 위해 전자를 고정 도메인 옹호론자라고 하고, 후자를 가변 도메인 옹호론자라고 부르기로 하자. 이 논문의 목적은 고정 도메인 옹호론자와 가변 도메인 옹호론자 사이의 논쟁을 평가해 합당한 결론을 내리는 데 있다.
  • 그렇다면 타르스키가 도메인과 관련해 어떤 견해를 염두에 두고 있는지를 가늠할 만한 다른 텍스트 상의 증거가 있는가? 고정 도메인 옹호론자들은 그런 것이 [18]에 이미 나와 있다고 주장한다. 이제 이를 살펴보기로 하자. 고정 도메인 옹호론자에게는 강력한 증거가 되는 반면, 가변 도메인 옹호론자에게는 해명하기에 가장 곤혹스러운 대목은 [18]에 나오는 다음과 같은 타르스키의 주장이다.
  • 지금까지 우리는 고정 도메인 견해와 가변 도메인 견해가 정확히 무엇이고, 이들이 어떻게 다른 결과를 낳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타르스키는 과연 에치멘디의 주장대로 현대의 표준적인 견해인 가변 도메인 견해를 따르지 않고 고정 도메인 견해를 따랐다고 할 수 있을까? 지금까지 드러난 분명한 사실은 타르스키가 논리적 귀결 개념을 설명할 때 도메인의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을 [18]에서 명시적으로 한 적이 없다는 점 정도이다.

가설 설정

  • 그것은 논리 상항이기 때문에 변항으로 대치되지 않으며, 따라서 새로운 해석의 대상도 되지 않는다.4) 그런데 앞에서도 강조했듯이 타르스키의 귀결 개념의 정의는 해석된 형식 언어를 대상으로 한 정의이고, 따라서 그 언어의 도메인이(설사 암묵적으로라도) 이미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결국 타르스키의 절차를 그대로 따를 경우, 애초 설정된 그 도메인 안에서 비논리 상항에 대한 해석만을 고려하는 형태가 되고, 이런 의미에서 그의 견해는 고정 도메인 견해가 되는 것이다.
  • 우리가 지금 다루고 있는 언어에서 논리 외적 상항에는 모두 일정한 변항이 상응한다고 가정하는데, 그 방식은 문장 안에 있는 상항을 상응하는 변항으로 대치하면 문장은 모두 하나의 문장 함수가 되는 식이라고 가정하기로 하자. L을 임의의 문장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르스키의 귀결 개념에서 논란이 되는 점은 무엇인가? 그런 논란의 핵심 가운데 하나는 [18]에 나오는 타르스키의 모형 개념이 과연 오늘날 우리가 표준적으로 받아들이는 모형 개념과 같은지 여부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귀결 개념을 정의하면서 타르스키가 양화의 ‘도메인’ (domain) 혹은 ‘논의 세계’ (universe of discourse)를 어떻게 보았는가 하는 점이 논란의 대상이다. 에치멘디([5, 6, 7])를 위시해, 코코란([3, 4]), 바흐([1]), 베이즈([2]), 만코수([11, 12]) 등은 타르스키가 하나의 도메인만을 고려하는 고정 도메인 (fixed-domain) 견해를 지녔다고 보는 반면, 셔([16]), 레이([13]), 고메즈 토렌트([8, 9]) 등은 타르스키가 [18]에서도 이미 현대의 표준적인 모형론에서와 같이 크기가 다른 도메인을 고려하는 가변 도메인(variable-domain) 견해를 지녔다고 주장한다.
모형론적 귀결 개념은 일반적으로 무엇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하는가? 모형론적 귀결 개념은 타르스키의 1936년 논문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보통 말한다. 하지만 에치멘디는 이를 부정한다.
논리학에서 귀결 개념을 이해하는 데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논리학은 대개 귀결(consequence) 관계를 다루는 학문으로 이해되고, 이런 귀결 개념을 이해하는 데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고 생각된다. 하나는 증명론적 귀결 개념이고 다른 하나는 모형론적 귀결 개념인데, 후자의 귀결 개념은 타르스키의 1936년 논문 “논리적 귀결 개념에 관하여”[18]에서 기원한다고 보통 말한다. 하지만 에치멘디에 따르면 이런 통념은 옳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ch, C. N.,"Tarski's 1936 Account of Logical Consequence", Modern Logic 7(1997), pp. 109-130. 

  2. Bays, T.,"On Tarski on Models", Journal of Symbolic Logic 66(2001), pp. 1701-1726. 

  3. Corcoran, J.,"Meanings of Implication", Dialogos 25(1973), pp. 59-76, reprinted in A Philosophical Companion to First-Order Logic, ed. R. I. G. Hughes, Hackett Publishing Co., 1993, pp. 85-100. 

  4. Corcoran, J. and Saguillo, J. M.,"The Absence of Multiple Universe of Discourse in the 1936 Tarski Consequence-Definition Paper", History and Philosophy of Logic 32(2011), pp. 359-374. 

  5. Etchemendy, J.,"Tarski on Truth and Logical Consequence", Journal of Symbolic Logic 53(1988), pp. 51-79. 

  6. Etchemendy, J., The Concept of Logical Consequence, Harvard Univ. Press, 1990. 

  7. Etchemendy, J.,"Reflections on Consequence", in New Essays on Tarski and Philosophy, ed. D. Patterson, Oxford Univ. Press, 2008, pp. 263-299. 

  8. Gomez-Torrente, M.,"Tarski on Logical Consequence", Notre Dame Journal of Formal Logic 37(1996), pp. 125-151. 

  9. Gomez-Torrente, M.,"Rereading Tarski on Logical Consequence", Review of Symbolic Logic 2(2009), pp. 249-297. 

  10. Jane, I.,"What Is Tarski's Common Concept of Consequence?", Bulletin of Symbolic Logic 12(2006), pp. 1-42. 

  11. Mancosu, P.,"Tarski on Models and Logical Consequence", in The Architecture of Modern Mathematics, eds. J. Ferreiros and J. J. Gray, Oxford Univ. Press, 2006, pp. 209-237. 

  12. Mancosu, P.", Fixed- versus Variable-Domain Interpretations of Tarski's Account of Logical Consequence", Philosophy Compass 5(2010), pp. 745-759. 

  13. Ray, G.,"Logical Consequence: A Defence of Tarski", Journal of Philosophical Logic 25(1996), pp. 617-677. 

  14. Shapiro, S.,"Logical Consequence, Models and Modality", i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Today, ed. M. Schirn, Oxford Univ. Press, 1998, pp. 131-156. 

  15. Shapiro, S.,"Logical Consequence, Proof Theory, and Model Theory", in The Oxford Handbook of Philosophy of Mathematics and Logic, ed. S. Shapiro, Oxford Univ. Press, 2005, pp. 651-670. 

  16. Sher, G., The Bounds of Logic: A Generalized Viewpoint, The MIT Press, 1991. 

  17. Sher, G.,"Did Tarski Commit'Tarski's Fallacy'?", Journal of Symbolic Logic 61(1996), pp. 653-686. 

  18. Tarski, A.,"On the Concept of Logical Consequence"(1936), in Logic, Semantics, Metamathematics, ed. J. Corcoran, Hackett Publishing Co., 1983, pp. 409-420. 

  19. Tarski, A., Introduction to Logic and to the Methodology of Deductive Sciences, Oxford Univ. Press, 19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